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screen71의 이미지

네트웍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웹서버 부하분산)?

웹서버를 테스트 중인데 10대의 서버가 있습니다.

하나의 도메인으로 접속이 되고 ftp 서비스도 되어야 하는데 어떻게 구성을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부하를 분산 시켜야 하고 또 각기 서버에 있는 사용자의 계정을 한서버에
있는것처럼 만들어야 하는데....ㅡㅡ;;

부하 분산 방법은 매스커래이딩으로 부하 분산을 한다고 하더군요.
이때 하나의 서버에서 내부아이피(192.xx.xx.xx) 로 분산하여 구성하는게
좋을까요?...아니면 각각 공인 아이피로 구성해서 분산을 해야하는건가요?

hyunuck의 이미지

ssh 접속자 수 변경법이 궁굼합니다.(수정)

SSH 로 접속하려니깐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뿌리며 접속을 거부하는군요.

Warning: no access to tty (Bad file descriptor).
                                                Thus no job control in this shell.
                                                                             

테스트해본 결과 32 connection 까지만 허용합니다.
한 50까지 늘리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newdyn의 이미지

wo.to 처럼 도메인 포워딩 구현 로직은 어떻게 ???

안녕하세요. wo.to 처럼 사용자의 긴 주소를 줄여주는 것처럼
도메인 포워딩을 시켜줘야 하거든요. 어떤 방식으로 구현이 되어 이뤄지는지
로직을 알고 싶습니다.

구현해 보신분이 계시면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그에 대한 자료가 있으시면 부탁드리구요.

subnet@hanafos.com

dogrice의 이미지

telnet xxx.xxx.xx.x 53 이렇게 접근이 안된다면.....

telnet xxx.xxx.xx.x 53 이렇게 접근이 안된다면.....

53번 포트는 네임서버 입니다..
저렇게 해서 외부에서 접근이 안된다면

제 컴에 네임서버가 구축되어 있어도 다른곳에서
네임서버로서 접근할 수 없나요?

지금 네임서버가 잘 안되고 잇습니다...ㅠ.ㅠ

advan의 이미지

jvm으로 pc부팅?

여러OS에서 동작하는 jvm을 독립적으로 부팅 가능한 운영체제로 만들 수 있나요?
혹시 만들어졌거나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illbeworld의 이미지

ip설정한후 패킷 duplicate 가 발생합니다. 해결방법을 좀..^^

ping을 사용했을 때 DUP! 라고 뜨는데
각 패킷당 3개의 복사본이 뜹니다.

아래처럼 됩니다.

PING 211.218.33.106 (211.218.33.106) from 211.218.33.109 : 56(84) bytes of data.
Warning: time of day goes back, taking countermeasures.
64 bytes from 211.218.33.106: icmp_seq=0 ttl=128 time=1.277 msec
64 bytes from 211.218.33.106: icmp_seq=0 ttl=128 time=1.950 msec (DUP!)
From 211.218.33.105: Redirect Host(New nexthop: 211.218.33.106)
64 bytes from 211.218.33.106: icmp_seq=0 ttl=127 time=2.596 msec (DUP!)
64 bytes from 211.218.33.106: icmp_seq=0 ttl=127 time=3.584 msec (DUP!)

lc8228의 이미지

서비스의 포트구성과 접속포트의 포워딩에 관한 질문입니다.

도움을 요청하기 전에 전 리눅스 왕초보입니다.
우선 제구성을 설명드리게씁니다.(가까운친구들끼리<동창들> 작은 FTP서버를 구성하는것입니다.)
제가 쓰는 PC에서 계속 서버프로그램이나 그런것을 돌리는것 별로 효율성이 않좋은거 같아서요. 그래서 전에 업그레이드 하고 남은 부품들로 PC를 한대 조립했습니다. (결론은 파일서버로 쓸것 하나, FTP서버로 쓸 PC하나)

=인터넷선로=>(210.123.xxx.xxx)서버(192.168.0.1)==>(192.168.0.2)클라이언트

이런식으로 구성을 했습니다.(선로만) 말로 설명을 드리면 인터넷선을 PC1(서버)에 접속을 한 후 PC1과 PC2(클라이언트)를 크로스랜으로 접속했습니다.

jaehune의 이미지

[질문] 메인보드에서 DMA 33/66 사용불가

기가 바이트의 메인보드 GA-8IGX에서
레드헷 리눅스7.3 (kernel 2.4.18-3)를 사용중입니다.

기존에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cp나 rsync의 명령을 내리면 시스템부하가 높아지며 시스템이 중지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완전히 다운되지는 않고)

hdparm으로 아래와 같이 체크해 보니
hdparm -t /dev/hda

/dev/hda:
Timing buffered disk reads: 64 MB in 14.04 seconds = 4.56 MB/sec

결과가 상당히 느린 듯 하여

hdparm -d 1 /dev/hda로 DMA 기능 on했으나

아래와 같이 장치가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

베리스타의 이미지

tar에서 볼륨정보만 빼오는 방법을 아시나여?ㅡㅡ;

tar에서 볼륨정보만 얻고 싶은데....

tar -tvf /dev/st0 > filelist.txt를 했을 경우(st0 = 백업tape)
볼륨정보랑 파일 리스트전부가 들어가자나요.

그럼 파일 덩치도 커지고, 수천, 수만개의 파일을 백업할경우 시간도 오래걸리자나요.

볼륨정보만 얼릉 구해오는 방법을 아시는 고수님들 ㄱㅖ시나요?-_-;;

아니면...

tape의 앞부분에 우리의 데이타를 써넣는 방법이라도 아시는분 계시면 도움좀 주세요.

위 2가지 방법중 한가지만 알아도 문제가 좀 해결 되는데, 해결책을 모르겠네요.그런 불편함이 있다면 해결책도 누군가 생각했을텐데...

blue9wk1의 이미지

커널 업데이트.. 조언 부탁드립니다.

초보이다보니 하나도 모르겠네요...

커널 업데이트 = 커널 패치 같은 의미인가요?

그리고 커널 업데이트에 관한 추천해주실만한 사이트나 문서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엠파스에서 검색해봤는데 커널 업데이트 관련된건 제가 잘 몰라서

찾기가 힘드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PS: 검색하면 커널 업데이트 하셨다는 글은 나오는데 하는방법이나 설명은
못찾겠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