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Tae_Wook의 이미지

해밍코드 교정 통신 프로토콜(?)은 뭐가 있나요?

해밍코드 교정 통신 프로토콜(?)은 뭐가 있나요?

- - -
예를들어 raid2에서 {3:3}(?) 비트 방식 헤밍코드 기술이
tcp 프로토콜 계층(?)에서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은 뭐가 있나요?

주된 사용목적 으로는 전화선 통신에 실험적 으로
사용을 해볼려고 합니다.

soc1의 이미지

CRT 모니터는 대뇌를 보호하는 듯...

CRT 모니터 버려진 거 가져왔는데 그동안 LCD 때문에 썩어온 내 안구가 정화되는 듯.
1024X768 해상도 85Hz 주사율...

딴 건 몰라도 킬뎃비율이 2:1로 대폭 상승. 이건 최근 카스온라인이 대폭 개편되고 이벤트를 실시하면서 사람들이 대거 돌아온 탓이 커보임. 거기에 세계대회도 개최한다고 하니깐 머.

그래도 역시 킬뎃비율이 2:1로 대폭 상승한 것이 가장 좋은 점.

아무튼 자고로 자기 레벨과 비슷한 사용자들이랑 엮이는 것이 재미나보임.

학살범이랑 같이하는건 별로.

fhdaos10의 이미지

으아 왜 글이 짤려서 올라가지요?

지금 프로그래밍 게시판에 글을 올렸는데 왜 잘려서 올라가지요?

soc1의 이미지

진정한 멀티코어 게임엔진은 언제 개발될까요?

지금 멀티코어라고 나와있는 것들을 보면 죄다 후처리에 집중되어 있는 것 같던데 -_-

후처리말고 실제 핵심 알고리즘까지 완전히 멀티코어화된 엔진에는 뭐가 있을까요?

Tae_Wook의 이미지

raid6에서 4개의 디스크중 2곳이 부분적으로 오류난것도 복구가 가능할까요?

raid6에서 4개의 디스크중 2곳이 부분적으로 오류난것도 복구가 가능할까요?

-
0. 4개의 디스크를 raid6으로 구성했을때 질문이 있는대요.

1. 디스크 에서 블록중 어느 평행선에 구성되는 블록 4개가 있을때. [더 자세히는 표현이 안되요.]
2개의 블록이 부분적으로 오류가 난 경우에도 해당 블록들을 복구가 가능할까요?

2. 디스크가 2개가 완전히 고장나게 되면 (raid{0+1} 같이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나요?

kimhojune의 이미지

kozip의 새로운 포크를 만들었습니다

몇 년 전, 윈도우에서 한글 파일명을 포함하여 만든 zip파일을 리눅스에서 풀면 깨지는 문제의 해결책으로 kozip이라는 스크립트가 올라왔었습니다. 여기가 그 글입니다. 그 중에서 파이썬 버전도 있었는데요. 첫 언어로 파이썬을 배우면서 그 스크립트에 기능도 추가하고, 파이썬 3으로 업데이트도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만든 github 저장소가 이겁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잡담] github 에서 제공하는 원격 저장소 가끔 접속 거부 되는것 같습니다.

git 로 오픈 준비를 하다 보니깐 github 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끔 git push 가 안되네요.

공짜로 사용하기에 쩝 미안한 이야기지만,

부하때문에 동시 연결 제한등이 있어서 가끔 접속 거부가 있는것이 아닌가 추정해 봅니다.

혹여 추정이 잘못 되었다면 지적해 주세요.

저 같은 git 초보자의 경우 이런일 있으면 왜 안되나? 씩씩~ 거리게 되네요.

그래도 github 의 경우 저장소 초기화도 지원해 주어서 저 같이 시행 착오로 배우는 사람한테는 참 좋네요.

정말로 시행 착오가 필요하네요.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상 빈 디렉토리가 필요한데 git 는 빈 디렉토리를 허용하지 않네요.

오늘 git 를 이것 저것하다가 알게 되었네요.

Tae_Wook의 이미지

원리적으로 '10GBASE-T'에서 장착가능한 '리피터'의 최개 갯수는 얼마나 되나요?

이더넷[특히 '10GBASE-T'방식.]을 1:1로 연결하는 경우
장착가능한 '리피터'[버퍼방식 리피터]의 최개 갯수는 얼마나 되나요?

grasia08의 이미지

c 언어 공부

대학교에서 자바와 객체지향을 위주로 배우다가 c 언어를 사용하는 곳에 취직했습니다.
당장은 할 줄 아는 게 적어서 avr를 작성하는 간단한 업무를 위주(일은 학교와 다르더군요)로 하고 있습니다. (밀려 있는 업무를 보면 임베디드도 하고 통신도 하고 진짜 이것저것 다 해야 하더군요.)

제가 배운 객체지향이나 디자인 패턴은 결국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그리고 유지보수하는데 좀 더 빨르고 편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요약하고 있습니다.
- 제 의견이 틀릴 수도 있지만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아직은 미숙한 결론이 아닌가 고민하고 있긴 합니다만.

아무튼 그런 상황에서 c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는데 c 언어에 대한 디자인 패턴을 찾아 보고 싶어도 대부분 oop에 관한 이야기더군요.

그럼 c 언어는 객체지향이나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언어 인건가요?

c 언어로 작성하는 것이 노가다라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는데 이게 진실이라서 디자인 패턴이건 머건없는 건가요?

물론 객체지향이나 디자인 패턴을 그대로 c 언어에 쓰면서 하는 소리는 아닙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자바 스윙 트리에서 좌우 스크롤바 이동시 화면 뭉개짐 현상이 있네요.

자바 스윙 트리에서 좌우 스크롤바 이동시 화면 뭉개짐 현상이 있네요.

우분투 13.10 openjdk 1.7.x 버전대 사용하는데요.

SUN java 가 아니라서 그런건지 원인은 모르겠네요.

자바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입장에서 서글픈 증상이네요.

윈도7 PC 에서 돌아가는 SUN 자바에서는 이런 증상이 없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하소연하는 글이지만 우분투에서 벌어진 일로 투정 부리는 것이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우분투에서 선 자바 보다는 openjdk 가 당연히 설치가 쉬운지라

자바 - 개인 프로젝트의 설치 매뉴얼을 염두에 둔 입장에서는 매우 아쉽네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