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yckim80의 이미지

busybox bin

iptime busybox

lyk1256의 이미지

책 제목좀 알려주세요!

Fsf에서 낸 책같은데 리처드 스톨만 및 it계의 유명인사들의 에세이를 모아논 책으로 기억을 하는데요
혹시 책 이름이 뭔지 아시는분?
그리고 제 기억이 맞다면 pdf파일로 다운받은것같은데 어디인지 아시는분?

lyk1256의 이미지

책 제목좀 알려주세요!

Fsf에서 낸 책같은데 리처드 스톨만 및 it계의 유명인사들의 에세이를 모아논 책으로 기억을 하는데요
혹시 책 이름이 뭔지 아시는분?
그리고 제 기억이 맞다면 pdf파일로 다운받은것같은데 어디인지 아시는분?

나빌레라의 이미지

가입한지 9년이 넘었네요.

실제로 KLDP에서 활동을 한건 10년도 넘은것 같은데...

아마도 KLDP에서 가입일수를 시스템에서 알려주기 시작한 이후로 가입한지 9년이 지났나봅니다.

9년이라는 시간동안 대한민국의 IT 환경도 많이 바뀌었고,
오픈소스 커뮤니티도 많이 바뀌었고,

저도 많이 바뀌었네요.

꼬꼬마 대학생이었다가,
모 대기업 전자회사 다니다가,
지금은 대전에 있는 모 국책 연구소에 있습니다.

9년동안 KLDP를 통해서 참 많이 배웠습니다.

배운만큼 저도 많이 알려주기 위해 나름 노력한다고 했는데,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었을런지 잘 모르겠네요.

시간은 계속 흐르고,

또 이만큼의 시간이 흐른 후에 지나온 시간을 잠깐이나마 기억해 볼 시간이 또 오겠죠.

그때에 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그리고 그때에 저는 어떻게 또 변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나빌레라의 이미지

가입한지 9년이 넘었네요.

실제로 KLDP에서 활동을 한건 10년도 넘은것 같은데...

아마도 KLDP에서 가입일수를 시스템에서 알려주기 시작한 이후로 가입한지 9년이 지났나봅니다.

9년이라는 시간동안 대한민국의 IT 환경도 많이 바뀌었고,
오픈소스 커뮤니티도 많이 바뀌었고,

저도 많이 바뀌었네요.

꼬꼬마 대학생이었다가,
모 대기업 전자회사 다니다가,
지금은 대전에 있는 모 국책 연구소에 있습니다.

9년동안 KLDP를 통해서 참 많이 배웠습니다.

배운만큼 저도 많이 알려주기 위해 나름 노력한다고 했는데,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었을런지 잘 모르겠네요.

시간은 계속 흐르고,

또 이만큼의 시간이 흐른 후에 지나온 시간을 잠깐이나마 기억해 볼 시간이 또 오겠죠.

그때에 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그리고 그때에 저는 어떻게 또 변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wouldyouin의 이미지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열광할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갈 개발자를 모십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젤리코스터에서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열광할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갈 개발자를 모십니다.
'(주)젤리코스터'는 젤리처럼 유연한 사고로,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저희는 현재 모바일 SNS 서비스인 Buddy up을 개발중이며, 5월 초 글로벌 서비스 론칭을 위해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지난 11월 중소기업청과 창업 코칭 기관인 유누들(YouNoodle)에서 선정한 실리콘벨리 진출기업 Top 5에 선정되었으며, 최근 1월에는 포스코벤처파트너스(http://www.poscoventure.co.kr/) 선발에서 Top 8에 선정되어 기술력과 사업비전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한달새 7000대 팔린 정수기… 인기비결?

웰스 시리즈 1이란 정수기가 잘 팔린다고 합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051802019932787003&ref=naver

잘 팔리는 기술이란 게 고작 이런 거라고 새삼 느낍니다.

이것도 특허겠죠.

이런 거 정말 무시하기 쉽죠.

저는 처음보니 사용량을 아이폰으로 통보해주는 건가 괜찮군 생각했는데 그런 것도 없고 그냥 충전인 걸 아니 어처구니가 없어서 실소가 나왔네요.

물이 나오는 정수기에 전자제품이라니...

기사에 "고정관념을 탈피해"란 게 있는데 늘 고정관념을 조심하자고 생각하면서도 또 고정관념에 사로잡혔습니다.

nacht00의 이미지

정규직 iPhone & Android 개발자 모집_독일계 벤처회사_강남구

회사 소개

Yogiyo 는 대규모 온라인 음식배달 주문서비스 플랫폼입니다. 누구나 쉽고 빠르게, 맛있는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한국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Yogiyo 는 이미 독일∙영국∙스위스∙호주 등 전세계 10개 국가에서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포트폴리오 회사인 “Delivery Hero”의 파생 회사입니다. 또한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벤처사업을 성공적으로 설립한 온라인 사업 인큐베이터인 “Team Europe” 소유의 벤처기업 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웹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www.deliveryhero.com, www.teameurope.net
Yogiyo 서는 Backend 개발자로서 최신 기술을 이용하여 고성능의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고, 복잡한 로직의 REST API 개발이 가능한 개발자를 찾고 있습니다.

jw8704의 이미지

전류원 기호를 사용하는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그것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회로이론을 공부하다보면 전압원,전류원 이라는것이 나옵니다.

전압원은 건전지로 생각하고 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전류원 기호는 왜 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로 전류원이 따로 , 건전지처럼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전류원을 전압원으로 변환하여 실제로 회로를 구성할때 그에 알맞은 건전지 등으로 바꿔주면 되는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전류원 기호를 사용하는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제가 생각한 이유중에 하나는 전압원 기호를 사용하려 할경우 특정 소자에 얼마의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는것을 명시할때 회로를 읽는사람이 직접 회로의 저항 성분을 계산해서 해당 가지에 얼마의 전류가 흘러들어가는지 계산해줘야하는 반면 , 전류원을 사용할경우 그런 과정이 편해지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혹시 다른이유가 있을까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