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choimg79의 이미지

왜 일반적인 보드(개발목적이 아닌 보드) 에는 시리얼 통신 포트, 이더넷 포트 가 없는거죠??

왜 일반적인 보드(개발목적이 아닌 보드) 에는 시리얼 통신 포트, 이더넷 포트 가 없는거죠??

옛날부터 궁금했던 것입니다.

임베디드 공부하면 소개되는 보드들은 모두
3가지 종류의 포트가 꼭 있었습니다.
usb, serial , ethernet ...

그런데, 제가 고등학교 때 쓰던 v43(아이스테션의 PMP)를
뜯어봤는데, 거기에는 usb 포트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port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위의 PMP 같은 경우에는
부트로더 같은 경우를 제일 처음에는 어떻게 올려주는지? 알고싶습니다.

PMP 어딘가에 부팅에 대한 정보를 넣어줘야 하는데,
하드웨어를 모두 구성하고 난 후에, 그 다음에는 어떻게 소프트웨어 같은 것을 올리는지???

답변부탁드립니다.

ydhoney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자입니다.

게시판 글 리젠율이 극히 저조해보여 초보자가 글 하나 씁니다.

잘 배워가겠습니다. 굽신굽신..(_ _)

jim209의 이미지

대학 입학예정인데 뭘 하는게 좋을까요

컴퓨터 공학과 진학예정인데 입학전까지 무엇을 배워놓는게 좋을까요?

아직 C랑 python 문법 정도밖에 못접해봤고 진로는 웹과 UX 배우고 싶은데 알아두면 좋은 것들좀 알려주세요!

그리고 수학이 자신이 없어서 대학들어가기 전까지 수학좀 보려 하는데 책좀 추천해주세요!

ps. 대학가기 전까지 놀라는 말은 하지 말아주세요. 이미 고등학교 졸업하고 1년을 놀았습니다. ㅠㅠ

doriver의 이미지

C++개발자가 Java 개발자 되려면

C++,C# 개발자로 10년 회사 생활을 했습니다.

이클립스를 설치 해서

Java로 간단한 출력 화면 정도는 만들어봤습니다.

안드로이드 쪽도 간단한 예제 정도만들어봤고요

근데 상용화된 제품으로 Java로 중급 이상의 프로젝트나 어플은 개발해보지 못했습니다.

이번에 Java 프로젝트를 할 예정인데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nimeaz의 이미지

Python 책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Python 책 추천 좀 부탁 드려도될까요? 프로그래밍을 전혀 모르는 사람은 아니고, Java, C++ 등의 지식이 있고요. 빠르게 Python 기본 문법과 기본 built-in 기능 위주로 학습할 수 있는 책을 찾고 있습니다. C 책으로 따지자면 'The C Programming Language - Brian & Dennis', 그리고 Java 책으로 따지자면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 James Gosling' 격에 해당하는 얇은 Python 책이 있을까요?

추천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네트워크 참으로 오묘하세요.

네트워크 참으로 오묘하세요.

3류 프로그래머가 TCP/IP 서버/클라이언트 기반

개발 프레임워크를 스스로 도전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파일 송수신 기존 2-4 Mbyte 나오는거이 이상하게 10-50 Kbyte 로 나오는 황당함에

서버쪽 비지니스 로직 라인 단위급으로 걸린 시간 로그를 남겨서 확인해 보니 이상 없네요.

원인을 찾아 보니 홈허브(=KT 와이파이 제공 허브, (주)머큐리사 제작) 설정이 문제였네요.

집에 2대의 컴퓨터가 홈허브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장치설명 -> 스위치 관리 -> 포트링크 설정 에 들어가서

포트 설정을 "100M Half" 를 "Auto nego" 로 변경 저장후

다운 로드 속도를 재 보니 2-4 Mbyte 가 나오네요.

이것때문에 소스 문제인가 해서 v1.0 으로 백도한후 테스트 하고,

엑티브 엑스로 설치되지 않는 등 이상 동작하는 윈도우 PC 문제인가 해서

포맷 재설치를 해서 얻은 결론이네요.

xoduddk123의 이미지

자기가 쓴글 자기가 삭제 하는방법이 없나요?

자기가 올린글을 삭제할려고하는데 그러한 기능을 못찾겠습니다.

삭제할수있는 방법이 없나요 ? ?

cos4의 이미지

분위기가 심상치 않음.

게이머들의 입에까지 박근혜 정권 퇴진투쟁 찬성 이런 얘기들이 심심찮게 오르내림.
동조하는 사람이 어느 방에나 두세명씩 꼭 있음.

서울시청 광장에 100만이 몰리면 광화문광장 넘어서 효자동 청와대 삼거리까지 대행진 가능.

진공이 막히면 가두행진을 진행, 일반인까지 대거 참여, 박근혜 정권에 실제로 엄청난 타격이 될 것이라 믿음.

치킨집 매출은 평소의 10배 가량으로 급등할 것이고, 모든 운동장 모든 공원 모든 광장에 사람들이 대거 몰려와 면대면 의견 교환하는 사태가 벌어질수도.

2014년에 총선이 있었다면 새누리당은 정말 초미니정당으로 전락할 수도 있었는데 아쉬움.

국회의원 주민소환제
대통령 주민소환제

2016년 총선때까지 이 흐름이 유지된다면 이 정도는 꼭 관철시켜야 함.

cos4의 이미지

24시간 365일 택배했으면 참 좋겠다.

24시간 365일 택배했으면 좋겠다.

지금처럼 '업무일 기준 24시간 단위' 체제에서 '연중무휴 8시간 단위' 체제로 전환하길 바람.

'업무일 기준 24시간 단위'란 빨간날을 제외한 날 기준으로 24시간 단위로 영업소에 물건을 집화하고 대상영업소로 보내는 체계다. (도서지역 제외)
'연중무휴 6시간 단위'란 1년 내내 쉬는 날 없이 8시간 단위로 영업소에 물건을 집화하고 대상영업소로 보내는 체계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1) 대부분의 택배회사(적어도 물량의 50%)를 인수합병
- 이 정도 되어야 대도시 권역에서는 바로 자기 집 근처에 있는 영업소에 직접 물건을 찾으러 갈 수 있다. (한국 인구의 절반 가량이 대도시 거주)

2) 모든 택배 송장에 RFID 태그 부착

3) 자동화된 물류센터 (머신러닝을 적용한 인공지능 공간할당, 재분배)

4) 영업소간 무인택배체계 획랍

배송료는? 종전과 같이 2500원
고용규모는? 종전의 10% 가량

세벌의 이미지

안죽네...

삶이 힘들어 문득문득 죽을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그런데 안 죽어서... 살아있습니다.
살아있음에 고마움을 느낍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