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livey의 이미지

우분투 18.04 에서 initctl command not found

안녕하세요
우분투 18.04 에서 svn 서버 설치중인데 터미널에서 initctl 명령어가 없다는 메세지가 자꾸 뜨는데
/sbin 에 해당 명령이 없는것같습니다.

이 명령어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hammazzang의 이미지

디스크가 두개인데 파티션이 같아요

안녕하세요. 현재 서버를 운영중에 있는데 너무 이상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서버에 디스크 2개를 달고 하나는 미러링 용도로 하여 사용중에 있습니다.
파티션까지 모두 동일하게 사용중이에요.

근데 이상한 점이

/sda2 랑 /sdb2 랑 같은 포인트인거같아요.

예를 들어

/sda2 /
/sdb2 /mir

이런식으로 마운트해서 사용중인데,

touch /a
로 a 라는 파일을 만들면
/mir 에도 똑같이 a 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이 됩니다.

이 때문인지...두 디스크를 모두 서버에 장착시켜야 부팅이 되요
마스터건 미러링이건 둘중 하나만 장착 후 부팅을 시키면 부팅이 안되네요 커널패닉나면서 ㅠㅠ

이같은 상황 겪어보신분 계신가요 ㅠㅠ 도와주세요..

Hodong Kim@Google의 이미지

자유/오픈소스 관련 많은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어떤 분 쓰신 글 보니 옛날 생각 나는군요.
사실 이번 4월초에 포도막염 또 생겼는데, 지금 거의 다 나았네요.
이번에 어떤 분 하고 열심히 싸웠는데 그거 때문에 생긴 거 아니에요.
포도막염이 2013년 libhwp 사건 때 최초 발생했고, 그 후로 몸이 피곤하면 계속 생기더군요.
2014년부터 발생하는 포도막염은 다행히 약하게 발생합니다.
해마다 포도막염이 생기는데 그때마다 libhwp 사건 생각납니다.
libhwp 메일링 리스트, 관련 프로젝트 삭제해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런데 그 때 상황이 말이죠.. 2013년 포도막염은 진짜 심각해서 한쪽 눈이 심하게 아파서 잠도 안 오고 눈물이 줄줄 흘렀었습니다. 한쪽 눈이 명암 파악만 가능하고 앞이 안 보였죠. 자살 충동 심하게 느꼈습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libhwp 메일링 리스트, libhwp 관련 각종 저장소를 삭제한 것입니다. 기분 나뻐서 삭제한 것이 아닙니다. 아무튼 변명이고 제가 잘못한게 맞습니다.

cococo의 이미지

windows server 2012 에서는 32bit 바이너리를 프로그램 실행 못하나요?

VS2010( C++ ) + mysql.msi ( libmysql.dll ) 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습니다.

근데, 이게 32bit 버전으로 컴파일된 실행파일입니다.

구조는 디비에 주기적으로 접속해서 데이터 변경해 주고 감시하고... 그런 겁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을 고객사 가상서버 ( windows 2012 R2 가비아 ) 에서 돌리니까, 실행이 안되는군요.

사무실 개발 피씨 ( Win10 x64) 에서는 실행되는데, 가상서버에서는 실행이 안되는 겁니다. 에러창 띄우고 죽습니다.

최초에는 msvcr100.dll 메시지가 나와서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confirmation.aspx?id=13523
에서 패키지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설치)했는데 안되고.

emptynote의 이미지

혼자 북치고 장구치는 개발을 하다 보면 참 쓰잘데 없는데 시간을 보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혼자 북치고 장구치는 개발을 하다 보면 참 쓰잘데 없는데 시간을 보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초창기 설계를 할때 비밀 번호 찾기를 질문과 답으로 하려다가

이번에 email 로 비밀 값을 보내 그 값을 맞출 경우 비밀번호를 재 설정하는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하여 이메일 주소는 개인 마다 겹치지 않도록 DB 테이블에서 unique key 로 varchar(320) 으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아.. 윈도10 OS 에 설치된 mysql 에서는 별 문제 없다가

서버로 운영할 데비안에서 DB 테이블을 생성하고자 하니 키 크기 767 bytes 제약 에러가 발생하네요.

email 주소의 경우 최대 값이 320 byte 인것을 알아내서 varchar(320) 으로 설정했는데

기본 문자셋인 UTF8 인 상태에서는 varchar 1글자가 3바이트 혹은 4바이트로 처리를 해서인지

키 크기 767 bytes 제약에 걸리네요.

부랴 부략 문자셋을 라틴으로 변경 하였습니다.

alsgh9411의 이미지

pptp를 구성하고 윈도우에서 연결 후 인터넷이 안됩니다.

제가 이번에 시스템엔지니어로 이직을 하게 되어서 회사에서 여러 과제를 하고 있습니다.
구글링 해도 잘 모르겠더라구요... /etc/ppp/chap-secrets에 ip를 따로 지정을 해서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고 싶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모르는 상태에서 오픈하냐 말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ㅠ.ㅠ

데이터 송수신 세상은 참으로 오묘하네요.

웹에서 echo 메시지 페이지 요청하면

발로 짜서 로컬 연결임에도 불구하고

에코 메시지에 대한 속도가 0 milliseconds 가 안나온다고 위로(?) 하고 있지만

도스창(?) 열고 쓰레드 3개쯤 열어 무한 루프로 지속적으로 요청을 하면 이게 왠일로 200 ~ 350 microseconds 가 나오고 그 상태에서 다시 웹에서 echo 메시지 페이지 요청하면 응답 속도가 대략 600 microseconds 가 나오니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네요.

쓰레드가 잠들었다가 깨어나는것 없이 쉬지 않고 계속 일하기 때문이라고 추정을 하지만

어디까지나 제 생각일뿐 진실은 잘 모르겠습니다.

왜? 이런건지 모르는 상태로 오픈해도 될지 고민이 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코딩 질문입니다

udp 통신으로 해당 포트에 특정 문자열을 입력하면
OKAY_IP주소:포트번호 형태로 데이터를 받아옵니다

그럼 받아온 IP주소와 포트번호로 새로운 데이터를 보내는 것인데요

여기서 받아온 IP주소와 포트번호를 문자열을 잘라서 여기에 새로운 데이터를 보내야하는데
문자열 자르는 법을 잘 모르겟네요... 수정좀 부탁드려요

levis93의 이미지

Visual Studio 2019에서 UTF-8로 한글 스트링에 대해서 std::cin이 안되네요

학교에서 C++ 과제를 하는데 cin으로 한글이 입력이 안되어서 테스트 소스를 작성하여 테스트 중입니다.

C++11 표준대로 std::cin에 UTF-8로 한글 입력을 받으려고 하는데 윈도우 콘솔 출력 시에는 아무것도 안나오는데 제 테스트 소스 코드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나요?

실행 결과는 이렇게 나와요.

--------
입력.
가나다라마바사

Press any key to continue . . .
[경로명] 이(가) 0 코드로 인해 종료되었습니다.
이 창을 닫으려면 아무 키나 누르세요.
----------

std::cin.imbue를 없애도 똑같이 입력받은 스트링이 보이지가 않습니다.

과제는 비주얼 스튜디오로 해야하는데 우분투의 G++ 8.0.4로 작성할 때에는 입력받은 한글 스트링도 제대로 나옵니다.

kmssu4305의 이미지

빌드시 필요 패키지 버전에 대해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패키지 혹은 커널 빌드 시에
개발자들간의 빌드 환경을 일치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현재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계신지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처음 게시하는 글이라 주제나 방식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궁금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linux 환경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빌드하고 싶을 때 필요한 패키지들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커널 빌드를 예로 들면 build-essential libncurses5 libncurses5-dev 등이 있겠죠.
문제는 apt-get으로 받는 패키지들이 향후 업데이트되어 버전이 변경이 되었을 때 과연
이전에 빌드하였던 방식대로 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관리 하는것이 좋은가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아마 커널 빌드보다는 그 이외의 창작물에 대해서 자주 발생할 것 같습니다.

기존에 잘 빌드 되었다고해서 새로운 호스트PC에 프로그램 소스를 받아 빌드할 때는 관련된 패키지의
버전이 달라져서 빌드에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죠.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