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원 기호를 사용하는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그것에 관한 질문입니다.
글쓴이: jw8704 / 작성시간: 목, 2012/05/17 - 7:35오후
안녕하세요
회로이론을 공부하다보면 전압원,전류원 이라는것이 나옵니다.
전압원은 건전지로 생각하고 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전류원 기호는 왜 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로 전류원이 따로 , 건전지처럼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전류원을 전압원으로 변환하여 실제로 회로를 구성할때 그에 알맞은 건전지 등으로 바꿔주면 되는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전류원 기호를 사용하는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제가 생각한 이유중에 하나는 전압원 기호를 사용하려 할경우 특정 소자에 얼마의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는것을 명시할때 회로를 읽는사람이 직접 회로의 저항 성분을 계산해서 해당 가지에 얼마의 전류가 흘러들어가는지 계산해줘야하는 반면 , 전류원을 사용할경우 그런 과정이 편해지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혹시 다른이유가 있을까요?
Forums:
에스컬레이터를 보면 사람이 많건 적건 일정한 속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보면 사람이 많건 적건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이는데, 이게 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변해도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아, 그런 뜻이었군요
아 , 그러니까 전압원으로 표기했을 경우 부하저항이 변하면 전류가 바뀌게되는데 , 전류원으로 표기했을경우 부하저항이 바뀌어도 그만큼의 전류가 흐르도록 해야한다 뭐 그런 의미가 되는거 맞나요?
그렇다면 반대로 부하저항이 변해도 , 전류는 변하더라도 전압이 유지되어야 할때는 전압원기호를 써야하는것이겠군요.
이상적인 전류원과 이상적인 전압원 에서도 내부저항과 관련해서 위의 내용이 나와서 햇갈렸었었는데 이제 생각이 정리가 되는것 같네요.
이상적인 * 에서는 전류원일경우 내부저항이 매우큰것으로 생각하고 전압원일 경우 내부저항이 작은것으로 생각하여 부하저항이 바뀌어도 내부저항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거의 없다는것을 말하는 내용인데..
두가지에서 일정한 전류,전압 이란 단어가 나오다보니 생각을 정리하지못했었습니다.
얼핏 정리가될것같으면서도 안되었는데 , 감사합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근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