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atoughguy의 이미지

clonezilla(클론질라) 이미지 생성 또는 복구 할 때 나오는 결과 파일로 저장 되나요 ?

리눅스용 클론질라 사용중인데 ... 리눅스 PC에서 사용하다 보니

이미지 생성이나 복구할 때 보여지는 report들이 순식간에 화면 위로

올라가버리니... 자세히 확인할 방법이 없네요.

그나마 다행인건 인스톨하면서 에러는 없었다 라는 메시지는 있지만

어떤 점검을 했는지 물리적인 결과를 눈으로 봐야 하는데 이거 참 ..

도스 모드라 스크롤도 없고 난감합니다.

그래서 report 파일이 있을까 해서 찾아봤는데

시스템 정보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 빼고는 없네요.

결과물이 필요한데 혹시 볼 수 있는 방법 아시는분 계시나요 ?

hsnks100의 이미지

vi 쓰시는 분들에게... 방향키는 절대로 안쓰는게 좋습니까?

정말 궁금합니다.

입력모드에서 커서 왔다갔다 하면서 편집하고 싶은 욕망이 강하게 드는데요. 억제를 해야할까요?

참고 쓰다보면 밝은 날이 옵니까? 너무 간질간질합니다.

사소한거 하나하나 esc 눌러서 hjkl 로 이동하는데, ... 제가 하는 방법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합니다!

cos4의 이미지

이제 무상철도는 끝이다.

나는 철도가 무상이라 언제든 내가 접근하기 좋았으므로 전철을 좋아했다. 언제든 돈이 없더라도 훌륭한 전철을 타고 엄청 멋진 철길을 지나 서울의 어디든 아무런 계획없이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것은 멋진 일이다. 100km에 달하는 거리를 하루아침에 내 맘대로 돌아다닐 수 있다는 것, 이게 최고 아닌가?

그리고, 이 무상전철을 수원에서도, 인천에서도, 대전에서도, 대구에서도, 부산에서도 탈 수 있어서 좋았다. 그걸 보고 언젠간 전국이 전철로 연결될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서울에서 남쪽 끝에 붙은 항구도시 광양까지 목적 없이 전철을 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철도가 민영화되면 무상철도도 끝난다. 노인네 무임승차가 먼저 폐지되겠고, 장애인 무임승차가 그 다음일 것이다. 이러면 한국에 발붙일 만한 마지막 흥밋거리도 사라지는 것이다.

어차피 시간이라는 비용이 존재하므로 모든 사람에게 전철 무임승차를 제공한다고 해서 딱히 경제적으로 큰 문제가 될 일은 없다. 우리에게 가장 바람직한 미래상이 그것이기도 하다. 모든 사람이 전국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나라.

헤라크의 이미지

알바 좀..

이제 2015년 초엔 결혼을 해야 할 거 같은 데...

월급 가지고는 결혼 할 자금 마련도 어렵네요.

지금 받는 거는 그냥 집에 다 들어가니까요;;

집에서 재택 근무로 일 할 수 있는 거 없을 까요?

웹도 하고 앱도 하고 네트워크 프로그램도 하는 데..

디자인을 못하니 딱히 일 할 수 있는 거리가 별로 없는 듯 하네요ㅠㅠ

cococo의 이미지

console 기반 mail client 추천 부탁드립니다.

음. 상황을 좀 말씀드리면 이러합니다.

1. 고객이 메일 서버 구현 요청
2. 고객은 컴퓨터 모름
3. 상담결과 메일 "수신"만 필요 . 송신 기능 필요없음 ( 비용 문제 )
4. 수신 가능한 메일 아이디는 임의의 갯수. 비정형.

그러한고로, 간단히 아래와 같이 구축하는 것을 디자인하였습니다.

11. 호스팅 업체 연결 + cent os linux 설치 ( 싸니까... )
12. 기본 설치된 sendmail 사용
13. 인터페이스는 웹 사용 = 웹서버 + 디비 설치 ( Mysql + php + apache )
14. 간단한 웹 로그인 기능 구현
15. 사용자가 웹으로 접속해서 로그인 하면, 현재 등록된 메일 계정 + 해당 계정에 수신된 메일 제목들이 출력.
16. 사용자가 메일 제목을 클릭하면, 메일 본문 표시.

nice7285의 이미지

넷 하드 관련 질문 입니다. 외부에서 폴더에 접속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

회사에서 넷 하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공유기에 물려 있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 되어 있습니다.
(192.168.1.10)

외근할때 간혹 회사 자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외부네트워크에서 넷 하드에 어떻게 접속해야 할지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방법을 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__) (^^)

choimg79의 이미지

왜 일반적인 보드(개발목적이 아닌 보드) 에는 시리얼 통신 포트, 이더넷 포트 가 없는거죠??

왜 일반적인 보드(개발목적이 아닌 보드) 에는 시리얼 통신 포트, 이더넷 포트 가 없는거죠??

옛날부터 궁금했던 것입니다.

임베디드 공부하면 소개되는 보드들은 모두
3가지 종류의 포트가 꼭 있었습니다.
usb, serial , ethernet ...

그런데, 제가 고등학교 때 쓰던 v43(아이스테션의 PMP)를
뜯어봤는데, 거기에는 usb 포트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port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위의 PMP 같은 경우에는
부트로더 같은 경우를 제일 처음에는 어떻게 올려주는지? 알고싶습니다.

PMP 어딘가에 부팅에 대한 정보를 넣어줘야 하는데,
하드웨어를 모두 구성하고 난 후에, 그 다음에는 어떻게 소프트웨어 같은 것을 올리는지???

답변부탁드립니다.

ydhoney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자입니다.

게시판 글 리젠율이 극히 저조해보여 초보자가 글 하나 씁니다.

잘 배워가겠습니다. 굽신굽신..(_ _)

hsnks100의 이미지

vi 에서 문자 끼워넣기 어떻게 합니까?

abcdefh... 가 있으면

a b c defh... 로 하고 싶은데 방향키를 쓰지 않고 hjkl 로만 할려니 너무 힘드네요. 방법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wince의 이미지

웹 서버 접속하기... 도와주세요

당최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ICMP 통신은 되는데... 웹서버 접속이 안됩니다.

일단... 현재 Fedora 19가 설치된 Desktop이 있고, Windows 7이 설치된 노트북이 있습니다.

서로 공유기로 연결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설정도 분명히 잘 되어있습니다. 192.168.219.*/24 로 되어있지요.

서로 ICMP 통신도 잘 되며... 같은 대역이므로 라우팅 테이블 설정해 줄 필요도 없을것이고 (만약 안되면 핑도 안되었겠지만..)

도저히 안 될 이유가 없는데... 대체 왜 웹 서버 접속만 안될까요?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도무지 안되요..)

> Fedora 19 : Desktop
CPU : Intel i386 Pentium D 3.4 GHz
RAM : 4 GB
NIC : Fast Eternet 100 Mbps
IP : 192.168.219.102/24
Server : Apache 2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