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xoduddk123의 이미지

스마트폰같은 임베디드시스템에서 부팅되면 root권한인가요 ? 일반사용자계정권한인가요?

안녕하세요.

스마트폰같은 시스템에서 부팅을 하면 root권한으로 로그인되어있는지 아니면 일반사용자로 로그인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사용자 권한으로 로그인이 되어있다면 사용하는 파일들도 일반 사용자권한으로 맞추어져서 권한이 주어져있을거 같아서 몹시궁금합니다.

만약에 일반사용자로 로그인되어져있다면 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파일 소유자와 소유그룹이 root면은 사용을 못할것인데...

제가 미약하게나마 생각을 해보았는데 root로 로그인을 해야되지않아야하는 이유가 마땅히 있는것도 아니고

root로 로그인을 해야만하는 이유가 마땅히 있는것 같지도 않은데.

다른 리눅스기반의 시스템들에서는 어떤식으로 처리를 하고있나요???

coolwinter의 이미지

nn

df.Karuna의 이미지

영문 리눅스(OpenSUSE)에서 윈도우와 인코딩 호환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 리눅스를 접한지는 꽤.. 되었지만 정작 잘 쓰지는 못하는 학생입니다.

저는 얼마전 OpenSUSE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녹색의 카멜레온(?)이 매력적이고, YaST도 좋...다 하더군요. (사실 뭐가 좋은지 아직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국내에서 마땅한 커뮤니티가 없는 것 같기도 해서 조금 오류나 안되는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영문으로 사용하는 게 좋은 것 같아서 영문으로 사용중입니다만, 제가 후배들에게 간단한 기초적인 소스코드를 설명해주기 위해 작성한 소스를 구글드라이브에 올렸다가 프로젝터가 있는 강의실에서 다운받으니 한글의 인코딩이 깨집니다. 반대로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볼 때 자막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을 때 역시 마찬가지이구요. 예전에 CentOS를 처음 설치하고 그거때매 골머리도 좀 썩히고 어찌어찌 해결했던거 같은데(SUPPORTED 환경변수로 해결했던 거 같습니다) OpenSUSE에서는 어찌해야 할 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윈도우즈와 서로 한글로 된 내용이거나 한글로 된 파일을 가져오거나 할 때 인코딩이 깨지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 지 궁금해서 질문올려봅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컴퓨터 없이 종이에 적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든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컴퓨터 없이 종이에 적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든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어떤 기능이 있어야 편리할까요?

순서도처럼 보이면 될까요?

아니면 펀치카드같은 기능이 있으면 될까요?

bloody의 이미지

개발자 정년이 몇세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다시 이 주제에 대해서 질문을 하게됬네요. 식상하시죠??

개발자 정년이 몇세일까요?

PM/PL 같은 관리직으로 오래 다니는거 말고 개발자로 했을 때 몇세까지 일까요?

sammykim의 이미지

[해결]wine으로 카톡 설치시 지저분하게 출력이 되네요..

계정 새로 만들고 나서,
와인으로 설치해보니 이러네요-_-ㅋ

뭐가 문제인지..

inviolable의 이미지

개발자는 영어가 필수라는데 리딩만 잘하면 되나요???

영어 꾸준히 하고는 있는데 리딩이 재밌어서 거의 리딩만 하거든요. 리스닝은 초보수준이고요...(거의 리스닝 안함) 리딩은 꾸준히 해서 현재는 무슨 내용의 글을 읽든 해석은 거의 다 되는 편입니다.(msdn이나 기타 학술 책 같은거는 평이하고 문법에 맞는 영어를 쓰는 관계로 해석이 아주 잘 됩니다.)

inviolable의 이미지

프로그래머로 취직하려면 어느 정도 수준의 프로그램까지 만들 수 있어야 할지요???

예를 들어 게임이라고 치면 상용 프로그램으로 팔릴 정도 수준이라면 롤이나 테라, 블레이드 소울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나요?? 하다못해 디아블로2나 스타크래프트1 정도 수준이라도 되어야하는데 그 정도를 대학생이 만들 수가 있나요??

그 정도는 만들 수 있어야 취직을 하나요 ???

만들 수 없다면 회사에서는 라이브러리나 툴 같은 것를 잘 지원해줘서 그것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는건가요??? 제 생각에는 대학생이 롤이나 테라, 블레이드 소울 하다못해 디아블로2나 스타크래프트1 정도는 천재 아닌이상 못 만든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구현하기 너무 복잡한 부분이 많아서... 근데 수많은(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컴공에서부터 지잡대 컴공에 이르기까지) 컴공 대학생들이 졸업하고 취직해서 잘만 다니는데 어떻게 취직 전에는 엄두도 못냈던 것을 취직 후에 술술 만들게 될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jiojio7의 이미지

[구인] 누스코 OS 개발팀에서 인턴 개발자를 모십니다.

[담당업무]
- OS 개발

[지원요건]
- 프로그래밍을 즐기시는 분
- C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시는 분 ^^
- 풀타임 근무가 가능하신 분

[우대사항]
- OS 개발, 분석에 대해 경험이 있으신 분
- 플랫폼 개발, 분석에 대해 경험이 있으신 분
- 영문 Spec을 읽고, 구글링 하는 데 부담이 없으신 분

[진행과정]
- 이력서 검토 → 개별 인터뷰 → 개별 연락

[제출서류]
- 자유양식의 이력서 1부
.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어떤 내용도 좋습니다.
. 본인이 개발한, 혹은 주 개발자로 참여한 프로젝트와 설명

sjsj8929의 이미지

CPU 사용률을 측정하는 것 관련해서 질문이 있는데요..

현재 가상머신으로 서버를 네개 정도 돌리고 있는데요..
각 서버의 CPU 사용률을 특정 시간동안 1시간, 혹은 몇 분 간격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보고 싶거든요.
예를 들면 3월 28일 13시부터 17시 까지, 30분 간격으로 cpu사용률을 그래프로 나타낸...ㅠ_ㅠ;;

혹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