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estor의 이미지

ssh 를 SRPM 으로 설치 하는데..

현제 제 리눅스를 공부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그러다 보니 xwindow를 깔지 않고 쉘모드에서 여러가지를 해보고 있는데..

와우 리눅스 7.1파란 openssh-2.5.2p2-5 가 설치 되어 있어 이것을 업그레이드(openssh-2.9.9p2-1.src.rpm) 하려 하니

XFree86-devel is needed by openssh-2.9.9p2-1
gnome-libs-devel is needed by openssh-2.9.9p2-1

의존성 문제가 일어 나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rpm --rebuild --nodeps openssh-2.9.9p2-1.src.rpm

이렇게 명령을 줬더니 뭔가 되는듯이 막~~ 되더니..
Bad exit status from /var/tmp/rpm-tmp.50128 이런 에러가 나와더군요..

송지석의 이미지

netstat으로보니 32768 포트를 listen 하고 있는데요..

[root@localhost root]# netstat -a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0 *:32768 *:* LISTEN
tcp 0 0 localhost.localdo:32769 *:* LISTEN
tcp 0 0 *:wnn4_Kr *:* LISTEN
tcp 0 0 *:sunrpc *:* LISTEN
tcp 0 0 *:x11 *:* LISTEN
tcp 0 0 *:ftp *:* LISTEN

germanister의 이미지

You don't exist. Go away!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접한지 이제 막 일주일 정도 되네요.

한통ADSL을 사용해서 인터넷을 하고 있습니다.
Dynamic DNS를 이용해서 도메인도 받아 놓았구요.
APM도 설치해 놓았습니다.
일정시간 이상 traffic이 없으면 adsl이 끊긴다는
얘기를 어디서 들어서...2초마다 외부로 ping을 때리도록
cron에 등록시켜 놓았구요.

어제 아침에 집에서 나올 때 리눅스를 켜두고 나와서
회사에서 접속해 보니 접속이 잘 되었습니다.
SSHD는 안되고 APACHE만 되길래 좀 이상하긴 했지만...

loveytk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 초보의 질문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를 깔려면 파티션을 지정 해야 한다더군여...

그런데 궁금 한게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같은 경우에는 따로 파티션을 안해줘도 C드라이브나 D라이브 같이 선택만 해주면 되는데

리눅스의 경우 root 파티션이다. swap파티션 등등등 나눠줘야 하는 이유를 알고 싶고 기능들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허접같은 질문이지만 전 무지 궁금 합니다. 그럼 안녕히.. :oops:

chocoheim의 이미지

Python... mod_python 설치 후 cgi 돌릴때 안되네요 T_T

mod_python은 성공적으로 설치했구요
(아파치안에 정적으로 컴파일시켜버렸습니다)

httpd.conf 안에 수정한 내용입니다.

<Directory "/home/*/public_html/python">
    AllowOverride All
    Options ExecCGI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Directory "/home/*/public_html/python">
    AddHandler python-program .pyc .py
    PythonHandler mod_python.cgihandler
    PythonDebug On
    AllowOverride Options FileInfo AuthConfig
</Directory>

후에, test.py(test.pyc)
[code:1]import cgi

ljh0431의 이미지

Mysql 접속 ?

공인 IP가 3개 있습니다. 이 3개는 스위치허브에 모두 물려 있습니다.
그리고 공인 IP중 1개 서버에는 랜카드가 2장 있습니다.
이 서버는 Windows 2000 Server입니다. 윈도우 2000 Server에서
제공하는 Nat를 구성해서 2개의 랜카드중 1개의 랜카드에 사설 IP를 부여
하고 이 사설 IP를 부여받은 랜카드는 사설 대역의 스위치허브에 물려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설대역 스위치허브에 RedHat Linux 7.3과
MySQLDB서버가 설치되 있습니다.
그런데 이 Nat기능을 하는 서버에서 MySQl서버로 윈도우용 mysql(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mysql -h192.168.0.2 -uuserid -ppassword형태로

mastercho의 이미지

cygwin 에서 리눅스 기능이 안되는게 뭐가 있을까요?

리눅스 플밍을 하기 위해 cygwin을 깔았는데

리눅스기능이 안되는게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럼

wootz의 이미지

장치가 안올라 갑니다 ~~

:shock: :shock: :shock: :shock: :shock: :shock: :shock: :shock:

기존에 한국 통신 DHCP 를 잘사용 하고 있었습니다 !!
그런데 하나로 통신 DHCP 를 사용 하는데 갑자기
이러한 에러 가 나옵니다 !!

현재 :
eth0 : 에러 ( 내부 네트웍 사용 )
eth1 : 에러
eth2 : ppp0 로 사용 합니다 !

에러명 :

Determining IP information for eth0..... Operation failed.

이러한 메세지가 나옵니다 !!
뭐가 잘못된건지 모르겠습니다 !!
아시는분 리플 부탁 드립니다 !!

dazero의 이미지

gedit에서의 한글사용

저는 레드햇 8.0을 쓰고 있구요

그놈2 desktop을 쓰는데 윈도우의 메모장 같은 것이 리눅스에서는 없어서요

그나마 gedit이 가벼운 것 같아서 이것을 쓰고 있는데 한글 호환이 잘 안된답니다.
윈도우에서 보면 깨져서 나올 때도 있는데요,
출력을 하려면 한글 부분은 빼놓고 영어만 쏙 나옵니다.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자료를 찾아봤는데요 예전 버전에서는 설정 파일을 수정해서 한글을 쓸 수 있었던 것 같은 데 설정 파일을 열어봤더니 그 전 이랑 달라서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네요.

ljh0431의 이미지

핫 스왑기능이 있는 서버에 스카시 하드를 연결할 경우 인식 ?

RedHat Linux 7.3 smp에서 핫스왑기능이 제공되는 서버에
스카시하드를 연결하는 경우 Linux를 부팅하지 않고도
인식이 잘 되나요 ? 아니면 부팅을 다시 해서 인식시켜야 하나요 ?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