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heisenjoy의 이미지

웹서버(CentOS)에 포트 스캐닝을 진행하는데 서버에서 로그를 확인하고 싶습니다.

CentOS 5.7에 Apache를 사용하여 웹서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노트북에서 nmap을 사용하여 포트 스캐닝을 하였는데, 이에대한 로그를 서버에서 확인하고 싶습니다.
/var/log 나 /etc/httpd/logs 등 이곳저곳 들쑤시는 중인데 아직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로그 기록이 남도록 오픈 스캔으로 진행하였습니다.
(nmap -sT -p 80 "서버아이피" 로 80번 포트가 열린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어느 경로에 어느 파일을 확인해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songssi11의 이미지

SNORT 에서요... DB..


SNORT 에서요

설치 및 셋팅은 끝난거 같은데요

snort -c /etc/snort/snort.conf -D

를 하면 오류없이 잘 뜨는데요..

어찌된일인지 mysql 에서 DB가 않쌓이네요

BASE 로 연동해보아도 BASE만 나오지 데이터가 생기지 않아요.. 도와주세요

blivme84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에 한꺼번에 설치하기

리눅스 우분투 11.10 서버를 40대의 컴퓨터에 설치해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레드햇 같은 경우는 kick start 등의 방법이 있지만,

우분투의 경우에는 이런 방식이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아이피는 1개이고, 이것을 dhcp에서부터 나누어야 하는데

이런 것을 위한을 방법 혹은 참고사이트 부탁드립니다.ㅜㅜ

k1d0bus3의 이미지

리눅스 책 괜찮은거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설치방법,셀명령어,사용법 위주의 설명이 아닌,

부트프로세스,initrd,init,커널,커스터마이징,,, 이런 설명이 좋은 책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xyhan의 이미지

서브 버전에서 Export 할때 전체가 아닌 특정 파일들만 Export 받게 할수 있을까요..

제가 예전에 Clear Case라는 툴을 사용할때는
소스 수정후 Commit 한 다음 따로 파일에 라벨을 붙여서
서버에 소스 반영시 라벨붙은 소스만 따로 받아 내서 그것만 컴파일 하면 되었는데...

서브버전에서 Clear Case에서와 같은 라벨 기능은 안보이네요..

혹시 수정된 파일을 어떤 기준으로 해서 내가 원하는 해당 소스만을 Export 받을

방법이 있으면.. 가르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HotPotato의 이미지

PDF 변환이 잘 되는 위키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기술문서를 작성하려고 하는데 제가 워낙 오피스로 작성하는 것을 싫어해서 위키로 작성 후 PDF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오랜만에 위키도 다시 만질 겸. 제가 알고 있는 위키로는 모니위키와 종합 CMS인 티키위키 뿐인데 장기간 운영해보지 않아서 각각이 지닌 진정한 장점을 모릅니다. 자바, C++ 코드표현도 잘 되고 자체적으로 PDF변환 기능이 있는 위키가 있을까요?(한글이 깨지지 않아야 합니다. 예전에 자바기반으로 작성된 X* 위키를 시도했던 적이 있는데 한글이 깨지더군요.)

elexnet의 이미지

AMD 6200 (16core CPU) 에서 RHEL 5.6 설치시Kernel panic

AMD 6200 (16core CPU) 서버에서 기존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위해 RHEL 5.6 설치시
Kernel panic error가 떨어지면서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위 CPU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Kernel을 update해야 하는데 설치가 되어야만이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설치가능할지요.

도움주시며 감사하겠습니다.

net1692의 이미지

리눅스 cp 명령어 질문

work/
old1/
old2/
old3/
a.c
b.c

old3 폴더에 a.c 파일을 work/new/old2/old3 폴더에 복사하고 싶습니다.

pwd=work/

cp -P old1/old2/old3/a.c ./

이렇게 해봐도 폴더는 복사안되고
work/new/a.c 이렇게만 복사되는데
work/new/old2/old3/a.c 처럼 복사되게끔 저장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을까요?

jinserk의 이미지

Gnome3 와 xinerama 설정

Debian testing 사용중입니다.
얼마전부터 그놈3가 디폴트가 되어서 twinview 로 잘 설정해 쓰다가
프로젝터랑 물릴때 가끔 놋북 화면만 볼 경우도 생겨서
Xinerama로 설정하려고 하니 gnome3 쉘이 동작을 안하네요.
Nvidia 칩셋이고 proprietary 드라이버입니다.
Nvidia-settings 로 해봤으나 twinview 밖에 설정이 안됩니다.
강제로 xinerama를 켜면 composite disable 옵션이 들어가는데
이걸 강제로 enable 하니 화면이 다 깨지네요.
혹시 gnome3 에서 xinerama 설정 성공하신분 있나요?

glast의 이미지

[완료] 아파치 가상호스트 질문입니다.. 외부접속이 안 되는 것 같은데

가상서버호스팅 이용 중입니다.

포트로 각 호스트를 구분하려고 하는데
8888포트를 할당하려고

httpd.conf에서 Listen 8888 하고
최하단에서

<VirtualHost *:8888>
    ServerAdmin root@localhost
    DocumentRoot /home/test/public_html
    ServerName localhost:8888
    ErrorLog logs/error_log
    CustomLog logs/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입력하고 저장했는데 주소:8888로 접속하면 접속이 되질 않네요.

그래서 외부 접속이 안되는 건가 싶어서 터널링해서 들어가보니 또 되네요 ㅡㅡ; 이런 경우엔 어떻게 해야할지...ㅠㅠ

centos 5.7이고 아파치 버전은 2.2.3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