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agios 서비스 추가문의

nagios 를 이용하여 서버 모니터링을 테스트 중입니다.
호스트3개를 등록해서 웹페이지에는 잘뜨는데요, 근데 문제는 모니터링되는 서비스의 값이 3개호스트 똑같이 출력되네요
예로 1번호스트의 / 용량이 2,3번과 같게 모니터링됩니다. 실제로는 다른데 말이죠..
/용량뿐만이 아니라 모든 서비스목록의 값들이 3개의호스트가 동일하게 모니터링됩니다..

서비스추가는 define service{...} 항목을 추가해서 host_name 만 각각의 호스트로 변경해주었습니다.
흠 무엇이 잘못되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agios 설치후 호스트 목록이 안보이네요

nagios 설치후 웹관리자 페이지까지 접속하였습니다.

모든게 디폴트인 상태에서

localhost.cfg 파일
define host{
use linux-server
host_name localhost
alias localhost
address 192.168.1.94 <- 이부분만 테스트ip로 지정했습니다.
}
나머지 설정은 templates.cfg 에 있는 그대로 사용할 예정이구요

웹페이지 접속후 좌측메뉴중 Host 항목에 192.168.1.94 목록이 없네요

다른설정이 더 필요한가요?

adaylily의 이미지

[해결] 구글 앱스 사용할 때 SPF 레코드 즉 화이트 도메인은 어떤 식으로 등록하나요?

안녕하세요.
일단 궁금한게 하나 있어서요.

저희 회사는 구글 앱스를 사용합니다.
때문에 메일에 대한 전체적인 권한은 구글앱스에서 관리를 해서 SPF 레코드등은 컨트롤 할 수 없습니다.
그냥 셋팅만 맞춰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경우 네이버로 메일을 보내면 스펨 메일로 가버립니다.
이걸 어떻게 스팸메일에서 해제할 수 있을까요?

일단 추정은 SPF 레코드 때문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습니다.

babomose의 이미지

포털 운영 및 사내 인프라 관리 업무와 시스템 엔지니어의 길.

안녕하세요.

현재 IT 실무에 몸담은지 1년이 조금 넘은 IT 쥬니어 입니다.

원래 하고 싶던 일은 UNIX와 LINUX의 admin 이였지만 세상일이 마음대로 쉽게 되지 않듯이

회사 사정상(계속 타회사로 팔려나가서요 -_ㅠ) 약 반년의 Wintel 계열 서버의 H/W 엔지니어를 하고 현재는 큰 회사의 보안쪽 업무의 일부를 하고 있습니다. (서버(system)에 대해 깊은 지식을 요구하는 보안 작업은 아닙니다.)

반복되는 업무에 지루함을 느끼고 원래 하고 싶은 일이 UNIX/Linux Admin 이었기 때문에 여러 회사에 지원했지만 번번히 미끄러지고 있습니다. -_ㅠ 크윽...

능력의 부족함을 느끼고 제가 원하던 일과 관련되고 도움이 되는 분야에 몸 담으며 더 공부를 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여기까지는 넋두리였구요.

선배님들 질문은 이렇습니다.

현재 포털 운영 및 사내 인프라 관리 업무 쪽 일을 하게 될 기회가 왔는데 시스템 엔지니어의 길에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nulpum98의 이미지

python 으로 웹콘솔(같은) 프로그램 만들고 싶은데요 어떤식으로 구현해야할까요?

펄을 좀 공부하고 업무에 약간 활용하다가 파이썬에 심취해보기로 하고 공부하는중입니다.

재미있게 공부하고 싶고 이왕이면 업무를 편하게 하는데에도 활용하고 싶은생각인데요.

웹어플리케이션 로그을 다운로드받아 TEXT 에디터에 불러와 보여주는 간단한 기능의 스크립트들을 만들어 써먹고 있습니다.

문득 떠오른게 유닉스 콘솔로 Application 서버를 Stop하고 재기동하는 작업들을 웹하면의 버튼으로 하고 싶은데요(웹로직의 웹콘솔같은)

서버 프로세스가 떠 있는지도 모니터 되는 그런 시스템 운영용 웹화면...

파이썬으로 그런거 만들고 싶은데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장고라는 웹프레임워크가 있다고 하네요.

진짜 궁금한거는 제가 제 PC에 장고로 웹하면을 띄워서 버튼 클릭으로 원격 서버를 재기동할 수 있을까요?(원격서버의 쉘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결과도 Feedback 받는..)

있을거 같은데 어떤식으로 구현하면 될런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od_proxy 와 squid를 이용한 프록시설정

리눅스 프록시서버에 대해 관심이 생겨서 검색을 해보았는데요,
mod_proxy 와 squid 두가지 방식이 있더라구요
여러 사이트에 설치법에 대해서만 대부분 설명되어있어서
두 방식에 대한 간단한 차이점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사용예를 알수있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at 구성안에있는 svn 접속시 외부접속과 포트포워딩 둘다 가능한가요?

인터넷 - 방화벽 - dhcp - svn
- 외부망

이런식으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있습니다. 방화벽에는 해당포트가 모두 오픈되어있습니다.
svn에는 두개의 랜카드가 장착되어있어서 하나는 내부용 dhcp에 다른하나는 외부망으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외부에서 svn서버로 접속시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외부망을통한 접속과 내부망 dhcp에서 포트포워딩을통한 접속입니다.

그런데 두가지 방법 동시에 접속은 되지 않습니다. 즉 한가지가 접속이 되면 다른하나는 안되더라구요
그것도 route시 나오는 default 게이트웨이가 외부인지 내부인지에 따라서 접속방법이 결정됩니다.

혹시 위에 상황이 정상인것인가요?
아니면 두가지 방법이 모두 접속이 되는게 정상인가요?

red10won의 이미지

HP Proliant BL460 Servers 이런건 어디서 사야되요?

HP Proliant BL460 Servers 이런건 어디서 사야되요?
업체마다 다 가격이 다르니

쇼핑몰이 있는것도 아니고 ㅋ

xeon X5560 CPU 4개정도 달수있나요?
메모리는 한 8기가면 괜찮을거 같은데

가격은 어느정도하나요?

red10won의 이미지

IPS장비 벤치마킹한건 없서요?

업체 및 장비명

닷큐어 - 스마트가드

라드웨어 - 디펜스프로

모젠소프트 - 리오레이

시큐아이닷컴 - 시큐아이 NXG D

시만텍 - 시큐어 웹 게이트웨이

아버네트웍스 - 피크 플로우

안철수연구소 - 트러스 가드 DPX

윈스테크넷 - 스나이퍼DDX, 스나이퍼 BPS

컴트루테크놀로지 - 디도스캅

시스코 - 아이언포트 S시리즈

퓨처시스템 - 위가디아 DDOS

한세TNG - NOD4000

LG CNS - 세이프존XDDOS

씨디네트웍스 - 시큐어드 호스팅

트렌드마이크로 - TMS

제이투씨엔에스 - 도브박스 G4000P

smilehsm의 이미지

계발공부를할때

저는 18세 학생입니다.

학교인데 진로관련 검색하는 틈을타 질문올릴게요

저는
C,C++,API,LINUX,CCNA,CCNP Switch
WebHacking(PHP Injection,SQL Injection, shell script)
SystemHacking(buffer overflow, Reversing)
알아요..
Objective-C공부중이에요..

자격증은 ITQ3종, ITQ Master, 정처리기능사, 정기기기능사
..

이번에 CCNA딸려고 공부중이고
후니랑 피터전 C보고있는데 잘모르겠어요

IT_BANK다니면서

세미나듣고 있으면서

[인사이드포렌식, 트러블슈팅, 해킹공격의예술, 열혈C,C++, Objective-C, Xcode, 안드로이드, API정복, 웹해킹, 후니, 피터전 라우팅, QR_Code]등등 관련전문책자 읽어보고있는데
사실 이런 기술들로 개발자들을 따라올수없을것같아서요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