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glast의 이미지

[완료] 아파치 가상호스트 질문입니다.. 외부접속이 안 되는 것 같은데

가상서버호스팅 이용 중입니다.

포트로 각 호스트를 구분하려고 하는데
8888포트를 할당하려고

httpd.conf에서 Listen 8888 하고
최하단에서

<VirtualHost *:8888>
    ServerAdmin root@localhost
    DocumentRoot /home/test/public_html
    ServerName localhost:8888
    ErrorLog logs/error_log
    CustomLog logs/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입력하고 저장했는데 주소:8888로 접속하면 접속이 되질 않네요.

그래서 외부 접속이 안되는 건가 싶어서 터널링해서 들어가보니 또 되네요 ㅡㅡ; 이런 경우엔 어떻게 해야할지...ㅠㅠ

centos 5.7이고 아파치 버전은 2.2.3입니다.

ukyoukyo의 이미지

Solaris11 자동로그인( autologin ) 설정해보신분 계신가요 ?


Solaris 11을 설치했습니다.

gdm 환경에서는 /etc/gdm/custom.conf 를 수정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던데요,

console( tty ) 환경에서는 어떻게 설정해야 자동로그인이 되는지요 ?



리눅스에서는 mingetty --autologin root 이런식으로 root로 자동로그인을 했었는데,

솔라리스 11에서는 mingetty를 쓰지 않아서요.



Solaris 11 버전에서 자동로그인 해보신분 없는지요 ?

neeneen의 이미지

Oracle SQL Developer와 오라클과의 접속문제입니다.

vmware를 이용해서 centos6과 오라클10g를 설치하였습니다.

오라클이 정상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체에서 SQL Developer를 이용해서 DB와 붙을려고하니,

The Network Adapter colu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이라고 뜨면서 안되네요.

centos에서 1521포트는 열어둔 상태구요. 리스너와 오라클은 기동중입니다.

구글링했지만 해결이 되질않아.. 혹시 해결책을 아시는분이 있을까 싶어 여쭤봅니다.

readme의 이미지

[완료]쉘에서 파일의 특정위치에 데이터를 써 넣을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을까요.

일단 dd를 사용해서 해봤는데, 빈 1k짜리 파일 c (안에는 전부 0x00으로 채워져 있음) 을 만든다음에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려 보았습니다.

[/tmp]$ dd if=./a of=./c bs=1 seek=50

그런데 이렇게 하면 앞에 c1의 50바이트 위치에 a파일의 데이터가 써지기는 하는데, 50바이트 뒤에 모든 데이터(정확하게 말하자면 a의 데이터가 써진이후)가 없어지더군요.

당연히 파일 크기도 줄어들고... 그래서 dd로는 안될듯한데.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어지간하면 코딩안하고 쉘상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싶습니다.

반복해서 hexeditor를 열었다 닫았다하는일이 너무 지겹군요..

munhoney의 이미지

Mercurial에서 다중 프로젝트 관리 가능하나요?

회사에서 mercurial로 프로젝트를 관리할것 같은데,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을까요?
웹 검색 해보니 가능해 보인다고 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안나오는 것 같아서요

하나의 리파지토리에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고,
여러개의 리파지토리를 만들어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각각 관리하는 방법이 있던데,

후자의 방법이면 좋을 것 같긴한데요, 서버를 띄울때 각각 다른 포트를 만들어 띄어주어야 하나요? 지금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http로 hg serve 인가. 이걸로 띄우고 있거덩요

munhoney의 이미지

C++ Daily Build를 할려고 하는데 어떤 툴을 사용하시나요

일단 기본적으로 Windows와 Linux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어서, daily build를 할려고 합니다.

daily build에는 컴파일과 unit test가 수행되어 그 결과를 이 메일 혹은 다른 방법으로 알려주면 좋을 것 같구요

C++ 에 Daily build를 확인해보니 r2build라는 툴이 있는것 같긴한데.. 윈도우버전만 있는 것 같구요 (확실하지는 않지만..)

다른 분들은 어떤 툴을 사용하시는지요. (리눅스나 윈도우 모두, 동시 가능한거면 좋구요..)

특별한 툴이 없으면 단순하게 스크립트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긴한데, 어떤 기능들을 포함시켜야 하는지 등등을 몰라서 조금 망설여 지네요.

참고로 QT 기반의 C++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SoftOn의 이미지

패키지가 없을때 어떤 패키지에 속했는지 나오는 패키지를 알고 싶습니다.

debian을 base system만 깔아서 xfce4만 추가하는 중인데요.

그냥 GUI 포함해서 깔때랑 좀 다른 것들 중에

터미널에 gcc가 안 깔렸을때 gcc 치면 gcc 가 설치 안되서 설치하라고 나오잖아요.

근데 그게 안되더군요.

어떤 패키지를 깔면 되는 건가요?

yistee의 이미지

웹서버 가상서버 설정이요

웹서버 가상서버 설정을 하려고 합니다.
가상서버 설정파일을 찾아보니 두개가 있더라고요. 이 두개 중에서 어떤걸 수정해야 하는지요

[root@ns ~]# find / -name httpd-vhosts.conf
/usr/local/server/apache/conf/original/extra/httpd-vhosts.conf
/usr/local/server/apache/conf/extra/httpd-vhosts.conf

설정을 수정하게 된다면 이렇게 하고

dlckdghks83의 이미지

임베디드 보드에서 라이브 스트리밍 구현...

안녕하세요. 해결하기 힘든 문제가 있어 여기 글올립니다.
TI 다빈치 프로세서로 라이브 스트리밍을 구현해야 하는데요.

gstreamer를 이용해서 각종 프로토콜과 코덱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최적의 방안으로 gst-rtsp-server를 사용, 테스트 했더니 딜레이가 0.3초 가량 나옵니다.
mpeg4 (TI가 제공하는 코덱 사용)로 인코딩하여 rtsp로 통신하도록 했구요.
클라이언트는 윈도우에서 VLC 플레이어를 사용했습니다.

고객사에서는 딜레이가 0.1초 정도로 나와야 한다고 하는데요.
임베디드 리눅스는 물론이고, 영상 관련 쪽도 제가 처음이다보니 더 이상의 대안이 떠오르질 않네요. 인코딩/디코딩/네트워크 전송 중 어디서 시간을 잡아먹는지 알아보는 방법도 잘 모르겠구요. 원인이라도 알아야 할텐데;;

경험 있으신 분들은 힌트 좀 주세요~ ㅜㅜ

queenmedley의 이미지

프린터 ip 확인하는 방법

hp officejet 프린터를 허브에 연결시켜서
cups에서 네트워크로 프린터를 잡으려고 합니다.
근데 프린터에 ip가 뭘로 할당되어 있는지 모르겠어용.
윈도우에서는 ip 확인하는 유틸을 hp에서 지원하던데요..
리눅스에서는 방법이 없습니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