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머그컵이 있군요

http//www.linux.org/about/mugs.html

얼른 kldp 에서도 이런 머그컵이 나왔음 하네요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개발자가 얻는 것은 무엇입니까?(아시는분은 말씀해주세

전 컴맹은 아닌 일반 컴퓨터 사용자입니다.

'리눅스'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보다 낮은 비용, 편리한 사용법 등으로 표현되는 '리눅스'의 원 개발자들
은 어떤 경제적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까?

'리눅스'(기술)를 판매하고 있나요? 아니면, 관련 site를 개설하여 광고수
입으로 살아가나요?

무식한 질문이겠지만,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꼭 대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ealPlayer 로 볼 수 있는 인터넷 방송은 없나요?

얼마 전까지는 MBC가 real로 방송을 보여줬는데...

어느새 asf로 바꾸었네요.

real 로 보고 들을수 있는 국내 방송은 없나요?...

아니면 국내 방송 3사의 웹방송을 asf 에서 real 로 바꾸어서 틀어주는 곳은 없나요?...

그럼...윗줄의 기술이 있으면 좋겠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 꼬집기.. ^^;

흠.. 어제 윈도그2000을 부팅하다 미처 모르고 넘어 가고 있었던
것이 하나 있더군요. 부팅로고에서

MicroSoft
Windows 2000
built on NT Technology

라는 말이 나오는데.. NT가 New Technology 의 initial 인디..
그렇다면 Windows 2000은

NT Technology = New + (Technology*2)

의 등식이 성립하고.. 이는 곧 NT의 2배나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걸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휘슬러..;;

휘슬러.
이게 어째서 스타트 '패널' 인거지;
전혀 감이 안 오네.
X윈도에서 보이는 패널과는 뭔가 느낌이 다른데

여튼, 누가 이게 왜 패널인지 갈쳐줘요-_-;;

__
SOrCErEr

ps. 맘에 안 들어-_-;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플랭클린 플래너..

한 두달쯤 전인가? 교보에서 처음으로 플랭클린 플래너라는 다이어리를
보았습니다. 으음.. 뭐.. 그냥 마음에 들더군요. 그러다가 두달 새에 여
기저기서 자꾸 접하게 되다보니까 욕심이 나더군요.

그래서.. 엄청난 결심끝에.. 아직 멀쩡한.. 다이어리를 내비뚜고 결국은
사버렸습니다. 거금 7만원이나 들여서.. -_-;;;;

전에 쓰던 팜을 종이로 옮긴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계산기나 게임 같은
건 안되지만.. 소설 넣어가지고 다니는 것도..

그래도 스케쥴 관리나... 하는 것들이 일반 다이어리와는 차원이 틀리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그녀를 아직도..............

후~~~~~~~~~~
전 바보인가 봅니다.
그녀를 무척 사랑합니다.......
그런데.. 그녀의 옛 남자들을 생각하면 괜시리 마음이 아파옵니다.
그래서 인지, 그녀에게로 다가 갈 수가 없습니다.
전 바보인가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정들었던(?) 회사를 떠나며...

회사에는 아무런 미련이 없지만,
같이 일하고, 웃고, 떠들고, 술마시던
정든 동료들에게 미련이 남습니다.
괜스레 미안하기도 하고,
마음이 아리네요...

이런, 어디가서 술이나 한잔 했으면 좋으련만...
꿀꿀꿀꿀

참, 소주님 저 라'카'시스 아녜여.
라'키'시스에여....
꿀꿀꿀꿀

저, 내년에는 학생이 됩니다.
꿀꿀꿀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간만에.. 라룩스?? 리눅스??

제가 회사에서 가끔 보면.. 엑셀을 많이 쓰거든요.. (다들 알죠..)
그런데 엑셀 매크로 바이러스 중에 라룩스 라는 것이 있습니다. (알죠..)
그런데 가끔 그것을 리눅스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주변에 많더군요..

리눅스가 유명해서 그런가??
아니면 라룩스가 리눅스의 인기를 등에 업고 유명해진건가??

우찌되었든, 기분은 별루 안좋더군요..
한편으로는 리눅스가 울 나라에서도 유명해져서..
그런거겠져..

그렇게 믿고 살라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많이 바뀌었군요..

전에 올린 글도 다 정리되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