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ha6908의 이미지

자유게시판이니 만큼 물어볼게 있습니다.

어머니께서 skt를 사용하시고 번호를 12월 말쯤에 변경하셨습니다.
(스팸등의 이유)

그리고 오늘까지 룰루랄라 사용하셨죠.

그러다가 09:59에 일이 터집니다.

A라는 본인의 핸드폰으로는 전화한 적이 없는데, B,C,D,..... 등등의 핸드폰에
무차별적으로 전화가 갔나봅니다.

아마도 분당 10통 이상은 걸렸지싶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어플이거나 프로그램이거나 싶은데,
처음 어머니께 "혹시 모르니 모르는 문자의 파란색 글씨는 누르지 말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고객센터에도 문의했으나 돌아오지 않는 메아리마냥 답변도 시원찮고, 그나마 발신기록을 찾을지 못찾을지 모르나
대리점에서 통화조회를 할수 있다는 답변뿐이네요......

혹시 어떤 종류인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결국 번호를 바꾸긴 했으나 왠지 분하네요...........

길진 않지만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고 감사합니다.

liveros의 이미지

파이썬을 처음 배우는사람입니다..

여기 계시는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계신 형님분들과
누님분들 지금 파이썬을 공부하려고 하는
고1 올라가는 새내기 입니다. 제가 서버 라는걸공부하는중
python 으로 서버를 짤수있다고 하여 python 에 입문하게
되었네요.. 어떻게 해야 좋은 서버를 짤수있을까요...?

martinho1531의 이미지

BYE BYE

BYE BYE

Josip Vandot의 이미지

대한민국 GDP를 2배 늘리려면 24시간 365일 체제

대한민국 GDP를 2배 올리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뭔줄 아나?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를 24시간 365일 연중무휴 체제로 돌리는 것이다.

인간이 외부활동하는 시간이 많아봐야 10시간을 넘기기 어려운데, 주간조, 야간조로 24시간 체제를 구축하면 GDP도 2배 증가한다.
이리되면 고용과 소비를 모두 동시에 늘릴 수 있다.

GDP가 2배가 되면 현재 세율구조하 소득세로만 100조 넘게 거둬들일 수 있고,
기업 매출도 거기에 받쳐주면 법인세도 100조 넘기고,
부가세도 100조 넘길 수 있다.

기타 관세까지 다 고려하면 천조원 규모의 예산을 운영하는 것도 꿈만은 아니다.

이 체제로 들어가면 기타 국가들도 대한민국의 24시간 체제를 벤치마킹하기 전까지 20년 정도의 시간을 추가로 벌 수 있다.

Josip Vandot의 이미지

24시간 365일 연중무휴 세상아 빨리와라 제발 좀!

명절 때마다 개떼로 몰려나와서 차가 막 밀리고 이런 것 엄청난 사회적 낭비.
쓸데없는 과일 쌀 따위를 택배로 보내는 것도 엄청난 낭비.

무엇보다 명절 때문에 업무일이 끊기는 것이 제일 빡친다. 이게 가장 비효율적인 것.
24시간 365일 연중무휴 사회로 가는 첫 걸음은 명절을 공휴일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법정공휴일에서 명절을 제외하는데에 성공하기만 하면, 그 다음에는 사람들이 제아무리 지키려 노력해도 가면 갈수록 잘 안지키게 된다. 휴일이 서서히 분산됨으로써 사회의 효율 향상된다.

그 다음에는 모든 복지제도 폐지,

모든 사람에게 기본소득 100만원
모든 사람에게 법정휴일 3개월

이런 식으로 24시간 365일 연중무휴 사회가 되길 바람.

Josip Vandot의 이미지

우리의 미래 주식은 과자가 되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가 0인 과자가 미래 주식이 될 것이며, 그래야만 한다고 본다.
현재는 과자가 천연재료를 가공해서 만들어지지만,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미생물 부산물로 대체될 것이다.

미생물 부산물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석유단백질이라고도 부르는 단세포단백질(SCP), 클로렐라 같은 것들이 있다.
개중에는 연구개발이 잘 이뤄지면 태양빛 없이도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부터 역산되는 인체의 에너지 사용량이 에너지가 세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20분의 1, 즉 5% 정도인데, 식량 생산과정의 모든 프로세스를 생략하고 최종산물을 바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 현재 인간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20% 선에서 식량까지 생산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리되면 전세계가 소행성 충돌을 당한 상황에서도 원자력발전, 조력, 풍력, 수력을 이용해서 수백만을 먹여살릴 수 있다.

거기에 전 세계의 기아 문제를 아주 간단하고 쉽게 해결할 수 있다.

abcdogs의 이미지

우분투를 공부하고 싶은데...

처음 사용하는 리눅스를 우분투로 시작하고 싶은데
어떤 책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강의 들을 수 있는곳도 추천해 주세요

kaminagi의 이미지

신입 처우 협의라는것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에 http://kldp.org/node/141303 이곳에 nts op 신입 지원에 대해서 글을 올렸었는데요
다행히 1차와 2차 모두 면접관님들이 잘 봐주신건지 최종합격이 된 상태입니다.
일단 1차 면접때 질문해봤는데 2교대 혹은 3교대 op업무가 맞는거 같습니다.
위 주소(전에 쓴 글)에서 댓글에 써주신분은 초봉이 2800이라고 써주셨었는데
전문대 졸업한 제 친구(저는 편입해서 4년제 졸업합니다)도 오퍼레이터긴한데 2년 되가는데 이제 1900정도 받는다구 하더라구요.

전문대 졸업과 4년제 졸업 차이가 이렇게 큰건가요?... 아니면 저도 2000 살짝 넘는정도가 될런지요.

다음 진행이 처우 협의 라는데 이게 주변에 물어보니 연봉 협상이나 출근 시기 조정 이런거라고 하더라구요..
(하필 주변 사람들이 다 자영업이나 공무원... ㅠㅜ 도대체 it과를 나와서 왜 it직업을 안가지는거야...)

saz3000의 이미지

리눅스와 함께 병행해야할 공부가 무엇일까요?

서버관리자를 꿈꾸는 컴퓨터전자 전공 대학생입니다.
학교에선 C, visual C++, java, php, jsp 등등을 배웠는데,

희망직종이 서버관리쪽이라 이번 방학때 리눅스를 혼자 공부하고 있습니다.

근데 리눅스만 공부한다고 될게 아닌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

현재 리눅스 (뇌를 자극하는 페도라) 책으로 공부 중인데 ,

혹시 병행해야할 과목이 잇을까요?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irheekl의 이미지

조만간 KLDP에 실명이나 휴대폰 인증이 들어갈 것 같네요

왠지 그런 느낌이 듭니다. 인증 없이 운영하는 걸 지침으로 삼다가도 어떤 특별한 계기로 그렇게 변하는 사이트들이 많더군요. 다만 그렇게 되면 저는 여기에 오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군요. ㅠ.ㅠ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