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pogusm의 이미지

도메인을 등록하면 그 비용은 대부분 도메인 등록 기관의 몫인건가요?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020300&g_serial=453179 기사에 따르면

- 도메인 사업이 포화 상태에 이른 한국 도메인 등록 기관(레지스트라)에게는 큰 사업의 기회가 될 것 같은데. 레지스트라에서 수수료를 받는 ICANN 입장에서도 수익을 기대할 것 같다.

(트러시 - ICANN 이사회장)"분명히 밝히고 싶다. 우리는 비영리 기구이다. 여기서 어떤 수익을 거두고자 하지 않는다. 레지스트라와 도메인 등록 회사에게서는 아주 작은 수수료(20센트)만 받는다. 우리는 공익을 위해 존재한다. 우리가 수익 창출할 목적은 없으며 기업이 수익을 거두길 바란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만약 hosting.kr 에서 1만원을 내고 도메인을 등록하면 ICANN이 20센트 갖고, 나머지는 모두 hosting.kr 이 갖게 되는 것인가요?

pogusm의 이미지

ssl 인증서를 발급하는 Root CA업체들의 과도한 폭리가 있는거 아닌가요?

1년에 최하 4만원에서 수십만원까지 하던데..
정부기관이나 웹호스팅 업체에서 무료로 제공해도 될만큼 간단한 기술같은데
너무 과도한 폭리를 취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해외의 무료 발급 기관도 있긴 한거 같습니다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거라면 정부가 공익적 차원에서 무료로 인증서를 발급해 주면 좋을거 같습니다.

네이버,다음 같은곳에서라도 무료로 ssl 인증서를 발급해 주면 좋을거 같은데 말입니다...

metallicorange의 이미지

FreeBSD-KR은 죽었나요???

KLDP에 FreeBSD글을 올려서 죄송합니다..
어디 쓸만한 곳을 몰라서..
그리고 같은 오픈소스 형제?들이니 너그럽게 봐주시리라 생각하고요.. 아니면 당장 자삭합니다 ㅎㅎ
아 그리고 저는 리눅스 프비 둘다 똑같이 좋아합니다.. ㅎㅎ
둘다 잘 사용중이구요...ㅎ

그나저나 프비 한국사이트는 마지막 메일링 리스트가 2011년 1월이고
그나마 가입도 안되는군요.. 하드디스크 풀 메시지 뜨고....ㅎㅎ

외국에서는 계속 활발한것 같은데
한국쪽은 죽어가는건가요? ㅠㅠ

cleansugar의 이미지

조직은 이타적인 팀원을 쫓아내려 한다

조직은 이타적인 팀원을 쫓아내려 한다
http://www.infuture.kr/1134

"여러분의 팀에 특별히 남에게 많이 베풀고 자신은 이득을 적게 취하는 이타적인 직원이 있다면 그가 여러분의 팀에 계속 남아있기를 원합니까? 아마 여러분은 당연히 '그렇다'라고 답하겠지만, 과연 그가 팀원으로 여러분과 함께 하기를 원하는지 곰곰히 생각해 보기 바랍니다. 솔직히 여러분은 남들과 다른 행동을 보이는 그가 어서 팀에서 떠나주기를 바라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타적인 직원은 평범한 직원을 이기적이게 느끼도록 만들어서 퇴출된다는 내용입니다.

몰랐던 사실이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라이센스 정말로 어렵네요.

라이센스 때문에 머리가 아프네요.

자바스크립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섹션키 방법을 개인 사이트에서 해 볼려구 하는데요.

이것을 LGPLv3 형태로 배포할수있도록 하고 싶은데,

정말로 좋은 참고 사이트를 찾아서 활용해 볼려구 했는데 GPL 라이센스네요.

참고 사이트 : http://etherhack.co.uk/frames.html

물론 각각의 암호화 알고리즘은 원 저작자가 따로따로입니다.

예를 들면 RSA는 The jsbn library 으로 BSD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RSA 원본 site : http://xenon.stanford.edu/~tjw/jsbn/

blowfish는 blowfish.js 안에 보면 Copyright (c) 2003 by Andre Mueller 입니다.

maindb의 이미지

[구인] java, jsp 개발자분 모십니다.

안녕하세요.

회사 내부 자체 컨텐츠 개발을 위한 정규직 사원을 모집합니다.
java, jsp 개발자를 구인하고 있으며 1~2년 이상 경력직을 원합니다.

채용 공고 상세 내역은 잡코리아 구인광고로 대체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http://www.jobkorea.co.kr/List_GI/GIB_Read.asp?GI_No=11173214&PageGbn=

s_jeho의 이미지

익명사용자.. 계속 유지할 필요성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이따금씩 눈팅으로만 좋은정보 얻어가는 늙다리 학생입니다..
항상 좋은 정보 얻어가면서도, 여러 조언주시는 구루님들을 모델삼고 있습니다...만,

최근 들어와서 보니 "익명 사용자" 라는 분이 유난히 불쾌한 글을 많이 올리시네요,
처음엔 그저 조금 민감한 반대의견을 개진하는분인가 싶었는데, 집요하게 따라다니는 스토커가 아닌가 의심되는 분인것같기도하구요..

이쯤되면 부처라도 얼굴을 붉힐것같은 수준이네요,
이렇게 악용될것이라면, 익명사용자라는게 필요한지 갑자기 궁금해집니다.

악플을 보는 제가 다 화가나서 적었습니다, 죄송합니다.

kfcz1212의 이미지

스워드 피쉬 ~~ 영화속 대형컴퓨터들









천재적인 해커가 노트북 키보드 몇 번만 두드리면, 천문학적인 금액이 계좌 여기 저기로 흘러가는 장면은 할리우드 영화들이 꽤 좋아하는 장면. 그것은 사실상 우리가 살아가면서 한 번도 직접 볼 수가 없는 장면이라서 더욱 근사하게 보이는 것일 수도 있을 게다.

식스티 세컨즈, 화이트아웃 같은 감각적인 범죄 스릴러 영화 전문이라고 할 수 있는 도미니크 세나 감독이 연출하고 존 트라볼타, 할리 베리, 그리고 휴 잭맨 등이 출연한 영화 스워드피쉬(사실 원래 발음은 ‘소드피쉬’가 맞지만 국내 개봉 시 제목을 그대로 따름)에서도 나오는 장면이다.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해커인 스탠리의 머리에 총구를 겨누고서 60초 내에 해킹으로 스위스은행의 비밀 계좌를 털라고 지시하는 가브리엘. 가만 보면 이 감독은 ‘60초’라는 시간에 페티쉬가 있는 듯. ㅋㅋㅋ

cleansugar의 이미지

돈의 단위를 로그척도로 표기하면 어떨까요?

인간은 100미터 달리기를 빨라야 9초에 뜁니다.

느리면 한 1분 걸리려나?

키도 커봤자 2미터, 몸무게도 많이 나가봤자 100킬로그램입니다.

글 써봤자 몇 만 장 쓸겁니다.

그런데 재산 차는 수십억 배 납니다.

돈의 단위를 로그척도로 표기하면 어떨까요?

수 년 전에 부자들은 자동차 속도 위반해도 벌금으로 껌값 내는 기분일 거란 생각을 하다가 든 생각입니다.

핀란드인가에서는 재산에 비례해서 벌금을 낸다고 합니다.

돈이란게 액수가 커지면 느낌이 둔해집니다.

백억과 천억의 차가 실제 차보다 적게 느껴지는 건데요.

이걸 생각하다가 데시벨이란 소리의 단위가 생각났습니다.

인간은 소리를 로그 단위로 느끼기 때문에 생긴 겁니다.

DebPolaris의 이미지

후지쯔 p1630 사용해 보신 분 궁금한게 있습니다

혹시 후지쯔 p163p사용해 보신 분들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휴대하기 편리한가요??

그리고 주 용도가 문서작업과 간단한 프로그래밍 정도인데 어떨지 궁금합니다

제가 지금 x200을 사용하고 있는데 물론 그거보다 사양이
부족하긴 하지만 이게 학교에 들고 다니기가 전공책까지하면
간단하진 않더군요

그래서 x200처분하고 중고로 장만하려고 하는데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댓글 부탁 드립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