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falhed의 이미지

윈도우 Server Redmine 설치 문의 건

주말내내 윈도우에서 redmine 설치 삽질하고 있습니다.ㅠㅠ

http://bitnami.org/ 홈페이지에서 bitnami-redmine-2.2.1-0-windows-installer.exe

다운 받아 설치했습니다.

smtp 메일 서버는 gmail로 해서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http://localhost:8090 실행하니

아래와 같이 접속 에러가 발생합니다.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
The server is temporarily unable to service your request due to maintenance downtime or capacity problems. Please try again later.

redmine stack를 보니,

mgfx의 이미지

Bonding시 변경된 eth0의 맥주소에 대해서..

현재 RHEL4updat3 사용잡니다.
외부 인터넷은 사용하지 않고 내부 네트워크만 이용하기때문에 대역폭증강을 위해 Bonding하려고 합니다..
eth0,eth1를 본딩할경우 본딩에사용할 맥주소를 eth1의 맥주소를 이용하려고 합니다..이유는 내부 네트웍에
eth0과 같은 맥주소가 있어 충돌이납니다 T.T
본딩하면 eth1의 맥주소로 Bond0,eth0,eth1 모두 같은 맥주소를 가지게 돼는데 문제는 eth0의 맥주소가 변경되는데...
이게 단순히 Bond0 때문에 스푸핑같이 임시로변경된건지 실제 eth0의 맥주소가 변경되는건지요?
eth0의 맥주소가 실제변경된거라면 해결방법도 부탁드립니다...

lxmzmxl의 이미지

넷북에 우분투 설치 관련

안녕하세요 삼성 넷북 NT-NC110 사용자입니다. 이번에 윈8 정품을 깔고 Wubi로 D드라이브에 우분투를 깔려고 했는데 12.10버전 iso랑 wubi를 돌리고 설치후 Nomal mode로 들어가니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뜹니다. 부디 도와주시길 바랍니다

mgfx의 이미지

리눅스 Bonding시 맥주소 설정방법?

리눅스에서 온보드된 2개의 NIC로 Bonding하려고 하는데 맥주소설정을 eth0대신 eth1로 설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임의로 맥주소를 바꾸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mirinaebada의 이미지

똥컴을 살려보려는 의지...

Windows XP가 깔린 똥컴이 고장나서 라이브 CD로 부팅해서 NFTS 인식되도록 한 다음에 파일 몇 개 옮기고 리눅스로 갈아타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p2rs0n의 이미지

IDC 에서 서버컴퓨터 (우분투) 임대하려하는데요..

먼저 이런 질문 해도되나는 모르겠습니다만..
또 게시판 선택을 어떻게 해야할지모르겠어서 이쪽 게시판에 질문드립니다..
제가 서버컴퓨터를 임대하려는 서버 IDC 업체는 아래와같이 트래픽을 제한하고있습니다..

회선 1Giga 회선 서버에 직접연결
트래픽 30Mbps 기본 제공
MAX 전송량 (Byte) : 324G / Day, 9.72T / Month

트래픽 30Mbps 란?
1. 30Mbps (30M bit per second)는 초당 30Mbits의 트래픽을 말합니다.

OOOO의 트래픽 정책
1. OOOO는 30Mbps 트래픽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2. 서비스중 지속적인 트래픽 초과시 트래픽 추가계약이 이루어집니다.

혹시시나 모르니까 임대후 전체적은 트래픽 제한을 걸어둘까하는데요..
전체적인 트래픽 제한방법은 도저희 찾아봐도 않나오네요..

혹시 관련된 내용이나 방법 아시는분 있으시다면 조언부탁드립니다 ㅠㅠ..

Gapsu의 이미지

VPN 경험한 분이면 누구나 알수 있는 물음입니다.

PC와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각각 VPN 서버에 접속하여 VPN IP를 할당받았습니다.
그 다음 무엇을 할지 모르겠습니다.

의문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할당받은 VPN IP 주소를 어떻게 확인하는지요?
2. 태블릿에서 VPN을 이용하여 어떤 조작을 할수 있는지요?
3. VPN을 이용하여 태블릿과 PC 사이 파일공유 , 전송 등을 할수 있는지요?

df.Karuna의 이미지

CentOS GNOME 데스크탑 환경 삭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Fedora 17 Xfce 환경 쓰다가 뭔가 오만잡다한 에러들이 난무하는 탓에

한번 싹 밀고 CentOS 6을 설치했습니다.

확실히 iBus만 해도 페도라와는 다른 반응을 보여줘서(iBus-Hangul의 한영전환이 이상하게 페도라에서 버벅이더라구요...)
벌써 기분이 좋네요.

노트북이 저사양인지라 어찌어찌 Xfce 환경을 설치했는데
(설치를 위해 FTP 돌다가 아직도 세이클럽 ftp가 열려있다는 걸 보고 놀랐습니다. 타키.. 이젠 안쓰지만... 네오위즈 사랑해요)

GNOME 환경을 없앨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ㅜㅜ.

yum grouplist를 돌려보니 GNOME Desktop Environment는 없는 거 같고... (제가 못찾은걸까요?^^;;)

어떻게 해야되나요 ~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nextkill의 이미지

64bit Centos 설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번에 윈도우 8을 구하게 되서 Centos를 커스텀설치를 하려고 했습니다.

Vmware는 9버전이고 32비트입니다. 일단 typical로 설치를 해봤더니 실행도 되고 잘됩니다.

그래서 custom으로 설치를 하려고 했는데 설치도 잘 끝나고 실행을 하려고 하니 이런 에러가 뜹니다. 커널어쩌고하면서...

[CentOS] Kernel Panic - not syncing: Attempted to kill Init!

oppor의 이미지

I can't type korean

This is error message.

GDBus.Error:org.gtk.GDBus.UnmappedGError.Quark._imsettings_2derror_2dquark.Code5: Current desktop isn't targeted by Input Method.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