설치 및 활용 QnA

autodeck의 이미지

공개된 DB중에 Replication이 되는게 있을까요?;;

리눅스초보입니다. :(

으음 싸구려라도 fault tolerance가 필요해서...(달리말해...상근 관리자가 없고 시스템이 1시간이상 멈추면 큰일나는 중소기업용입니다. ㅡ.ㅡ;;)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DB가 필요합니다. ㅠ_ㅠ;;

1.무료일것 (ㅠ_ㅠ;; 슬프지만 작은 기업이라 ㅡ.ㅡ;)
2.Replication지원할것
3.서버2대중 1대가 다운되도 다른 한대가 계속 작업할 수 있게 해줄것.
(이걸 뭐라고 하더라 ㅡ.ㅡ;;)

이런 DB가 있을까요?...물론 회사에쓸것이라 가능하면 잘 뻑 안나는 녀석이 필요합니다 ㅠ_ㅠ;;; (숫자라도 틀리면 ㅡ.ㅡ;;)

win77cap의 이미지

저두 궁금해여..

가입하고 첨으로 글을 올리네여..
방갑습니다..
웅..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를 알고 싶어서 지난주말
밤을 새면서
win2000과 리눅스를 같이 컴에 깔려구 이러쿵 저러쿵 했는데..
병행가동이 안되어서..
리눅스가 완전설치가 다끝났다는 메시지가 나와서 제 부팅을 했는데..
이론,, 전혀 다른 메시지는 안나오구
바로 win2000이 부팅이 되더군여
우찌해야하는지여..
혹시 설치순서를 리눅스 다음에 win2000을 깔아야하는지여
아님 제가 다른 무엇을 모르는게 있는지..

GTksjun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NIC에 있는 맥주소가 아닌 제가 설정한 맥주소를 사

제목 그대로입니다..
NIC에서 구워진 맥 주소를 사용안하고
제가 설정한 맥주소를 사용하게끔하고싶은데 가능한가요? :o

undo512의 이미지

윈도우2000과 레드햇8.0 설치 문의입니다.

제가 오늘 첨으로 리눅스를 설치했는데요..^.^;

우선 제 컴 하드는 20G와 40G이구요 , 여기서 40G를 30G와 10G로

분할했습니다. 20G에는 윈도우2000이 깔려있었구요..30G는 FAT32파일

형식으로해서 데이타 저장용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10G를 ext3파일 형식으로 분할해서 레드햇8.0을 설치했구요

부트로더는 GRUB을 선택해서 윈도우2000이 깔려있는 20G하드의

MBR에 설치했습니다..

멀티부팅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문제는 윈도우 부팅후에 한동안 거의 멈추어 있다가 바탕화면이 나타납니다.

highvolt의 이미지

Masquerade 내부에서 외부 FTP 접속할때의 문제점...

사설 내부망에서 외부의 FTP 서버에 접속을 하면 접속은 되는데..

파일이 안보인다거나.. 접속되었다가 바로 끈어지는 현상이 발생 합니다.

내부망내에 있는 Windows2000 으로 외부 FTP 서버에 접속하면 문제가

생기내요.. 외부망과 연결되는 Linux 서버에서 외부 FTP 와 연결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책에는 ip_masq_ftp 모듈을 띄우면 된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이 모듈이 없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root@localhost /]# /sbin/modprobe ip_masq_ftp
modprobe: Can't locate module ip_masq_ftp

hapismile98의 이미지

저기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바로부팅할수 있다고 해서 loadlin.ex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바로 부팅할수 있다고 해서
해보는 중인데 잘 안되네요..

ftp 사이트에서 loadlin.exe 이파일을 받았거든요.. 그리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커널이미지도
vmlinuz 이것도 c: 로 복사를 해놓았거든요.
/boot/에 있는 커널이미지..

c:\linux> 여기에 두파일을 넣어놨습니다.

그래서 도스 프롬프트 상태로 재 부팅해서요
c:\linux>loadlin vmlinuz root=/dev/hdb7 ro 이렇게 하는데
안되네요??

이렇게 하면 된됐는데..

그래서 loadlin 의 -t 옵션으로 테스트 해봣는데 이렇게 나오네요..

ktj0630의 이미지

smtp서버 인증에 관해서 여쭤볼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

RFC 821을 읽어보면서 좀 궁금한것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제가 smtp서버에 접속해서 메일을 포워딩을 한번 해보고 싶어서

궁금한것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예를 들어볼께요 ...

저는 smtp.korea.com에 접속을 해서

helo 명령어로 receiver-SMTP서버 전송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250 3w-esmtp-ab hello [제 아이피]가 생성이 되었습니다.

그뒤에 receiver-SMTP에 메일을 보낼것을 알리기위한

리턴 메일 주소를 기입해서 정체성을 밝혀야 한다고 생각이 들어서

김민수의 이미지

FAQ O Matic 설치 이후...

참 해묵은 프로그램이지요.

예전에 설치했다가 다시 깔 일이 있어서 깔았는데, 눈에 가시같은 것이 하나 있네요.

저는 저만 문제가 있는 줄 알았는데, KFUG kr-FAQ(http://www.kr.freebsd.org/fom-serve/cache/1.html)도 동일한 문제가 있는 것 같아 최소한 제가 잘못한(?) 것은 아닌 것 같아 이곳에 질문을 합니다.

현상: http://www.jikji.org/faq/cache/1.html 에 가셔서 [Show Expert Edit Commands] 를 누르면 한글이 깨져 나옴. 클라이언트(저는 IE6.0)에 따라 다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isle4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코어를 덤프하는 방법?

솔라리스에서는 gcore라는 명령으로 코어덤프를 할 수 있는데
리눅스에는 어떤 명령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dotri의 이미지

로그인시 system boot up processing...

노트북에 데비안 sarge 를 사용중인데요
로그인할 때 system boot up is now processing( please wait ) 이런 비슷한 메세지가 나오면서 일반 계정으로 로그인이 안됩니다.
root 계정으로는 저 메세지를 무시하고 로그인할 수 있더군요.
부팅 과정이 진행중이라길래 한참 기다렸다가 로그인해봐도 마찬가지고
일반 사용자로 전혀 로그인할 수가 없는데.. 왜 이런가요?

PCMCIA 랜카드 2장을 사용중인데, 이것때문인지..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