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주최 공개SW 전문인력 양성교육
주 최 : 정보통신부 주 관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수행기관 :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리눅스원(주)
■ 수강안내 ○ 교육시간 : 과정별 주간 5일, 1일 8시간 총 40시간 기준 교육 ○ 지원자격 : 개발자 및 시스템 엔지니어, 공공기관 재직자, 관련 경력자 등
현재 네트워크를 전공으로 하고있습니다. 네트워크만으로는 조금 부족한것같아서 리눅스에 관심을 두고 있는데요... 리눅스 종류가 여러가지라 어떤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많이되네요.. 레드햇을 많이 쓴다는정도만 알지 리눅스에 대해서는 전혀 초짜라서.. 조언좀 부탁드릴께요 현재 리눅스를 배워볼려는것도 서버에 대해 중점을 두고 배워볼려고 합니다.. 물론 유닉스가 더 좋겟지만
802.1x는 유선에서도 쓰이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supplicant (노트북) - authenticator (장비) - authentication server (RADIUS Server) supplicant <---------> authenticator <--------------> authentication server . EAPOL UDP (EAP)
이렇게 망이 구성되어 있을 때 authenticator는 supplicant가 인증을 완료하기 전까지는 통신을 못하도록 막아두어야 하죠.
윈도우 프로그래밍 하면 WIN32가 대표 되는데 리눅스에서 WIN32에 비견 되는게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WIN32의 UI 부분 말고 시스템 프로그래밍 쪽의 API들을 리눅스를 통해서
구현하려면 어떤쪽으로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시스템 감시해서 인덱싱 하는 그런 프로그램 만들고 싶거든요 ^^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이 주관하는 본 교육은 공개 SW 산업화 부진으로 인한 인력에 대한 미성숙 및 인력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향후 공개SW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계층별, 기능별 기술인력의 양성 기반을 구축하는데 있습니다.
교육기회를 확대하여 더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해 드리고자 추가교육 과정을 개설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입대한지 드디어 처음으로 휴가를 나옵니다. 제가 1차휴가를 조금 늦게 쓴 편이긴 합니다만. 원래 전의경은 입대한지 1년만에 1차휴가를 나옵니다.
육해공군은 진급할때 휴가 나오고 입대 100일때 휴가 나온다면서요? 그리고 이것저것 휴가 라는데.
아무튼 전의경은 공식적인 휴가는 3번의 휴가가 있는데
하이버스 보드 쓰시는 분들 USB질문좀 할께요 제가 하이버스 x-hyper255B 보드를 쓰는데요
usb slave포트가 하나 있거든요, 보드 회사에 전화해보니깐 usb-ethernet 만 지원한다고 하는데
제가 하고 싶은것은 보드에 리눅스를 포팅시켜 놓은상태에서 host pc가 윈도우가 깔려 있게됩니다. 이상태에서 usb를 pc와 보드로 연결했을때 마치 usb메모리를 인식하듯이 윈도우가 깔린 pc에서 보드를
KLDP의 메인화면에 중국발 brute force attack 에 대한 wkpark님의 글(http://kldp.org/node/73105) 이 연일 올라와 있네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가 봅니다.
저 또한 관리하고 있는 서버가 있는지라.. pam_abl를 설치하려 하니 데비안 stable에 패키지가 없길래. 바로 포기하고.. -_-;; 위 글의 추천 링크인 http://la-samhna.de/library/brutessh.html 를 읽어봤습니다.
뭐시냐.. 꼭 제가 글 쓰면 왠지.. 그냥 쓰는 글인데도 불구하고.. 뭘 요구하는 것도 아닌데.. 말씀들이 잘 없으시던데..(그건 왜 그럴까 궁금해서요.)
그건 그렇고 ... 혹시 VDSL... 그것도 KT Megapass로 해서... 쓰시는 분들 혹시 계신가요? 리눅스에서 말이죠. 뭐, DHCP로 잡으면 되는건 저도.. 대강 알고 있습니다만... 그게 문제가 아니오라... DHCP에서 안 잡히더라고요. 케이블을 바꿔야 되나... 그래서 혹시나 쓰고 계신 분들 계시면 여쭤 볼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