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iking의 이미지

아직도 리눅스를 못깔았습니다....ㅡ,.ㅡ 데비안 질문!!!

맘 같아서는 지름신을 불러서 하드 질러서 깔고 싶은 생각입니다.

현재 하드 문제 없이 깔리는 버젼은 데비안, 젠투, arch 정도 입니다.

그중 젠투는 노가다에 손을 들고 나중에 vmware로 5번째 시도를 할생각입니다~ㅋ ㅑㅋ ㅑ ㅋ ㅑ

흠... 질문부터 해야겠군요~

데비안 시디를 다운 받으러 사이트를 들어가니

총 14장이나 있더군요~

어느것이 인스톨이고 어느것이 팩키지인지 모르겠어여~

혹시 전부 인스톨 시디인가요?

허거........

데비안 깔려면 어느걸 써야 하느지 가르쳐주시와요~

jachin의 이미지

바이오스의 날짜와 시간을 시스템에 맞추기 위한 방법...

전 젠투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리눅스 사용에는 자신있다고 생각했는데, 제일 초보적이며 기초적인 문제에서 걸리네요.

분명 바이오스 내의 시간은 정확한 시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만, 시스템을 부팅할 때마다 시스템 시간이 안 맞아서,

부팅 후 날짜를 변경하고 작업을 하곤, 다시 컴퓨터를 끕니다.

다시 부팅해도 바이오스 시계는 맞는데, 시스템 날짜가 안 맞네요.

분명 /etc/conf.d/clock 설정에서 CLOCK_SYSTOHC="yes" 설정도 해주고,

min2to의 이미지

음.. 저기여!! 죄송한데.. 페도라코어 받는사이트좀..

페도라코어 최신버전.. 다운받는 사이트좀..
최신버전으러 현재 씨디 2장으로.. 구울려고 하는데..

푸른·가람의 이미지

[질문] Anjuta에서 뜨는 터미널을 euc-kr을 기본값으로 하는 방법은 없나요?

HanIRC를 기반으로 돌아가는 봇을 만들고 있어서, euc-kr이 아니면 봇이 정상작동을 하지 않는지라 프로그램을 euc-kr로 만들고 있었습니다만 디버깅을 위하여 실행을 할 때 마다 터미널의 기본 인코딩이 UTF-8이 되어 있어서 인코딩을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습니다.

다른 부분들에서는 UTF-8을 유지하면서 Anjuta에서(가능하면 한 프로젝트 만에서) 뜨는 터미널만을 euc-kr로 하는 법은 없을까요?

제가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는 우분투이며, 버전은 아직

sinna21c의 이미지

dmesg 를 보면 이런 메세지가 Losing some ticks... checking if CPU freq

리눅스 초보자 인대여 ㅎ -_-;;

dmesg 를 하면

Losing some ticks... checking if CPU frequency changed 메세지가 자꾸 뜹니다

Linux risc 2.6.9-22.EL #1 Mon Sep 19 18:20:28 EDT 2005 i686 i686 i386 GNU/Linux

CPU 는 셀러론 2.4 인대여 그냥 심심플이로 돌리는 서버인댕

왠지 모르게 버벅 거린다는 생각이 들어여

해결 방버좀 알려주세여 ㅎ

cococo의 이미지

gcc 컴파일하면 어디 생성되나요?

Fedora 4를 쓰고 있다가, 여러 삽질을 거쳐 3.4버전이 필요하게 되어, 3.4를 gcc.org에서 다운로드 해서 컴파일 했습니다.

다운로드를 /usr/local/gcc_package에 하고,
/usr/local/gcc/에서
#/usr/local/gcc_package/gcc-3.4.3/configure --program-suffix=-3.4 한 후에,
gcc-3.2를 이용해 컴파일 했습니다.

만.

어디에도 gcc가 생기지 않네요. 이런 황당한... -_-
#gcc -v해 봐도 버전은 3.2고,
#find / -name "gcc*" 해 봐도 적당한 이름이 안 나옵니다. 물론
#gcc-3.4 해도 반응 없구요.

컴파일 할 때 에러 메시지는 안 나온것 같은데... 혹시 어디에 생겼는지 아시는 분 안계신가요? 혹은 또 다른 어떤 작업을 해야 하나요??

dharana의 이미지

SecureCRT 5.04에서 UTF-8로 설정하고 한글 입력되시는 분 있나요?

서버 설정은 데비안 sarge 3.1, bash 2.05버전을 사용하고 /etc/locale.gen 에서 ko_KR.UTF-8 만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로케일 값이 나옵니다.
[code:1]# locale
LANG=ko_KR.UTF-8
LC_CTYPE="ko_KR.UTF-8"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COLLATE="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LC_PAPER="ko_KR.UTF-8"
LC_NAME="ko_KR.UTF-8"
LC_ADDRESS="ko_KR.UTF-8"
LC_TELEPHONE="ko_KR.UTF-8"
LC_MEASUREMENT="ko_KR.UTF-8"

kookbok의 이미지

네임서버관련질 문입니다~ 이게 잘 한건지 모르겠어요~

학교안 건물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버를 구축하려고 하는데...
이게 설정이 잘 된건 지 모르겠네요~

1) resolv.conf
search cbi.cau.ac.kr
nameserver 165.194.84.203 이렇게 설정하고
->>제 아이피 주소거든요~

> .
Server: 165.194.84.203
Address: 165.194.84.203#53

Non-authoritative answer:
*** Can't find .: No answer
> localhost
Server: 165.194.84.203
Address: 165.194.84.203#53

** server can't find localhost: SERVFAIL
> 127.0.0.1
Server: 165.194.84.203
Address: 165.194.84.203#53

amadeusj의 이미지

proFTP 에서 211.232.238 ip대역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려합니다

proFTP 에서 211.232.238 ip대역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려합니다
검색해서 찾아보니 iptable 을 이용하면 될거같은데
리눅스 완전 초보라서..잘모르겠네요..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