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리눅스 라이센스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글쓴이: kbs1439 / 작성시간: 화, 2016/06/14 - 2:38오후
임베디드 개발자로 들어선 지 얼마 안된 신입입니다.
임베디드 리눅스를 이용해 현재는 임베디드 보드 개발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는데요.
임베디드 리눅스 라이센스 관련해서 잘 모르겠더라구요.
리눅스 커널은 GPL로 알고 있는데, 만약에 임베디드 보드에 커널만 포팅한채로 상용화 해도 코드를 다 공개해야 되는 것입니까?
아니면 커널과 모듈만 공개하고 어플리케이션은 공개 안해도 되는 건가요? 리눅스의 프레임버퍼 등을 사용하였으면 어플리케이션도 공개되야 되는 건가요?
만약 어플리케이션은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면, 커널 쪽 수정이 전혀 안하였을 때에도 커널은 공개해야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Forums:
네. 커널과 모듈 코드 전부 및 GPL 코드가 들어간
네. 커널과 모듈 코드 전부 및 GPL 코드가 들어간 프로그램은 공개해야 합니다. 수정을 전혀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면 제가 GPIO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면 제가 GPIO 드라이버를 설계하고 이 드라이버를 오픈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면 어플리케이션도 공개해야된다는 건가요?
아뇨, 드라이버는 공개해야 하지만 프로그램은 선택
아뇨, 드라이버는 공개해야 하지만 프로그램은 선택 사항입니다.
공개 요구(의무)란
개별 개발자 보다는 아마도 칩 제조자에게 해당되는말 일겁니다.
일례로 Nvidia는 드라이버 공개를 끝내 거부했고 토르발스는 이에데헤 nvidia fuck you 라며 심하게 욕설까지 한적도 있었습니다,
James Gostling
아쉽게도 개별 개발자와 칩 제조자 둘 다 해당합니다.
아쉽게도 개별 개발자와 칩 제조자 둘 다 해당합니다.
@kbs1439 커널 드라이버나 응용 프로그램은
@kbs1439
커널 드라이버나 응용 프로그램은 공개는 개발자 또는 회사가 결정할 일이지, 공개 의무는 없어요.
만일 그렇다면 리눅스에서 상용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하나요?
대표적인 예가 엔비디아, AMD의 리눅스 그래픽 드라이버인데요.
드라이버 소스 공개하면 핵심 기술이 알려져 경쟁력이 떨어지니까
비공개 정책을 유지하는 겁니다.
> 개별 개발자 보다는 아마도 칩 제조자에게 해당되는말 일겁니다.
> 일례로 Nvidia는 드라이버 공개를 끝내 거부했고 토르발스는 이에데헤 nvidia fuck you 라며 심하게 욕설까지
> 한적도 있었습니다,
엔비디아에게 욕은 할 수 있었도 GPL 라이센스 위반 소송은 걸지 못합니다.
엔비디아가 GPU 병렬 처리 기술로 수퍼 컴퓨터 시장까지 진출하고 있는데요.
리눅스 그래픽 드라이버에 이 기술까지 들어가 있어요. 공개하겠습니까?
GPL 라이센스 프로그램 소스를 제품마다 넣을 필요도 없어요.
원하는 이가 내려받아 쓸 수 있게 서버에 올려 놓기만 해도 됩니다.
Devuan 1.0 (Debian without systemd)
amd64 station: AMD FX(tm)-6100 Six-Core Processor, 8 GB memory, 1 TB HDD
amd64 laptop: HP Touchsmart
글쇠판: 세벌 최종식, 콜맥 (Colemak)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