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trymp의 이미지

http post 방식으로 파일을 업로드 할때 질문입니다.


http post 방식으로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binary 파일을 업로드 할때

이때 http header 안에 파일이 포함되고 multipart/form-data 형식으로
들어가는 걸로 아는데요.

header 끝을 0x0d 0x0a 이걸로 구분하는 걸로 아는데
binary 파일 안에 0d0a 가 들어가면 header 끝 구분이 틀려지는 것 아닌가요?
서버에서도 header 끝에 대한 인식을 0d0a 로 할 것 같은데요

HTTP 전송방식에 대해 잘몰라서 아시는 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alupo20의 이미지

mysql관련 질문입니다.

create table kldp (num integer auto_increment primary key, contents text);

이런 형식으로 테이블을 형성했을 때

테이블을 비우고 새로 채워도 num값은 초기화되지 않고

이전 번호에서 이어나가던데

초기화 해주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sangjun11316의 이미지

중복된 실행파일(?) 들이 여러 경로에 존재할 때 원하는걸 선택하는 방법 (MPI 관련)

안녕하세요, MPI관련 실행에 문제가 있어 질문드립니다.

에러메시지는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
mca: base: component_find: unable to open /APP/ ~~~ /openmpi/mca_...: /APP/ ~~~ / : undefined symbol: ~~~ (ignored)
.
.
.
tcp_peer_recv_connect_ask: received different version from [[ ~~~ ], 0]: 1.8.5 instead of 1.10.5
----------------------------------------------

minjae0116의 이미지

입력받은 값들 중 best - worst 값 출력하기

#include
#include

int main(){

int student;
int *scor;
int temp=0,i=0,best=0,worst=0;

scanf("%d",&student);

scor = (int*)malloc(sizeof(int)*sizeof(student));

for(i=0;i scanf("%d",&temp);
scor[i] = temp;
}

worst = scor[0];
best = scor[0];

kerus1024의 이미지

리눅스 자바에서 MS949 사용

안녕하세요

private static final Charset MS949 = getCharset("ms949");

리눅스에서 이게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

CP949와 MS949 에서 사용가능한 문자열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그 문자셋까지도 사용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까?

sangjun11316의 이미지

리눅스 리다이렉션에서 ^H 따위의 문자가 추가로 붙는 것

안녕하세요,

방금 qsub 매뉴얼을 보려는데 줄이 너무 많아 좀 검색하며 보고싶어 리다이렉션을 했더니

$ man qsub > qsub_man.txt

매뉴얼 내용이 깨져서 qsub_man.txt에 들어가더군요 (첨부 '리다이렉션 볼드체' 참조).

조금 보니 man 에서 볼드체 처리된 부분들이 ^H 문자와 함께 두번씩 적혀있더군요.

(ex. 진한 N -> N^HN, 진한 NAME -> N^HNA^HAM^HME^HE)

규칙성이 눈에 보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H 와 그에 따라오는 문자 하나만 제거해주면 될 거라 생각하고 아래와 같은 것들을 시도해봤는데, ^H 가 문자열이 아닌 어떤 Tab 문자나 그런애들로 인식이 되는지 (첨부파일과 같이 파란색으로 나타납니다) 문자열 치환으로는 잘 해결이 안되더라고요.

(vi 편집기 안에서)
:%s/^H.//
# ^H와 그 뒤에 따라오는 문자 하나를 없애는걸 생각하고 입력

세벌의 이미지

서울서체를 리눅스에서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시 정책이 서울시 홈페이지 밖에서 서울서체를 배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서울서체를 내려받으려고 보면 엠에스 윈도용, 맥 용만 있고 리눅스 용은 없습니다.
윈도용 내려받아보니 압축파일인데, 압축 풀면 윈도 전용 실행파일이 나옵니다. 이걸 리눅스에서 쓸 수는 없겠죠?

서울시에 민원 넣고, 메일 보내고, 직접 찾아가서 담당자 만나고...
그 결과, 서울서체 담당자가 서울서체 홈페이지에 수동설치 링크를 만들어주었네요.

https://www.seoul.go.kr/seoul/font.do
이 링크에서 서울서체(수동설치) 클릭해 보셔요.

이 파일을 받아서 리눅스에서 쓸 수 있게 하는 기술적 방법은 리눅서들이 잘 알고 있겠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객체를 리턴하는 경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C++코드를 작성하던 도중 어려움을 만나 질문드립니다.
코드 작성을 완료하고 컴파일을 하던 와중에, 동일한 파일로 입출력을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10번 컴파일을 시도했을때 1~2번정도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은 제가 person* a와 같이 선언한 객체포인터의 access 오류때문인 것 같은데(person은 클래스 입니다.)
제가 c++코드에서 구현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person class가 존재합니다.
2. person* prs[150]을 private 멤버로 가지고 있는 people class가 존재합니다
3. 메인 함수에 person * a와 같이 객체포인터를 선언합니다.
4. 메인에서 people class를 선언한 후, people class에 있는 person *prs[150]중 특정 한 index,
예를 들어 prs[0]에 new person과정을 거쳐 동적할당 해준 후, 다음과 같은 method를 이용하여 리턴받습니다.

kyjnaya의 이미지

write함수 반복할 때 일어나는 일

안녕하세요.
요즘 write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는 디스크에 저장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약 5ms 주기로 8k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어느 순간 write함수 수행 후 100ms 가량 멈추고 다시 수행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현재 코드는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while(1)
{
write(); //데이터 저장
usleep(5000);
}

여기서 실제로 write 함수 수행 시간은 얼마 되지 않는 것 같은데
왜 갑자기 딜레이가 발생하는 지 궁금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