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보안

임근섭의 이미지

리눅스 (우분투.CENTOS, 페토라코어 같은) 업데이트 질문...

우분투 같은걸로 예를 들면요
지금 6.10 버전이 잖아요
그런데 6.10 버전을 설치 해서 사용하면서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중이라 치면
그 상태에서 그놈인가요? 흠. 암튼 X WINDOWS에서 업데이트 해주는곳이 있잖아요
그걸로 업데이트를 계쏙 해주면

나중에 우분투 7.x버전이 나왔을때
포멧하고 다시 설치 안해줘도 그 업데이트를 통해서 6.10 버전이 자동으로 7.x버전 하고 동일한

aero의 이미지

PHP의 한 Security담당자가 결국 독한마음먹고 사임하기로 했답니다.

Stefan Esser( http://blog.php-security.org/authors/1-Stefan-Esser )라는 PHP의 보안관련 리포팅을 담당하던 사람이 스스로 그 일에서 손떼기로 했다고 합니다.

참고:
http://blog.php-security.org/archives/61-Retired-from-securityphp.net.html

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유는 많지만 PHP의 보안을 내부적으로 부터 향상시키려는 시도는 헛된일이었다라는걸 깨달은게 가장 큰이유이고 그외에도 PHP의 보안상 문제에 대해 문제삼으면 고치려기보다는 PHP Group으로 부터 각종 태클과 PHP에 비우호적인 인물이라고 낙인찍혀버리며 PHP의 보안상 구멍을 밝혀내고 또는 Suhosin - an advanced protection system for PHP ( http://www.hardened-php.net/suhosin/ ) 개발한다는 이유로 비도덕적인 배신자(immoral traitor)라고 불리우는데 대해 더이상 참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jiggol의 이미지

데스크탑에 리눅스를 깔아보려는 사용자 입니다. 파티션 분할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리눅스는 몇 번 깔아만 보았던 사람으로써 주변장치들을 커널에 올리기 위해서 커널 컴파일 등의 삽질을 오래전에 해보다가 번번히 실패의 경험을 맛봤던 사람입니다.
이번에 다시금 마음을 먹고 지금 우분투 안정화 버전중 최신 버전을 설치하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현재 저의 데스크탑은 1개의 120GB HDD를 가지고 있고, C:(20GB) / D:(나머지 빈공간모두)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2개의 파티션 모두 NTFS로 되어있습니다. C: 주된 용도는 운영체제 설치와 기타 설치용 프로그램만을 넣어두고 D:에 포멧 등으로 인해 분실되어선 안되는 데이타를 담고 있습니다.

조대철의 이미지

[리눅스]rpm의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려고하는데..

과제를 위해 frees/wan을 사용하려고하는데
rpm --import freeswan-rpmsign.asc로
gpg키를 처리해야하더군요..

헌데 위의 '--import' 옵션은 rpm 4.1부터 지원을 합니다..(레드핫으로는 8.0부터)
제가 쓰는게 우분투 리눅스 5.04버전에 있는 rpm 4.0.4 ...
헌데 문제가, 아무리 버전업 해보려해도 어찌해야하는지 알 수가 없네요...(리눅스 초보자라서..)

lllM3의 이미지

Linux 원격 설치

로컬 네트웍 밖에 원격에 있는 서버에 리눅스를 설치 하는 방법이 있나요?

서버에는 아무것도 설치 되있지않고 인텔프로세서 렉스타일 서버입니다(서버 호스팅중).

리눅스는 레드햇, 우분투, 데비안 중에 하나를 설치하고자 합니다.

네트웍에 연결되어있고 아무것도 설치되지 않은 원격 컴퓨터

legoboss의 이미지

[12월02일] 한글과컴퓨터 제3회 리눅스 개발자 포럼 개최

한글과컴퓨터에서 리눅스 개발자 포럼을 한다고 합니다.
사전 등록을 받고 있네요.
관심 있으신 분은 아래 링크로...

http://www.haansoftlinux.com/home/noticeView.php?no=1021
-------------------------------------------------------------------------------

마잇의 이미지

리눅스, 자유 소프트웨어에게 이제 남은 것은 뭐가 있을까요?

전 남은 것은 라이센스 문제만이 남았다는 생각입니다.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포본들 설명서나 유저 공동체에서 나오는 각종 문서, 팁들을 살펴 보면 상당 부분 라이센스 문제와 연관이 있는 부분입니다.

전 리눅스를 좋아하고 일상적인 데스크탑의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리눅스에 뭐가 부족한가 자주 생각해보곤 했습니다. 그 중 대부분은 이미 해결되었고 이제 기대를 뛰어넘어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기술과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이제 거의 해결되었다고 봅니다.

aesthetic의 이미지

/proc/net/tcp 의 정보 중 state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소켓의 상태가 16진수로 표현이되던데 각 수 마다 의미하는 것을 알고싶습니다...
established와 syn_sent 이런것들과 16진수와 연결해서 알아야하고 각 상태가 의미하는바를 알아야하는데 여기저기 찾아봤지만 부족한 검색실력과 지식으로 아직 모르겠습니다..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리눅스교육의 이미지

11월의 정통부지원 리눅스 전문교육 안내

정보통신부주최
공개SW 전문인력 양성교육

주 최 : 정보통신부
주 관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수행기관 :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리눅스원(주)

■ 수강안내
○ 교육시간 : 과정별 주간 5일, 1일 8시간 총 40시간 기준 교육
○ 지원자격 : 개발자 및 시스템 엔지니어, 공공기관 재직자, 관련 경력자 등

리눅스교육의 이미지

리눅스 전문인력 양성교육 안내

정보통신부주최
공개SW 전문인력 양성교육

주 최 : 정보통신부
주 관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수행기관 :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리눅스원(주)

■ 수강안내
○ 교육시간 : 과정별 주간 5일, 1일 8시간 총 40시간 기준 교육
○ 지원자격 : 개발자 및 시스템 엔지니어, 공공기관 재직자, 관련 경력자 등

페이지

리눅스 + 보안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