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sigga의 이미지

usb에러가 자꾸 뜨네요...도와주세요...ㅡㅡ

안녕하세요...인제 막 시작한 리눅스 초보자 입니다.
제가 쓰고 있는 운영체제는 Redhat 8.0 입니다.
근데 사용중에 한가지 문제점이 생겼습니다.
콘솔에서 로그인후 usb-uhic.c : interrupt, status 3, frame # 1196 메세지가
자꾸 뜨네요...ㅡㅡ
usb에러 인것 같은데 도대체 어디서부터 봐야할지 모르겠네요...
frame 뒤에 숫자는 계속 바뀌고요...
그럼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제가 사용하고 있는 usb는 마우스하고 프린터 입니다.

soclates의 이미지

리눅스초보입니다...답변부탁드립니다...


리눅스 설치후 mysql을 인스톨시켰는데요 책을 참고해서 했는데 이상없이 잘 됬는데..

sql서버 관리자 비번 입력후에 sql을 실행했는데

#./bin/mysql -p mysql 일케 입력하면
패스워드 입력창이 나오고 패스워드 입력하면..에러가납니다..

ERROR2002: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t socket 'temp/mysql.socket'(2) 이라고 뜸니다..

제발..답변 부탁드립니다....

즐건하루들되십시요...

dogrice의 이미지

mysql~ 실행하자 마자 ended하면서 끝나버리네요?? @#$@#!@#$ ??

/usr/local/mysql/bin/safe_mysqld --user=mysql &

라는 명령으로 백그라운드 데몬으로 실행하려 했는데

[1] 1066
Starting mysql daemon with databased from /usr/local/mysql/data
030406 23:23:52 mysqld ended

요런 메세지가 나오면서 바로 종료됩니다..
문제가 멀까요..?? :roll:

jijihun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시 문제가 발생해서 글을 올립니다

fs/cramfs/inode.c: In function `get_cramfs_inode':
fs/cramfs/inode.c:54: incompatible types in assignment
make[2]: *** [fs/cramfs/inode.o] Error 1
make[1]: *** [fs/cramfs] Error 2
make: *** [fs] Error 2

make module 할때 이런 에러가 뜨는군여
왜인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thisharu의 이미지

win2000서버와 리눅스 인터넷 공유 문제

인터넷 공유 문제로 글을 올립니다.
win2000에 랜카드가 두개있으며 하나는 ISP와 연결 되어있고
다른 하나는 허브를 통해 집의 다른 컴(리눅스-와우-파란7.1)과 연결하여
리눅스 쪽에서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게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윈2000의 두번째 랜카드는 IP 192.168.0.1
netamask 255.255.255.0
설정후 DNS 설정,default gw는 설정하지않고
공란으로 두었고
리눅스는 IP 192.168.0.2

dogrice의 이미지

드뎌 네임서버 잡았다 pynoos님 감사합니다.

pynoos님께서 게시판에서 성심껏 답변해 주셔서 드디어 네임서버를 구축했습니다..

며칠전에 게시판에 계속 문의글을 올렸는데 너무 친절하게 대답을 잘 해주셔서 결국은 책에 잘못된 내용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너무 감사하고요

다음에 궁금한것 더 여쭤도 되죠?

고맙습니다..^^

hezron의 이미지

데비안 3.0R1 커널 2.4입니다. 쉘에서 한글을...

기본 쉘에서 한글을 쓰고 싶은데..

한글 파일명들이 ???????????로 나오네요. ㅡ.ㅜ

로컬로 볼때말고... SECURECRT로 접속해도 그렇습니다.
원래 그런것인줄 알았는데...

저번에 QMAIL때문에 뭐 이것저것 시키는데로 깔다가 보니까
한글이 제대로 나오기 시작하던데...

그 이후로 다시한번 밀고서 시작하는바람에...
뭐였는지 알수가 없네요.

X윈도 말고 쉘에서 한글출력이 제대로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cjhding의 이미지

리눅스는 왜 이렇게 느리죠??실망입니다 --;

제가 듣기로 리눅스는 윈도에 비해 자원을 적게 소모해서

동작속도가 빠르다고 들었는데

엑스윈도에서 프로그램시작속도라든지 반응속도 인터넷 속도

모든것이 윈2000에 비해서 너무나 떨어지네요

정말 리눅스에 실망했습니다.

ratmhun의 이미지

아파치 1.3/2.0을 배포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레드햇 리눅스 8.0/9.0에서는 httpd 2.0을 기본으로 배포하고 있더군요. 보통 웬만한 리눅스 서적(최근에 출판된 것 포함)에서는 부록으로 레드햇 8.0을 제공하면서 Apache + PHP + MySQL 설치를 위해 1.3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어째서일까요?

1. 아파치 웹 서버 1.3.27, 2.0.45버전이 릴리즈되어 있는 상태입니다만 2.0.45버전은 현재 일반인(초보자)이 설정 및 활용하는데 특별한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까?

2. 제로보드 및 그 밖의 PHP 애플리케이션이 httpd 2.0에서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입니까?

offree의 이미지

[질문] 부하분산 방법은 ? 웹서버 , DB 서버 등..

안녕하신지요..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좀 사용자가 많은 서비스를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서버의 부하분산을 어떤식으로 해야 하는지요?

여기저기 살펴보긴 했는데 정확히 판단이 서질 않네요.

일단 제가 이해 한것은 (여러가지 방법중에 한 부분 이겠지만요..)

1. 웹서버
동일한 domain name 으로 서비스를 하면서 여러대의 웹서버로
분산시킨다. 이때 DNS 라운드로빈(?) 으로 처리 가능하다.

2. DB 서버
DB 서버를 기본적으로 별도로 서비스하거나 replication 같은 기법으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