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kbs1439의 이미지

임베디드 리눅스 라이센스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임베디드 개발자로 들어선 지 얼마 안된 신입입니다.

임베디드 리눅스를 이용해 현재는 임베디드 보드 개발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는데요.

임베디드 리눅스 라이센스 관련해서 잘 모르겠더라구요.

리눅스 커널은 GPL로 알고 있는데, 만약에 임베디드 보드에 커널만 포팅한채로 상용화 해도 코드를 다 공개해야 되는 것입니까?

아니면 커널과 모듈만 공개하고 어플리케이션은 공개 안해도 되는 건가요? 리눅스의 프레임버퍼 등을 사용하였으면 어플리케이션도 공개되야 되는 건가요?

만약 어플리케이션은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면, 커널 쪽 수정이 전혀 안하였을 때에도 커널은 공개해야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ozon1000의 이미지

c언어에서 고차함수 프로그래밍기법

함수형 언어의 가장 큰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도드라진 특징은 모든 계산과 식들이 함수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프로그램에서 함수를 한번 정의하면 재사용이 쉽고 또한 함수합성(고차함수)프로그래밍이 가능하여, 비교적 프로그램이 간결하고 짧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c언에서 비슷한 기법을 사용할 수 없을까? 라는 의문을 품고 관련 논문을 찾아보던 도중에 함수 포인터를 이용하면 가능하다는 글을 읽고 Test중인데...

이해안가는 코드가 있네요.. 한번도 c언어를 사용하면서 이렇게 사용한적은 없어서요!

형님들! 코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main문 안의 g = test1(); 에서는 문법오류가 생기지만 정상적으로 build는 되며 실행됩니다.
실행되면 콘솔창에 22라고 뜨게되지요.
제생각에는 원리도 간단한데... main문안의 내용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부탁드립니다.!

kimhw09의 이미지

디바이스 노드 생성할 때 minor number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현재 작업하는 커널은
Linux debian 3.16.0-4-586 #1 Debian 3.16.7-ckt25-2 (2016-04-08) i686 GNU/Linux
입니다.

1. major number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별하고 minor number로 장치를 구별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와닿지가 않습니다.
즉, register_chrdev()와 같은 함수는 단순히 장치이름과 major number를 매개로 장치를 등록하는데 minor number는 어디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하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서 여러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그 장치들을 구별하게 하는 것이 minor number라는 말이 저에겐 추상적이네요..

2. 디바이스 노드를 통해 write와 read를 수행하였는데 write를 한 순간 이전의 write한 것은 별도로 처리 없이는 사용하지 못하나요? 파일입출력에서는
옵션을 통하여 이어쓰기가 되는데 문자 디바이스 파일은 지워지는 것 같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리눅스 바둑 프로그램?

http://www.gnu.org/software/gnugo/gnugo_1.html#SEC2 을 읽다가...
No Go program exists that plays at the same level as the strongest human players.
가장 강한 사람 수준의 바둑 프로그램은 없다...
이제는 그 설명이 바뀌어야 될 거 같네요. 알파고가 사람 중 가장 강한 이세돌을 이겼으니...

http://www.gnu.org/software/gnugo/devel.html 를 보니 오래도록 개발이 중단된 거 같네요...

리눅스 바둑 프로그램 어떤게 좋은가요?

SWengineer의 이미지

학부생 취업관련 학점 관련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수도권 중위권 대학에 다니는 컴퓨터 전공자 3학년 학부생입니다.
이번에 시험 망쳐서 학점이 2점 후반대로 떨어질 것 같은데 심지어 자료구조 알고리즘 네트워크 운영체제 같은 과목을 망쳤습니다.

제가 교수님이 내주신 간단한 과제만 보면 삽질이 하고 싶어서, 계산기 만들다 GUI 붙여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만들고,
DSP 과목에서는 FFT보다 빠른 알고리즘 있다길래 TFFT가? 그런거 짜가고,
네트워크 공부하다 패킵캡쳐 만들고..등등 이상한데 관심이 쏠려서 플젝다운 경험도 없고, 딱 코딩만 잘 합니다.

시험 망치고 든 생각이, 재수 해서 나이도 한살 많고, 대회 나가본적도 없고, 프로그래밍 관련 알바라고 해봤자 남의 과제나
해주고, 교수님이 주신 과제에 기능확장한거 밖에 없거든요.
요번에도 운영체제 듣다가 딴짓하면서 운영체제 만들다가 시험 망하구요...

guliver의 이미지

파이핑에 의한 nmap 사용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포트번호 IP주소.. 순서로 된 파일 정보를 받아서, nmap 으로 해당 IP:포트를 체크하고자 하는데, 파이핑에 의한 실행이 잘 안됩니다.;; 목록파일인 new 라는 파일의 내용이 다음과 같습니다.

# cat new

80 192.168.111.100

기본적으로 사용했던 명령의 형태는 다음과 같은데, 에러가 납니다.

# cat new | xargs -t -i nmap -sV -p {}

nmap -sV -p 80 192.168.111.100

ljh665577의 이미지

인생 고민이 있어 글 올려봅니다..

이 곳에 올려도 될지는 모르겠지만.. 많은 인생선후배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서 글을 남겨보겠습니다.

말재주가 없어서 글이 뒤죽박죽 되있는데 양해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경상도 쪽에서 쭉 살면서 대학교도 경상도에서 나왔습니다.

임베디드 시스템개발자 전문교육과정을 듣기 위해 작년 말에 서울로 올라와서 교육을 수료하였고,

수도권쪽에서 펌웨어 개발자로 취업을 하기 위해 현재까지 서울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현재 제 나이는 28살이고 남자 입니다.
    
    
    
제게는 대학교 때 만나서 현재 5년 가까이 만나고 있는 한살 아래의 여자친구가 있습니다.

만난 지 꽤 오래 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레 결혼이야기를 자주 합니다.

u235의 이미지

proftpd 디렉토리에 실행권한이 없으면

즉 Other 실행권한만 빠진 766 권한일때
소유자 외에는 일절 접근조차 못하네요.

그런데 특이하게 rename, move 까지는 잘 되나
그 폴더에 들어갈수 없고 이름 바꿔서 삭제도 안됩니다.

정말 특이하다고 보는데 원래 이러는거 맞나요?

다음의 여건이 되시는분은 확인 부탁드립니다.,

1. A 계정 또는 삼바로 폴더생성. 그리고 766 이하 설정 (스페셜 권한은 미설정)
2, B 계정에서 그 폴더 삭제 또는 들어갈수 있는지

docsip의 이미지

C++로 지뢰찾기를 만들었는데, 하다가 계속 프로그램이 중지되요 ㅠㅠ

아래는 지뢰찾기에 해당하는 소스코드인데요.
하다가 계속 프로그램이 중단됩니다. ㅠㅠ
예를 들어 seed에 1을 넣고 Choice에 0을 넣으면 프로그램이 중단됩니다 ㅠㅠ
뭐가 문제인가요?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std::cin;
using std::cout;
using std::endl;
using std::setw;

enum say_Yes_or_No { Yes, No };
enum result_of_Games { Success, Failure, Quit };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