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silupja의 이미지

SUN 501 쿼드카드 패치 파일 설치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쿼드카드를 이용하여 GNS프로그램과 실제 스위치 장비를 연동 시키려고 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SUN 501 쿼드 랜카드가 64비트 시스템에서 2기가 램 이상 사용하면 장비간 핑이 안되는
버그가 있다고 하여 검색 해보니 설치 파일 보다는 코드 들을 나열하여 놓은 페이지들이 많이 보입니다.
제가 리눅스를 잘 몰라서 그러는대 저 내용들을 문서로 저장하고 패치를 할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시작하는 부분은 삭제되는 부분이고 +++ 부분은 추가 되는 부분이라고 들었습니다.
이것을 그냥 확장자 .patch 하여 적용하면 되는것인지 아니면 다른 절차를 거친후 하여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기존에 적용된 드라이버 폴더로 가서 해야 하는지 아니면 실행만 하면 되는지 여부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리눅스를 잘 모릅니다...가능하면 풀어서 설명해 주시거나 참조할 검색어등을 가르쳐 주시면 공부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1d0bus3의 이미지

파일시스템을 을 통째로 옮기려고 합니다.

목적은 gpt에 설치되있는 리눅스시스템을 mbr로 바꾸려는겁니다.

gpt파티션으로 이루어진 usb디바이스와, mbr파티션을 만들어놓은 usb디바이스는 각가 /mnt디렉토리에 마운트 시켰습니다.

gpt파티션에
/boot는 12번 파티션에 있고
/는 3번 파티션에 있습니다.

이것을 mbr파티션에 옮길때

cp -r /mnt/gpt/12/* /mnt/mbr/12/
cp -r /mnt/gpt/3/* /mnt/mbr/3/

단순히 이런식으로 카피해도 문제가 없을까요?(물론 부트로더는 새로 설치를 해야겟죠)

prankenmk2의 이미지

df와 du의 용량차이

안녕하세요.

서버와 nas스토리지를 NFS로 연결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용도는 log저장용인데요...

근래 용량부족으로 확인해보니 df와 du간의 용량차이가 약 100G정도 납니다......

검색을 해보면 대부분 delete 된 파일을 어디서 읽고 있다. 그 프로세서를 처리해라...

확인해보면 그런 상황은 아닙니다.

mount -a로 해도 용량 차이는 그대로 이고....

특이사항으론 log를 다른 파티션의 파일을 grep로 필요한 부분만 모아 저장한다는 겁니다.

서비스되는 서버라 쉽게 재시작을 할 수도 없어서 먼저 이렇게 조언을 굽합니다.

프로세서가 지워진 파일을 참조하는 상태는 아닙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d10won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가 계속 다운 됩니다.

리눅스 서버가 계속 다운 됩니다.

top에서 쉬푸트 M해서 정렬한것입니다.

- 최초 그림이 리부팅전 메모리가 다 찬상태입니다 그런데 SWAP영력을 따로 쓰지 않더군요.

- 부팅 직후 화면입니다.

- 마지막 화면은 부팅후 3시간 정도가 흐른뒤입니다....

서버는 G/W서버로 메신저 + 웹서비스 2개 + 전자결제 + DNS등이 돌고 있습니다.
어떤 또라이 개발자가 ....어떤 데몬들중,,,,, 선언 해놓고 메모리 헤지로직 안넣어서 계속 쌓이는거 같은데..

어떤건지 찾기도 좀 애매하고 방법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일주일에 2~3번도 메모리 풀이 차서 리부트하고 있습니다.

create1004의 이미지

[ubuntu net-snmp 설치 중]

snmp설치후 make test 하니깐 이렇게 에러코드가 뜹니다. library 쪽이 문제인듯한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usr/bin/ld: cannot find -lperl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make[1]: *** [libnetsnmpagent.la] Error 1
make[1]: Leaving directory `/home/create1004/snmp/net-snmp-5.6.1.1/agent'
make: *** [subdirs] Error 1

이 에러를 잡을 방법좀 제시좀 해주시면 감사합니다.

net-snmp v5.6.1.1 [소스로설치했습니다.]
ubuntu v11.10 입니다.

create1004의 이미지

[ubuntu net-snmp 설치 중]

snmp설치후 make test 하니깐 이렇게 에러코드가 뜹니다. library 쪽이 문제인듯한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usr/bin/ld: cannot find -lperl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make[1]: *** [libnetsnmpagent.la] Error 1
make[1]: Leaving directory `/home/create1004/snmp/net-snmp-5.6.1.1/agent'
make: *** [subdirs] Error 1

이 에러를 잡을 방법좀 제시좀 해주시면 감사합니다.

net-snmp v5.6.1.1 [소스로설치했습니다.]
ubuntu v11.10 입니다.

시류의 이미지

원격으로 사용하는 emacs 에서 ecb를 사용 할 수 없나요?..

cui모드에서 ecb를 깔아서 사용해보려고 하는데

맘대로 실행이 되지 않네요..

혹시 gui모드에서만 사용 가능 한것인지 궁금합니다. ㄷㄷ

viper9의 이미지

집에 있는 서버에 제 네임서버에서 서브도메인을 부여해줄 방법이 있는지요?

제목이 좀 이상한데.. 원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제 소유의 서버가 IDC에 한대 들어가 있구요. 예를 들어, 제가 viper9.com 이라는 도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서버에서 ns.viper9.com으로 네임서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네임서버로 이런저런 도메인을 잘 만들어서 사용 중인데요.

집에도 가지고 있는 서버에도 서브도메인을 부여해주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home.viper9.com 이렇게 접속하면 집에 있는 서버에 연결해주고 싶은데,

문제는 집은 그냥 광랜 환경이라 유동IP라는 점이죠.

그냥 집에 있는 서버의 현재 아이피를 부여해주는것이야 그냥 네임서버에서 설정해버리면 되니까 아무 문제 없지만.... 집에 있는 서버가 아이피가 갱신될 때마다 제 네임서버에다가도 알려줘야할텐데 이 방법이 궁금합니다. (이게 DNSEVER의 핵심기술이려나요?)

pilspark의 이미지

VirtualBox에 guest로 설치한 Fedora 14의 연결이 수시로 끊어집니다.

VirtualBox에 guest로 설치한 Fedora 14가 수시로 끊어지거나 접속이 안되는 등 문제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VirtualBox version : 4.1.8
host OS : Windows 7 64bit, 8GB 메모리
guest OS : Fedora 14 64bit,
- 768 MB 메모리, CPU 4개
- Apache 사용하여 web server 구축

문제는,

1)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PC나 Linux 기계에서는 접속에 아무 문제가 없는데,

hermes의 이미지

[완료] ASrock Extreme3 Gen3 메인보드에서 SSD와 HDD 인식에 문제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kldp에 하드웨어에 관한 질문을 올리는 게 조금 이상한 것 같긴 하지만 문제가 생기니까 여기가 제일 먼저 떠오르더군요.

ASrock Extreme3 Gen3 메인보드와
삼성 SSD
삼성 HDD
를 사용중인데요.

SSD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부팅했더니 HDD가 보이질 않네요.
검색해 보니 SATA2에 연결하면 된다고 하는데 그럼 비싼 돈 주고 SATA3를 산 이유가 없어지잖아요.

혹시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BIOS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했구요.
CMOS 셋업 할 때에는 HDD가 나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