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Gkfroa의 이미지

길이 보이질 않습니다.. 길을 찾을수 있게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지방국립대 라곤하지만 소위말하는 지잡대나 별반 다름 없는 곳에서 컴공전공으로 입학했습니다
2학년 1학기, 3학기를 마치고 개인사정으로인해 휴학을 냈습니다 휴학전까지 c cpp 자료구조 이정도만
그냥저냥 배웠는데 힘들지만 재밌게 배웠습니다 하지만 다른사람들에 비해 특출난것도 없고 그다지
잘 하지도못합니다 난 열심히 했다하지만 성적도 따라주진 않았습니다 그당시에 개인사정도있고 이렇다보니
휴학을 내고 일년반을 놀았습니다 이 길이 내 길이 맞나 고민도하고 있고 아직도 하고있습니다 그런 생각을
하는 도중에 앞에 길이 전부 없어져버린거같습니다 그러던 사이에 제겐 길이 없어도 이루고싶은 도착점이 생겼습니다
해외에 개발자로 취업을 하고싶습니다 그리고 마침 국방의 의무를 짊어져야 할 나이에 운이좋게도 2년이라는 시간이
제게 주어졌습니다 그래서 죽을노력을 하고싶습니다 가진게 없으니 죽도록 노력하고싶습니다.
그런데 당췌 무엇을 어디부터 무엇부터 시작해야할지 감이 전혀 잡히질 않습니다

qeads2의 이미지

네트워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NSF,SSO)

네트워크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SSO, NSF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는데..

active sup, standby sup으로 사용면서 active가 다운되면 standby sup

Switchover시에 control plane과 data palne이 분리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검색해봤는데, SSO가 layer2 까지밖에 유지하지 못한다는게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ㅠㅠ.

시스코 문서도 읽어봤는데.. 그러면

NSF라는게 SSO와 같은 이중화 "기술의 일종" 인가요?

정리하면

1. control plane과 data plane이 분리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 NSF가 가지고 오는 라우팅 정보는 어디로부터 오는 것인가요..?

uiucpass의 이미지

지금 제가 다니는 과가 너무 잘맞는데 전과고민 중입니다.

제가 지방국립대(부산) 컴퓨터공학과에 다니고있는데 군대있던 도중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가 합쳐졌습니다. 그래서 복학하고

알게되었는데

전공기초과목과 전공필수 몇과목이 같더군요. 그래서 저는 전공기초 거의 모두 들어놓은상태고 그래서 전과신청서만 내면 전과가 가

능해졌습니다. 솔직히 전화기 전화기 하고, 취업이 잘된다 그런말을 들어서 제일 흔들리는 것이지 (하드웨어를 배우고 소프트웨어까

지 잘 다루고싶은 욕심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지금 컴퓨터공학과 공부가 너무 재밌고, 이산수학도 너무 재미있습니다. 그래도 현실을 바라봤을 때 나중에 컴공나오면

소위 부품처럼 쓰다버려진다. 박봉에 야근

이다 이런말이 너무많아서 고민입니다. 저는 단순 취업이 목표가 아니라, 나중에 유학도가서 외국으로 가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살고, 스타트업도 하고싶습니다. 대학원도 생각중에 있습니다.

kombo67의 이미지

비전공자 IT인의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비전공자 IT인입니다

현재 OA 업무와 유닉스 보조를 맡고 있습니다.
가진 자격증이라고는 리눅스마스터 뿐이며 , 고졸입니다

경력을 1년 채운 현 시점에서 퇴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고민을 하는 중입니다

CCNA , 기사 ( 학점 따서 ) 자격증
학사 취득을 위한 학은제 등 을 생각 하고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이직이 제일 좋겠지만
확실히 OP 로 들어왔고 그 수준이라서
어딜 경력이라 말하고 들어가기가 어렵겠더라구요

그냥 자게인 만큼 여러분들이 '저' 라면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시겠습니까 ?

또는 이런 미천한 저에게 무료 강의 사이트가 있다면 추천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관심분야는 언어, 서버 쪽입니다

39first의 이미지

DHCP 릴레이

DHCP relay agent를 쓸 일이 생겨서 먼저 vmware에서 테스트 해 보고 있는데 잘 안되네요..
데비안 8.1 사용중이고 dhcp 서버로는 isc-dhcp-server, 릴레이 에이전트로는 isc-dhcp-relay를 사용중입니다.

[클라이언트](dhcp,eth0)====(20.0.0.1/16,eth1)[릴레이 에이전트](10.0.0.2/16,eth0)====(10.0.0.1/16,eth0)[DHCP 서버]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크린샷은 각각 isc-dhcp-server,isc-dhcp-relay의 설정입니다.
꼭 이 구성이 아니더라도 해 보신 분들은 어떻게 해서 성공하셨는지 답변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ram123의 이미지

cortex-a9에서는 rtos 안쓰고 중첩 인터럽트

불가능 한가요?

free rtos에서는
중첩 인터럽트가 실행
가능하다고 나오긴하는데요.

펌웨어 단계에서 rtos로
넘어가지 않고 해결하고
싶은데, 해결책이 있을까요?

injun000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snort IDS/IPS 구현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정보보안을 전공하는 학부 4학년생 입니다.

이번 전공연구 프로젝트로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snort IDS/IPS 구현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예시를 든것으로 아직 LVS라던지 세부 구성은 미정입니다.

이 프로젝트가 실용성이 있을만큼 성공한다면 약 40-~50만원 정도로(6노드) 저렴하게 보안장비를 구축할수 있지 않겠나 하는 망상을 해보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드리고자 하는것은 종합적으로 말하면 '과연 이것이 가능한가?' 입니다.

기본적인 파이 클러스터링 관련 자료는 구글에 정말 많이 나오는편입니다만 그 클러스터에 snort, bro, Suricata 등의 오픈소스 IDS를 올린 사례를 찾기가 너무 힘이 듭니다.

저는 기본적인 리눅스 제어와 시스템 프로그래밍, MPI의 개념이나 클러스터링의 개념, IPS.IDS의 개념 정도를 알고 있는 상태이며 오픈소스 IDS의 구성을 계속해서 보고 있으나

제가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하다못해 비슷하게나마 진행한 사람이 없어 시작 전 자료 수집단계부터 많이 힘이 듭니다.

슈퍼공돌이의 이미지

인터넷 속도 문제

안녕하세요...

대학원에서 비디오 스트리밍으로 졸업논문을 쓰려는

컴알못 석사과정학생입니다.

학교가 기가비트 이더넷이 된다고해서 철썩같이 믿고 있었습니다.

우분투 명령어로 인터페이스 확인해도 기가비트 이더넷 나오고요.. 이게 좀실수였던것 같습니다.

어떤컴퓨터는 회선폭이 넓고 어떤 것은 좁고해서 너무 이상해서

iperf로 컴퓨터간 검사를 하니 학교 전산실은 기가 비트 이더넷이 확실하고

연구실 내에 컴퓨터는 몇대끼리는 기가비트 이더넷, 몇대는 100Mbps이네요..

일단은 구형 스위치를 모조리 바꿔볼생각인데

또 의심되는게 인터넷 케이블입니다.

연구실이 오래되서 CAT5 케이블이 있을수도 같은데

이걸 검사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요즘 연구환경떄문에 뒤통수 받으니 너무 울쩍하네요

param123의 이미지

arm cortex-a9과 관련해서 참고할 만한 책 추천해주세요~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공부하려니
한계가 있네요.

zybo보드에서 arm cortex-a9이 있는데
인터넷 검색만으로는 힘드네요~ㅠㅠ

alswlek의 이미지

'

'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