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enforus의 이미지

계정삭제 방법

KLDP 에 몇일전에가입했는데 비밀번호 요청해서 다시 변경해도
계속 문제가 생겨서 일단 탈퇴를 하고 다시 가입하려는데

'내계정'화면에서 탈퇴가 않보이는데

혹시 어떻게 계정삭제하는지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ungsoo81의 이미지

미국에서 새 분야로 이직하기 위한 조언

안녕하세요

늦깢이로 유학을 왔다 여러 예상치 못한 문제로 졸업을 하지 못한 채 조그만 회사로 취업을 했습니다. (컴퓨터와 상관도 없는...)

이제 35이 코앞인데 더 늦기 전에 도전을 해볼까 합니다.

지금 고려 하는것은

Networking Engineer / Analyst

or

Linux System administrator 혹은 engineer로 지원해 보고 싶은데요

졸업못한 학교를 다시 가기는 힘들고

자격증을 따서 entry 레벨이라도 도전하고 싶습니다.

CCNA / NP 와 리눅스는 LPIC 딸려고 하는데 취업에 도움이 될만한 다른 자격증이 있을까요?

어떤 필드의 자격증을 따야 실무에 도움이 될까요?

또한 온라인 강좌 같은거 추천 해주실만한 곳이 있을까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lwkrgoqhfrk의 이미지

jetsonTK1 보드를 이용한 ubuntu 환경에서 kinect카메라 스켈레톤 구현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 jetsonTK1를 이용해서 skeleton를 구현 하는 것 입니다.

jetsonTK1 은 ubuntu 환경이구요
보드와 연동된 kinect카메라를 이용해서 카메라에 사람이 인식되면 사람 위에 선이 그려지는 것을 하려고 합니다.

현재 키넥트카메라와 보드는 연동을 했습니다. 그리고 적외선 영상으로 화면이 출력되구요

뎁스 데이터를 받기 위해서 소스코드를 보는데

1.초기 뎁스데이터를 카메라에서 받으면 쉬프트>>8를 이용해서 값의 크기를 0~255로 만듭니다. 왜 이렇게 비트를 이동하여 0~255로 변경한 것인가요?
RGB가 R : 0~255 G : 0~255 B : 0~255 범위이기 때문인가요?

만약 RGB값 때문에 0~255로 변경 한 것이라면 왜 그런 것인가요? 뎁스 값을 받아서 바로 이용은 할 수 없는 건가요?

jic5760의 이미지

named DNS서버 특정 도메인만 설정하는법?

내부 DNS서버를 이용하여 특정 도메인에 대해서만 IP을 바꾸고 싶습니다.

사용하는 도메인이 example.com 이라고 할 때

example.com과 sub1.example.com은 내부 DNS서버에서 내부 IP으로 바꾸고

sub2.example.com등을 비롯한 다른 서브 도메인과 MX 레코드등은 기본 DNS서버에서 받아오도록 하고 싶습니다.

zone파일에
IN NS (외부DNS서버IP)
또는
@ IN NS (외부DNS서버IP)
이렇게 추가를 해 보았지만 안되네요..

raymundo의 이미지

서버에 들어오는 HTTP 요청을 분기(?)시켜 두 곳에서 처리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서버 A가 있고,
이 안에 10000 번 포트에서 도는 웹 서버가 있습니다.

http://A:10000/resource/id
이런 식으로 요청이 들어와서 응답을 받아가는데,

id 별로 얼마나 응답이 들어오는지를 실시간으로 카운트를 하고 싶은데, 문제는 이 10000번 포트에서 도는 서버는 외부에서 제작해준 거라 소스도 볼 수 없고 손을 댈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혹시 가능하다면 저 요청이 들어왔을 때 그걸 중간에서 분기시켜서 다른 포트로 전달하여 그 포트에서 대기하던 다른 서버가 요청을 받고 카운트만 올리거나(웹 요청은 nginx가 받고 있음)
(이 경우 이 서버는 응답을 보내주면 안 될텐데... 이건 또 어쩌나 싶네요), 암튼 어떻게든 저 요청이 들어온 걸 카운트하고 싶은데요.

ddakker의 이미지

centos linux multicast jgroup 질문드립니다.

안녕 하세요.

[환경]
CentOS release 6.4 64BIT
방화벽은 전체 해제한 상태입니다.

jqroups 를 이용해서 서버간 UDP Cluster 를 하다가 질문 드립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javagroups/files/JGroups/3.3.3.Final/jgroups-3.3.3.Final.jar/download

아래와 같이 테스트 하면 통신이 재대로 되지 않네요.
같은 서버에서 Receiver, Send 하면 잘 됩니다.

또한 멀티케스트 IP를 224.0.0.1~255 를 이용하면 서버간 통신이 잘 됩니다.

또한 동일한것을 윈도우에서 두 컴퓨터에서 해도 정상적으로 통신이 됩니다.

무슨 설정이 누락 되었을까요?

qkrruddnjs12의 이미지

프로그래밍 공부

안녕하세요 저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려는 학생입니다

제가 다룰 수 있는 언어는 매트랩, C, 자바, 포트란 정도 뿐이지만

코딩을 하면서 느낀 점은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문법을 익히는 것 자체가 그렇게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그 보다는 주어진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풀어낼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이 더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 풀이 사고는 어떤 언어를 익히던 간에 중요한 자산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구구단을 출력한다던가, 하트를 그린다던가 하는 예제들을 모아놓은

문제 리스트나 책들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k1d0bus3의 이미지

커널 PAE enable에 대한 댓가가 어느정도죠?

커널설정을 하다가 도움말을 보니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CONFIG_X86_PAE:
PAE is required for NX support, and furthermore enables larger swapspace support for non-overcommit purposes.
It has the cost of more pagetable lookup overhead, and also consumes more pagetable space per process.

"pagetable lookup overhead", "pagetable space per process" <- 이 두가지가 과연 어느정도인지 감이 잘 안잡힙니다.
32bit 프로세서(i686)에서 체감가능할 정도인가요?

persona47의 이미지

대4학생인데 방학때 할수있는것들...

일단저는 프로그래머가 꿈인 학생입니다!

방학때 포폴준비도중요하지만 딱히 프로젝트 할사람이나 루트를찾기 힘들어서
국비지원으로 교육원이나 학원을 다닐생각인데요..

KH정보교육원에서 하는 자바웹개발자 과정이런게잇는데 ..https://iei.or.kr:40315/edu/sub01/sub01_01_01.jsp
저는 웹쪽은 별로거든요...솔직히 자바보다 씨플플이더좋구요.

보통 국비지원이나 이런교육들보면 인문계나 미취업자들(전공지식없는)을위한 커리큘럼으로
보통되어있어서 찾기가힘든데..그냥 편식하지말고 이쪽도 한번 배워보는게 좋을까요?

뭔가 심화학습을하면서 프로젝트도같이 쪼그맣게 해보고싶은데
학원찾아도없고 할방법이 잘안보입니다.
조언좀 부탁드릴게요

jw8704의 이미지

공부장소 집 vs 학교 도서관

이전까지는 아침에 학교가서 밤 12시경에 집에왔었습니다.

이렇게하다보니 , 학교에서 점심이후 약간 피곤하고 저녁이후 약간 피곤할때 누워보지못하고 책을 보려니 효율이 떨어지는것을 느꼈습니다.

집에서 첨에 몇일 해보니 , 이점이 너무좋았습니다. 집중도잘되고 , 피곤할때 잠깐 누워서 할수도있고 , 효율은 높아지는것만 같았죠...

그런데 이게 몇주지나니.. 눕는시간이많아지고 tv 보거나 딴짓하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물론 잠깐 집중할때 집중은 잘됩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학습진도가 지난 4~5개월간 너무 부진하여 올해 연말 정산때 학습량을 좀 높이려면 앞으로 남은 6개월을 진짜 ㅈ 빠지게 해야하는 상황이 와 버렸습니다.

그래서 다시 학교도서관을 가려고하는데 여기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집에서의 잘갖춰진 인프라를 활용해서 다시한번 도전!

2.이득 을 좀 낮추고 , 안정성을 확보한 작전으로 도서관 이용!

조언,추천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