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asbubam의 이미지

C언어로 작성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C언어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공부방법론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꾸준히 보면서 공부하면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초기 진입장벽이 높지 않으면서,
메일링 리스트가 활발하고,
구조가 아름다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알고 계신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또는, 구독하고 계신 메일링 리스트나 관심을 두고있는 C언어로 작성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좋은하루되십시오.

twins99의 이미지

C언어로 작성된 이미지 인식

C언어로 작성된 파일을 notepad에서 읽어

이미지 capture를 한 후에

해당 이미지파일을 인식하여 source code를 다시 뽑고 싶습니다.

이런 utility가 있나요?

소스코드에 특화된 유틸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son2son의 이미지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할때 추천할만한 공부 방법이나 방향이 있을까요?

비전공자인데, 취미로 프로그래밍 공부중입니다.
전부터 관심은 가지고 있어서 정보처리기사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python에 관한 입문서를 보고,
euler project에 올라온 문제들을 하나씩 풀어보고 있는데요.

문제 풀이는 재미있는데,
뭐랄까 그냥 퀴즈 푸는 기분이 좀 들어서요.
좀더 쓸모있는 것을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런 경우 어떤 방향으로 공부를 해보면 좋을까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찾아서
소스를 읽어보거나 하면 좋을까요?
아니면 자료구조나 기본 알고리즘을 다룬 책을 읽어볼까요?
그것도 아니면 스마트폰 앱 같은걸 만들어 볼까요?

red10won의 이미지

가끔 자기가짠 코드를보면서 예술이야라고 느낀적있나요?

가끔 자기가짠 코드를보면서 예술이야라고 느낀적있나요?

정말 덕지 덕지 붙은 알고리즘을 머 단 몇줄로 줄인다던지,

그런 경험들 있으신가요 ㅋ?

dalmagi의 이미지

이런 라이센스가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리눅스를 서버로 활용할 경우에, 서비스 요청자 중에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가 포함되어 있다면 반드시 차별 없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

여전히 답답스러워서 별생각을 다 해보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kernel.org는 언제쯤 정상화 될까요?

이 정도면 꽤 오랫동안 다운 상태인거 같은데..... 언제쯤 정상화 될 수 잇을까요?

cleansugar의 이미지

전국적으로 정전이 있었습니다.

서울인데 5:30부터 정전이 한시간 정도 있었습니다.

엘리베이터에 갇혔던 사람도 많았다고 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오픈소스] 소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소개

안녕하세요. 이상부입니다.

이번에 개발중인 오픈소스 소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개발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아직 완성은 안됬구요ㅠ.ㅠ 현재 컵셉사이트만 오픈한 상태입니다.

혹시 같이 개발하실 분 있으시면, leesangboo@gmail.com로 연락주세요.

(디자이너도 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ㅠ.ㅠ)

http://code.google.com/p/javastudy-communicator/

자바스터디 커뮤니케이터는 글로벌 소셜 비지니스 소프트웨어를 벤치마킹하여 커뮤니케이션 혁신과 World #1 소프트웨어 품질을 목표로 만든 오픈소스 소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입니다.

suapapa의 이미지

가카 헌정 다이어그램을 PlantUML을 사용해 그려 봤습니다.

PlantUML은 단순한 마크업을 사용해 온갓 종류의 다이어 그램을 그릴 수 있는 유틸리티 입니다.

GUI프로그램들은 항상 뭔가 아쉽거나 한 플랫폼 종속적이고, 커맨드 라인에서 Graphviz를 날로 쓰려니 답이 없다는 갈증을 해소해 준 PlantUML이지만...

저 역시 막상 쓸데가 없어 놀리던 중에, 딴지라디오-나는꼼수다를 통해 알려진 가카의 주옥같은 콘텐츠를 다이어그램으로 그리는데 사용해 봤습니다.

나꼼수_총정리

아래 링크는 위 다이어그램의 소스 입니다.

https://github.com/suapapa/gakka-diagram

프로젝트의 gakka.puml 과 README.md에 링크한 PlantUML 사용법을 읽어보시면 쉽게 사용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adaylily의 이미지

요즘 혹시 denyhosts 툴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추석을 지내고 다시 출근하여 제가 관리하는 서버들을 켜보니까, 나름 지능적인 프로그램으로 아이디 패스워드를 노리더라구요.
일단 denyhosts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약 일정시간 5회 이상 패스워드를 틀리면 그 아이피 어드레스를 블럭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가만히 보니까, 임계치 전까지 패스워드를 물어본 다음에 시간이 초기화 될 무렵에 다시 임계치 전까지 패스워드를 물어보는 방식을 반복하더라구요.
거의 하루 정도 이걸 반복하다 나가버렸더라구요.

이 값을 낮추면 정상적인 사용자도 블럭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은 포트를 바꾸기도 하는데, 어떻게 처리하시는지 궁금하네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