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halisto의 이미지

tar 압축시 절대경로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과제용 쉘프로그램 개발중에 해결이 잘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절대경로로 tar 압축 후 해당 압축파일을 풀면 압축을 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기준으로 최상위 디렉토리까지

압축되 있는것을 확인했는데 예를 들면

tar cvfz account1.tar.gz /home/account1/public_html/*

위와 같이 /home/account1/public_html/ 하위의 모든 파일을 압축하게 되면

압축파일 내용을 확인해보니 /home/account1/public_html 디렉토리까지 모두 압축되어 있는데

단순히 public_html 하위의 모든파일만 압축되게 하려면 어떤 옵션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상대경로로 압축할 수 없는 경우라 절대경로 압축만 가능한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soc1의 이미지

커뮤니티의 연합? 인텔, NVIDIA, AMD는... 인류의 미래는...

커뮤니티의 연합이라는 얘기 자체와는 별 관련없는데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이 사업리스크를 벗어나기 위해 하청업체에 생산을 맡긴다는 것 이 부분에 대해서
인텔 AMD NVIDIA가 사업하는걸 보면 인텔은 메인보드 사업을 ASUS 같은 중국/대만계 하청업체를 이용함.
NVIDIA AMD도 크게 사정은 다르지 않아보임.

이것도 2020년쯤에는 우리가 알던 x86 업체 중 내부 부품 생산자가 모조리 전멸하고 HP, Dell, Samsung 같은 완제품 생산자와 ntel, AMD, NVIDIA, Samsung 같은 칩셋, 코어 생산자만 살아남을 듯하기도 하고. 일반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CPU, 그래픽카드, 쿨러 같은게 다 없어질 듯.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때까지도 살아남는다면 그 때 세상은 윈도우즈와 안드로이드가 종합플랫폼의 자웅을 겨루고 있을 듯.

마이크로소프트 VS 구글
윈도우즈 VS 안드로이드

종합점유율도 48.0% : 51.6% 정도로 매우 치열한 싸움이 전개될 듯.

커뮤니티의 연합을 얘기했는데

백연구원의 이미지

인증서 질문 좀 하겠습니다.

손도장 알고리즘의 종류에 대해 알고 싶은데, 어디서 확인 가능할까요;
구글에는 "손도장 알고리즘"을 중점적으로 검색했는데, 다른 검색어가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kokihong87의 이미지

쉘스크립트에서 특정 pid만 킬하게 짜려고 하는데요

서버는 HP-UX고 데몬은 포크방식입니다.

개발서버에서 데몬을 테스트 하면 자식프로세서들이 잘 죽는데 운영에서 하면 이상하게 안죽고 쌓이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쉘스크립트로 떠있는 프로세서중에서 슬립상태인 경우 실행시간이 30분 경과되면 킬 시켜버리려구 하는데요

일단 슬립상태인 pid를 얻긴 했는데...

set PPID = `ps -ef | grep 데몬 | grep -v "grep" | awk '{if( $3 == 1 ) print $2;}'`
set C_PID = `ps -ef | grep 데몬 | grep -v "grep" | awk '{if( $3 == "'"${PPID}"'") print $2;}'`
set C_PID_NUM = `ps -ef | grep 데몬 | grep -v "grep" | awk '{if( $3 == "'"${PPID}"'") print $2;}' | wc -l`

문제는 C_PID에 14861 21154 22114 24019 29943 21193 9327 1642 22023 11351 4353 26703 12331

soc1의 이미지

오늘은 그래픽카드 UEFI GOP 바이오스 개조 성공했다.

몇 번 이메일을 보내도 답변 없길래

직접 개조했는데 그냥 작동함.

자세한 과정은 안알랴줌

qnfw3174의 이미지

smtp 외부로 보내기...

centos에 smtp서버 설정을 하고있습니다.
다른 pc에서 telnet으로 접속해서 내부 네트워크(회사메일)로 메일을 보내면 잘 오는데 네이버나 다음, 지메일 등으로 메일을 보내면 받질 못합니다.

----------------------------------------보내는 쪽으로는 이런 메세지가 오고--(사내 메일에서 다음으로)------
다음 받는 사람 또는 메일 그룹에 대한 배달이 지연되었습니다:

xxxx@daum.net

제목:

xoduddk123의 이미지

파일시스템 라이브러리 경량화 질문입니다.

파일시스템에 관하여 공부하던 도중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올리게 되었습니다.

궁금증을 가지게된 부분을 다음의 부분입니다.


현재 파일 시스템에서의 라이브러리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 경량화된 ROOTFS를 만들며,

또한, 추가되는 라이브러리의 충돌 가능성을 제거한다.

제가 미약하게나마 알기로는 파일시스템의 라이브러리는 정적라이브러러와 공유 라이브러리 이렇게 2종류인데

정적라이브러리같은경우는 컴파일될떄 파일에 아카이브내용이 복사되어 컴파일되어서 한번 컴파일되면 라이브러리파일이 없어도 실행이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공유라이브러리같은경우는 프로그램이 실행될때마다 원하는 라이브러리파일만 쏚쏙 불러와서 라이브러리을 공유하게끔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위에보면 라이브러리의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 경량화된 ROOTFS를 만들라고하는데 잘 이해가되지않습니다.

라이브러리를 관리한다고해도 정적라이브러리를 관리하는게 아니라 공유라이브러리를 관리하는 정도일거라고 생각합니다.

ivyapink의 이미지

.../Makefile.fwinst:34 ***혼합된 묵시적 규칙과 일반적 규칙. 멈춤.

ARM9 계열의 임베디드 제품을 개발,진행중인 리눅스 초보자입니다.
개발용 SDK가 제공되는 관계로..쉽게 접근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진행하다보니 여기 저기서 막히네요..

툴체인, 소스 모두 설치한 후 ./build 진행하면 이상 없이 컴파일 완료되네요.
그런데, 드라이버를 생성하려고 보니 make modules 라는 명령을 쓰게 되어 있는데요..
문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합니다.

에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Building modulse, stage 2.
MODPOST 16 modules
/usr/src/arm-linux-2.6.28/linux-2.6.28-fa/scripts/Makefile.fwinst:34: ***혼합된 묵시적 규칙과 일반적 규칙. 멈춤.
make: ***[modules] 오류2

kkb의 이미지

logrotate는 보통 항상 cron과 연동시켜 사용하나요?

logrotate 기능을 사용하려고 logrotate를 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cron과 연동시켜서 많이 사용하는 것 같던데
logrotate가 보통 단독으로 실행되어 사용되지는 않고 항상 cron과 연동되어 사용되나요?

제가 굳이 cron을 설치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아니고요

cron 없이 logrotate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면 굳이 cron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거 같은데
보통들 logrotate를 cron과 함께 실행시키고 있다면 당장이라도 cron을 설치해서 쓰려고 합니다

주기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자체 기능은 없나보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