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멀티코어라고 나와있는 것들을 보면 죄다 후처리에 집중되어 있는 것 같던데 -_-
후처리말고 실제 핵심 알고리즘까지 완전히 멀티코어화된 엔진에는 뭐가 있을까요?
5.5.34 MySQL Community Server (GPL)을 설치하고 c++과 연동하기 위하여 mysql++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1. 다음을 통해 mysql++-3.2.0.tar.gz을 다운 받았습니다. wget http://tangentsoft.net/mysql++/releases/mysql++-3.2.0.tar.gz
2. 다운 받은 파일의 압축을 해제했습니다. tar -zxvf mysql++-3.2.0.tar.gz
3. mysql++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음을 실행했습니다. ./configure
3을 실행한 후 아래와 같은 message들이 화면에 출력됐고, 마지막에 "Didn't find mysqlclient library "라는 error message가 출력되었습니다. 무엇이 잘 못되었고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혼자서는 풀 수 없다는건 압니다만 그냥 궁금합니다. 현재 풀어야하는 문제? 가 어디에 나와 있을거 같은데 못찾겠네요.
혹시 아시는분 링크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aid6에서 4개의 디스크중 2곳이 부분적으로 오류난것도 복구가 가능할까요?
- 0. 4개의 디스크를 raid6으로 구성했을때 질문이 있는대요.
1. 디스크 에서 블록중 어느 평행선에 구성되는 블록 4개가 있을때. [더 자세히는 표현이 안되요.] 2개의 블록이 부분적으로 오류가 난 경우에도 해당 블록들을 복구가 가능할까요?
2. 디스크가 2개가 완전히 고장나게 되면 (raid{0+1} 같이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나요?
아래 링크의 문서가 어떤 툴로 만든 문서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http://www.coremodeling.com/android/tutorial/notepad/notepad1.htm
계속검색해보구 있는데 잘 찾아지지가 않네요.
HTML 소스상
예전에도 본거 같아서 도대체 뭘로 작성한건지 찾고 있는데 잘 안나오네요.
이런스타일이 제가 좋아하는 문서 스타일이라서 문서작성시 사용 좀 해볼라구요.
아시는 분 계시면 부탁드려요~~
몇 년 전, 윈도우에서 한글 파일명을 포함하여 만든 zip파일을 리눅스에서 풀면 깨지는 문제의 해결책으로 kozip이라는 스크립트가 올라왔었습니다. 여기가 그 글입니다. 그 중에서 파이썬 버전도 있었는데요. 첫 언어로 파이썬을 배우면서 그 스크립트에 기능도 추가하고, 파이썬 3으로 업데이트도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만든 github 저장소가 이겁니다.
git 로 오픈 준비를 하다 보니깐 github 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끔 git push 가 안되네요.
공짜로 사용하기에 쩝 미안한 이야기지만,
부하때문에 동시 연결 제한등이 있어서 가끔 접속 거부가 있는것이 아닌가 추정해 봅니다.
혹여 추정이 잘못 되었다면 지적해 주세요.
저 같은 git 초보자의 경우 이런일 있으면 왜 안되나? 씩씩~ 거리게 되네요.
그래도 github 의 경우 저장소 초기화도 지원해 주어서 저 같이 시행 착오로 배우는 사람한테는 참 좋네요.
정말로 시행 착오가 필요하네요.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상 빈 디렉토리가 필요한데 git 는 빈 디렉토리를 허용하지 않네요.
오늘 git 를 이것 저것하다가 알게 되었네요.
어떻게해야될가요??ethool에서사용하는 dev 권한을 바꾸면될거같은데그게먼지모르겟어여 ㅠㅠ
안녕하세요. centos에 jpcap 설치 하는중 계속 삽질중이라서 도움을 청하고자 올렸습니다.
오픈소스 구조 /jpcap-0.01.16>ls CVS CVSROOT README build.xml config docs jars jpcap lib make makefile properties rpm scripts src thirdParty
c파일위치 /jpcap-0.01.16/src/c>ls CVS makefile pcaptests pcaptests.c
makefile 내용 /jpcap-0.01.16/src/c>cat makefile # $Id: makefile,v 1.8 2004/03/16 22:49:56 pcharles Exp $ # # jpcap/src/c makefile # include ${MAKE_HOME}/os.makefile include ${MAKE_HOME}/rules.makefile
안녕하세요. HPUX 시스템 모니터링 중 glanc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lv(logical volumn)을 모니터링 하고 있는데 아래의 같은 내용이 있는데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Idx Vol Group/Log Volume Open LVs LV Reads LV Writes -------------------------------------------------------------------------------- 46 /dev/vg03/lvdata01 249.2/ 237.9 123.0/ 111.0
1번째 질문은 LV Reads 에서 왜 "249.2/237.9" 2개가 보이는건지? 수치 표시면 1만 보이면 될거 같은데.... 2번째 질문은 LV Reads, Writes 의 단위는 어떻게 되는지?(예를 들면 Kbyte, Mbyte인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