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k9252의 이미지

ftp를 통해서 리눅스서버에 자료를 업로드할려고하는데요..안돼

제가 ftp로 리눅스서버에 파일을 올렸는데요..

근데 파일 용량이 0kb로 나와요...

혹시나 해서 용량을 체크해봤는데요...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hda5 20G 1.4G 17G 8% /
/dev/hda1 251M 3.5M 234M 2% /boot
/dev/hda7 53G 51G 0 100% /home

이렇게 나오거던요...

첨에 used가 53G라고 해서 좀 줄였는데도

use%는 계속 100%로 나와요.. Avail도 계속 0으로 나오고요...

모가 잘못된것인지도 통 모르겠어용..

bum의 이미지

솔라리스에서 라이브러리 패스는 어떻게 잡는가요

호.. 좀 무식한 질문이지만

리눅스에서 ldconfig, ld.conf 등의 역할을 하는

파일 혹은 프로그램 은 어떻게 되는가요..

라이브러리들을 수동으로 혹은 패키지로 설치를 하는데

바로 인식을 못해주는군요..쩝..

라이브러리 패스 잡는법 부탁합니다.

webfst의 이미지

서버가 자꾸 다운되는데 원인이 뭔지 모르겠어요...ㅜㅜ

서버를 관리하고 있는데 원인도 모르게 자주 다운되고 있습니다.

o/s는 와우리눅스7.1을 쓰고 있습니다

하드웨어는 SCSI로 되어 있구요..

비싸게 들여 시스템은 구축해두었는데 자꾸만 다운되고 있어요

어디서 문제가 되는걸까요 혹시나 하는 생각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나 하시는분은 리플좀 달아주세요..부탁드립니다.[/code][/url]

dogrice의 이미지

네임서버가 안되요!!! ㅜ ㅜ

ps ax해보면 당근 named데몬 돌아가고

init.d/named restart 다시시작 잘되고

1차 DNS를 127.0.0.1 로 잡고 host명령 때려봐도 IP는 잘 검색되는데

외 DNS로 외부에서 작동이 안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iptables -F도 해줬는데 안되네요...

박재민의 이미지

리눅스를 이용하여 MS의 터미널 서비스 포워딩 방법

리눅스를 이용하여 MS의 터미널 서비스 포워딩 방법 이 궁금합니다.
현제 구성중인 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192.168.0.9 리눅스
192.168.0.10 윈도우2000

이상태에서 윈도우2000의 터미널 서비스를 리눅스 주소인 192.168.0.9로 접속을 하여 윈도우 192.168.0.10으로 접속을 하고 싶습니다.

터미널 서비스 포트가 3389 번이라고 합니다. ^^;

iptables -t nat -A PREROUTING -p tcp --dport 3389 -j DNAT --to 192.168.0.10:3389
이렇게 해 봐는데요..
포워딩이 되지 않에요..
192.168.0.9

dogrice의 이미지

DNS구축시 도메인.zone 화일에서 TTL이 두개 값인데...

레드헷 8.0에서 zone파일을 보면 TTL에 두개 값이 잖아요

저는 편의상 둘다 0을 입력해 줬는데

이거 둘다 입력해 줘도 상관없는건가요..?

둘다 같은 값인가요?

멋쥔승호의 이미지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

아파치를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웹에서 계정으로
접근하여 자료실처럼 쓰고 싶습니당~

근데 이상하게도 설정을 제대로 다 해주었는데도,
http://localhost/~shlee 하면
:( 에러가 납니다...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도 아니고...

근데 http://localhost/~shlee/index.html 하면 나옵니다...-_-

index.html 인식하는 옵션도 넣어 놓았느데, 작동도 안되고...
실제로 원하는 것도 index.html 안 넣어 놓고 파일들 표시되게
하고 싶은 건데,,, 저런 에러가 나오네요...

dogrice의 이미지

답변 감사합니다만..

사실 텔넷으로 접근해 본게 과연 제가 구축한 네임서버로 원격에서 접속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에서 였습니다..

지금 네임서버를 구축했는데요
로컬에서는 잘 작동하나

외부의 원격에서접근할떄 네임서버로서 구실을 못합니다..
물론 whois에서는 네임서버 정보변경 다 해주었고요..

nslookup을 때려도 타임아웃밖에 안나오네요...

요는 ..네임서버를 구축하긴 하였으나 로컬에서만 잘 작동될 뿐
외부에서는 접근이 안되는 네임서버로서 기능을 전혀 하질 못합니다..

d13oo의 이미지

리눅스 콘솔 창에 색과 한글이 안나와요

저는 리눅스 레드햇 8.0을 쓰고 있습니다 근데 x 윈도우 상에서 콘솔 창을 키면 한글이 안나오고 (깨지는 것이 아니고 그냥 아무 글자도 안나와요 -_-) vim 설정도 하나도 안됩니다.

왜 그런건지 알수가 없어요 제가 root안에 있는 설정파일이라도 지운걸까요?

가르쳐 주세요 ㅠ.ㅠ 으흑 ㅠ.ㅠ

dogrice의 이미지

telnet xxx.xxx.xxx.xx 53 (네임서버) 안열립니다 ㅜ.ㅜ

telnet xxx.xxx.xxx.xx 53

네임서버 포트번호가 53번이라 외부에서 접근해보았는데
안되네요

저렇게 되면 네임서버를 외부에서 접근 할 수 없을텐데..
열어주는 방법은 없나요

물론 iptables -F는 실행을 했습니다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