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노력하는자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을 공부할 계획입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커널공부하려는 컴공입니다.

일단 리눅스 커널 분석이라는 목표를위해 그동안 MINT64OS 라는 작은 개인 운영체제의 코드도 공부해보고 리눅스 서버관리법이라든지
셸스크립트라던지 일종의 리눅스 사용법 차원의 지식도 공부해보고 i386, AMD64아키텍쳐도 공부해보고 준비물들이 드디어 갖추어진게 기쁘내요


아무튼 그래서 집어든 책이 한빛미디어, 오렐리의 리눅스 커널의 이해(개정3판) 이라는 책인데, 한가지 걱정이 있습니다
이책이 다루는 리눅스 커널 버전이 2.6버전이고 지금 나오는 리눅스 커널 버전이 4.5버전인데 이거 코드상으로 엄청난 차이가 있지않을까요?
지금시점에서 이책으로 공부하는것이 적절한 선택인지 조금 걱정입니다

ps : 책을 살짝 살펴봤는데, 커널소스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은 별로 없는것같습니다.
책에서 언급하는 함수나 코드들을 직접 살펴볼 계획인데 해당 함수들을 설명해주는 레퍼런스 사이트같은건 없을까요?

junsa9의 이미지

고급 개발자가 되기위한....노력??

뭐, 막연한 질문인데요.
당연히 왕도 없이 열심히 공부하면 고급개발자가 되겠지만..
그래도 어떤 루트를 타야 하는지, 또는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이 어떤 길인지를 좀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서 이런 질문을 올립니다. 그동안 많은 삽질을 한터라 다시 기초부터 다지고 싶은 마음에..

저는 초보개발자이고, 컴퓨터 공학전공자도 아닙니다.
단순히 c++, c#, python..등등 몇가지 언어의 문법을 다룰줄 알고, 작은 규모의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업무에 활용하는 정도입니다.
프레임웍을 활용할때도 그 프레임웍의 전체적인 구조를 다 파악하지 못하고 단순히 현재 필요한 api몇개만 찾아서 코딩하는 수준입니다.
때문에 정말 소프트웨어, 컴퓨터를 이해해서 뭔가를 만든다고 말하기가 좀 힘듭니다.

junkl의 이미지

7년만에 재도전...티맥스OS 공개

예전에 한참 말 많았던 것 같은데
오늘 공개 한다고 합니다. 쓸만 할까요?

기사 주소 :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60420120318

superkkt의 이미지

[스터디] 유닉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스터디 멤버 모집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유닉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스터디 멤버를 모집합니다. 4월 30일(토) 부터 시작할 예정이오니 참석을 원하시는 분들은 그 전까지 superkkt@sds.co.kr 메일로 신청 부탁 드리겠습니다.

* 주제: 유닉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기간: 4월 30일 ~ 약 2개월 예상
* 일시: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약 3시간 가량 진행)
* 장소: 구로디지털단지
* 교재: Unix Network Programming Vol. 1, W. Richard Stevens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3471)
* 주의사항: 강의 아님! 모든 멤버가 번갈아 가면서 1 챕터씩 발표. 발표자가 아닌 경우에도 반드시 해당 챕터를 공부하고 참석해야 함.

shint의 이미지

shader toy 셰이더 토이

https://www.shadertoy.com/view/4dcGW2

상당히 멋집니다.

요즘 많은것을 주워듣게 되는군요. ㅇ_ㅇ;;

junen79의 이미지

배쉬 프로그램을 명령어 전체 쉘에서 사용하는 방법 문의

/bin에 대부분의 명령어가 있는 거 같은데 ㅠ

잘 모르겟네요 ㅠㅠ

bash 프로그램을 쉽게쓰는 cd, pwd, ls 처럼

명령어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dzoo의 이미지

c++ 표준으로 Graphic Library도 추가된다고 했던거 같은데.. 미루어 진건가요??

https://isocpp.org/files/papers/N3888.pdf

c++ 표준으로 Graphic Library도 추가된다고 했던거 같은데.. 미루어 진건가요??

개인적으로 c++ 표준에도 추가됬으면 좋겠습니다.

ot9400의 이미지

임베디드 분야에 입문

전문대(정보통신과)에서 졸업하고 현재 군대에 있는 상황입니다.
군에서 시간날때마다 공부해보고싶어서 그렇습니다만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확답이 안서네요

서적같은건 종종 검색해서 찾아보고는 있지만 또 걸리는 부분이 전기적부분을 깊게 들어가야할지..
그중 회로이론 부분도 중요한지 어느정도로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추천 서적이나 공부루트를 알고싶습니다.

South128의 이미지

^^

^^

dymaxion의 이미지

VirtualBox에 OpenPL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주실분 혹시 없을까요?

VirtualBox에 OpenPL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주실분 혹시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구조설계일을 하는 기계쪽 엔지니어 입니다.

작업 산출물로 나오는 도면(dwg,pdf) 파일 및 3D STEP (stp)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항상 있습니다.

물론 소정의 수고비를 드릴려고 합니다.

제가 직접 해 보려다가 결국 실패(ㅠㅠ)했는데

원인은 아파치서버,쟝고 관련해서 제가 아는게 별로 없는지라

결국 막혀서였던 것 같습니다.

(아파치서버에 가상화 호스트 설정하고 그걸 쟝고와 연결하는 WSGI 라는 것의 설정이 잘 안되었어요.

그리고, 권장OS인 Debian 7 Wheezy가 아닌 우분투서비 14.04에서 해 보니깐

권장버전인 PostgresQL 9.1 대신 9.3이 깔리는데, 우분투 레포지토리에서 설치하니깐

postgres 라는 명령어가 Path가 안 잡혀 있어서 실행하기 불편한 등의 자잘한 점이 보였습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