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응물이의 이미지

가상시디

하드디스크로 레드햇 8.0을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imwheel-0[1].9.6-8mz.i386.rpm 을 설치하는데

레뎃 3번 시디를 넣으라고 하네요-_-;
하드디스크 안에는 있는데 시디로 구워놓은게 없는데요...
뭔가 방법이 없을까요?
리눅스에서 쓸수 있는 가상시디롬이라도 없을까요??

부탁드립니다^^)/

말꼬랑쥐-_-)/~
아 참고로 imwheel-1.0.0pre1.tar.gz 을 설치하는데 에러가-_-a나서
어쩔수 없이 버전낮은 rpm을 설치 중입니다...;;이궁~~

prko의 이미지

boot loader grub

안녕하세요.

설명서에 보니까
grub사용시에 리눅스 메뉴에는
Red Hat (kernael version)이나
Red Hat (kernel version-smp)가
기본적으로 나타나게 되어있는데, 제 컴에는 세 개의 리눅스가 나타납니다.

boot loader는 the first sector of my boot partition에 설치했습니다.
처음에 리눅스를 깔았는데,
설치 중간에 비디오 카드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생겨
텍스트모드로만 부팅이 되는 관계로
똑같은 버전을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덮어깔았다가
역시 terxt모드로만 부팅이 되어서 리눅스 파티션을 지우고 다시 깔았습니다.

ljh0431의 이미지

RedHat Linxu 7.3에서 Deivce ID알아내기 ?

하드나 기타 블록Device를 설치하려고 할 때,

fdisk /dev/hda
에서 "/dev/hda"라는 Device ID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현재 Linux에 설치된 Divce ID를 알아내는 명령어가 있나요 ?
일반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은 Unix에서 과거 /dev/hdaX,/dev/sdaX
형태로 나가니깐 그렇고
dmesg | grep scsi형태로 스카시하드일 경우 ID를 얻고
mount나 df명령어로 확인하는 등 번잡한 것 같습니다.
현재 자신의 Linux에 설치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Divce ID를 아는
방법은 정식으로 어떤 방법이 있나요 ?

envy100의 이미지

이상하게 있어요

ipcs -a명령을 화일로 저장했어요
그래서 cat으로 보면 마지막 cbyte가 6인데요
vi로 보면 마지막 cbyte가 0으로 나와요
왜 그런건지 어떻게해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좀 알려주세요

woon0의 이미지

패스워드 길이가 8로 고정됩니다. 해결방안좀

이번에 tinylogin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passwd를 수행하면 루트계정에서는 일반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시 패스워드에 대한 길이의 제한이나 기타 여러 아무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패스워드를 변경하면 패스워드가 8개로 고정 되어 있습니다.

해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제가 초보라서. 고수님들 답변 부탁 드립니다.

/etc/login.defs 파일에 PASS_MIN_LEN과 PASS_MAX_LEN값을 5와 8로

수정해도 패스워드 변경시에는 8이하의 패스워드로는 변경이 안됩니다.

undo512의 이미지

(레드햇8.0) 한글입력이 안되네요..ㅡ.ㅡ;

안녕하세요.. :lol:

이번에 리눅스 첨 깔아서 이것저것 해보고 있는데...

1) 모질라에서 한글 입력이 안되네요...

아미 설정에서 한글 체크 다 했는데도...ㅡ.ㅡ;

그리고 한텀에서는 한글 됩니다..

어떤 설정을 해줘야 되는지 알려주세요..

2) 한텀에서 배경색이 회색이고 글자들이 자주 초록..등이라 보기가 넘 힘

듭니다.. 한텀의 색상 설정은 어디서 해줘야 되나요..

그럼 내일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운형의 이미지

여기 성격에 맞는 질문인가.. -_-

리눅스용 사전좀 구해보려구하는데요(영영이나 영한이나 상관없어요.)

어떤걸 구해야하나요.???

윈도용이라도 괜찬으면..

리눅스용으로 뜯어고쳐서라도 쓰려구 합니다.

추천좀해주세요.

ljh0431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에서 Y,M,N의 선택옵션과 방화벽 옵션들의 관계 ?

커널 컴파일에서 make xcofig로 커널 옵션들을 보면
Y,M,N으로 선택옵션이 있는데 앞서 질문한 내용의 답변대로라면
제가 사용하는 RedHat Linux 7.3의 경우
iptables에 관련되 방화벽기능 커널 옵션들이 모두 M에 설정되어 있고
Y는 설정할 수 없게 Deactive형태로 되어 있고 N에는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 방화벽과 NAT,MASQ,ROUTE옵션등등의 선택옵션들이
대부분 M으로 설정되 있는데 이것은 커널에 부팅시 적재되어 있지 않다
라는 얘기가 되나요 ? lsmod로 확인해 보니 iptables와 관련된

hanbak의 이미지

X에서 일본어 입력은 어떻게..

네 질문이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일본어 입력에 관한 것인데.. 대체 X에서 일본어는 어떻게 입력해야 하는건지요..
후우 윈도우에서 일본어 입력도 겨우겨우 알아내었는데 X에서는 한급 더 힘들군요..

넵 X 또는 넷스케이프 7.x 에서의 일본어 입력에 대해서 아신다면 부디 답변 부탁 드립니다. 에구 힘드네요..

:ㅈ

ljh0431의 이미지

make xconfig의 Y,M,N선택옵션의 의미 ?

커널 컴파일에서 make xconfig에서 항목의 선택옵션에 Y,M,N가 있는데
Y,N은 커널에 기능을 포함시키거나 시키지 않거나 해서 컴파일한다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M은 정확하게 무슨 의미인가요 ?
Y,N은 Static형태로 커널에 포함되서 적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
M은 커널에 포함되지만 모듈형태로 포함되서 나중에 모듈제거명령으로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는 형태로 커널에 모듈이 함께 포함되 컴파일 된다라는
얘기인가요 ? 아니면 컴파일시에는 모듈이 포함되지 않고 나중에 모듈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