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atie의 이미지

xgl/compiz 멋집니다.

이 글 쓰기 전에 kldp의 xgl/compiz 관련 글을 찾아보니 약 두 달전 이야기더군요. 엊그제 노트북의 GNOME 테마를 우분투 Dapper의 새로운 오렌지 색 테마로 바꾸면서 그 동안 미루고 있던 xgl/compiz의 업데이트도 해 보았습니다.

한 때 우분투 포럼의 Dapper 개발 관련 글 타래의 절반 이상이 이것의 설치와 설정에 대한 글 들이었고 요즘은 따로 사이트까지 만들어져서 활발히 플러그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라 역시 기대했던 대로 두 달 동안에 몰라보게 달라진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feanor의 이미지

데비안 unstable: 그놈 터미널 버그

데비안 unstable에서 4월 2일자로 vte 터미널 라이브러리가 새 버전(0.12)으로 올라갔는데요, vte에 탭과 관련된 버그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놈 터미널과, 그 외에도 XFCE 터미널도 영향을 받습니다.

버그의 내용은, 터미널이 80x24가 아닌 상태에서 새 탭을 열면, 새 탭이 자신의 크기를 80x24로 인식하여 vi를 비롯한 curses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의 디스플레이가 엉망이 되는 것입니다. 데비안 버그 #360781입니다.

1day1의 이미지

도메인 등록 가격 - 서비스업체마다 천차만별.


도메인 가격대를 살펴보는 사이트들
* http://www.hostinghot.com/domain/
* http://www.homepizen.com/

다른사람들은 어떤 업체를 이용하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싼곳? 비싸도 안정적인 곳?

초창기에 아이네임즈와 도레지 등을 주로 이용했었다. 살펴보니 비싼축에 속해 있다.
얼마전에는 공지도 없이 가격을 올렸었지, 그래서 요즘에 어디로 옮겨볼까 생각중에 있다.

1day1의 이미지

가상화 시스템(기술) - 누가 승자로 남을 것인가?

FOSS 쪽에서 가상화가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물론 상용제품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vmware 가 주도를 하고 있고, FOSS 계열의 Xen 이 급부상(?)하고 있다.
MS 에서도 Virtual PC 가 있긴 한데, 기술적으로 다른 것들에 비해 떨어지는 듯 하다.

Mac 계열에도 Parallels Workstation 가 있는 듯 하다.
* http://jinhyung.org/2006/04/07/parallels-workstation-21-beta-for-mac-os-x/

권순선의 이미지

2006 SourceForge.net Community Choice Awards 결과

/.이나 기타 ostg의 연합 사이트들을 방문하셨던 분들이라면 최근 한참 동안 소스포지에 가서 투표좀 해 달라는 대문짝만한 광고를 분명히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저도 자주 봤었는데 솔직히 귀찮아서 투표까지는 안 했고 별로 신경도 안 썼습니다.

그런데 오늘 그 투표 결과가 나왔군요. 2006 SourceForge.net Community Choice Awards는 이름 그대로 sf.net의 사용자들이 꼽은 최고의 FOSS 프로젝트들입니다. 전 분야에서 최고의 프로젝트로 꼽힌 것은 BitTorrent이고, 세부 분야별 1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uamyd5279의 이미지

putty vs secureCRT

과연 이걸...질문이라고 해야하는 건지.
사실은 그냥 넋두리긴 하지만, 또 사실 약간은 궁금하기도 하고 해서요.

어떤 카테고리에 넣어야 할지 몰라서 일단 '질문'란에 적기는 합니다만...흠..

putty-요즘 아주 오픈소스쪽으로만 시스템을 운영할려고 하는데..
secureCRT 요놈의 Ctrl+tab 기능이 참 부럽네요.

feanor의 이미지

Plone 2.5 beta 1

약간 뒷북이지만 (3월 31일에 나왔습니다) 요즘 KLDP에 글이 없다는 이야기도 있고 하니까, 그냥 적어 둡니다.

Plone 2.5 beta 1 나왔습니다. http://plone.org/products/plone/releases/2.5

공식 릴리즈 버전은 파이썬, 조프까지 같이 깔아주는 원스톱 윈도우즈 인스톨러가 제공되지만 베타 버전은 타볼만 있습니다. 조프를 내리고, 타볼을 풀어서 이전 Products 디렉토리에 덮어 쓴 다음에 재시작하면 알아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해 줍니다.

shockyhan의 이미지

Windows XP 에서 apache 2.2 + WebDAV 설치

회사의 파일 서버로 WebDAV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리눅스 서버를 구매하기 전에 우선 윈도우즈 환경에서 기존의 파일 시스템을 apache 서버로 구축한 후 향후 전환할 계획이다.
단, 사용자 인증을 별도로 관리하고 싶지 않으므로, 사내 메일 계정을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이 경우 pop3 인증 과정에서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보안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은 알아야 한다.

1day1의 이미지

이제 맥OS X - 지를일만 남은 것인가?

http://jinhyung.org/2006/04/05/boot-camp/

얼마전인가, 인텔맥에 윈도우설치 가능하다는 해킹소식 이 있었던것 같은데, 아예 애플에서 공식지원하기로 한 것인가? (만우절 농담 아니겠지?)

지금까지 맥OS 는 써볼기회가 없어서, 써보고 싶다 라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이런소식이...
상황을 지켜보다가 맥미니 정도로 한번 생각해 봐야 겠다.

plusaaa의 이미지

아파치에서 사용자별 가상호스트 설정하기

아파치에서 사용자별 가상호스트를 설정하려합니다.

기존에는 한폴더에 사용자별 폴더를 만들고 가상호스트를 설치하였으나

사용자가 늘어나서 2개의 폴더로 나누어서 관리하려합니다.
아이이 첫글자가

a-z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USERS1
0-9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USERS2
이렇게 폴더별로 나누려합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