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hms7393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아이디어 소켓통신 질문입니다.

https://www.kickstarter.com/projects/1357183014/picam360-surfacewalker-water-surface-drone
여기서 배에 라즈베리파이카메라를 달아서 휴대폰으로 보는 멋진 스타트업 물건을 봤는데요
비슷하게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스마트폰으로 라즈베리파이와 소켓통신으로 wife환경에서 40미터내로 사진과 영상을 통신하고싶은데 방법없을까요???
현재 핫스팟밖에 떠오르지않네요
스마트폰 앱으로 만들어서 까다로운 절차없이 봐지면 딱일텐데요
너무 지식이 없어서 감히 글 적기가 죄송스럽지만 그냥 재미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roovejumat의 이미지

nginx 를 yum 설치를 할 때, 임의로 버젼을 제가 정해서 설치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고객사쪽에서 요청한 버젼은 1.14버젼인데,

컴파일 설치시에, init.d 스크립트를 등록해도 sevice가 동작하지 않는 이슈가 생겨서, yum 설치를 통해서 nginx 1.14

버젼설치를 하고자 합니다. 도움 좀 주실 수 있으실까요.

세벌의 이미지

외국인 이름 읽는 법? 어느 나라 사람?

김프 문서를 보다가
https://docs.gimp.org/2.10/ko/gimp-introduction-whats-new-gegl-port.html

어느 나라 사람인지? 어떻게 읽는지 모르는 이름이 나와서요.

Øyvind Kolås

어떻게 읽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 서버 관련

 sudo apte-get update  

이걸 실행시키려고 합니다

서버에서 작동중이며 옆에는 서버 같은것이 있고 그건 문제 없고 원격으로 접속 가능한 상황입니다

kosshackathon16의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OSSCON2018

KOSSCON 2018 과 함께하는 #공유 #이벤트

KOSSCON은 공개 SW 프로젝트 기술 지식을 공유하는 컨퍼런스 입니다.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최신 트렌드 기술 및 산업 적용사례, 커뮤니티 문화를 소개해 드립니다.
▶️참여방법 : '전체 공개로 공유' 후 URL을 댓글로 남기면 참여 완료!
▶️이벤트 기간 : 11월 12일(월) ~ 11월 25일(일)
▶️당첨자 발표 : 11월 26일(월), 노트 발표
▶️이벤트 경품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30명
KakaoTalk_20181112_144304238.jpg
▶️참가신청 링크: https://kosscon.kr/reservation/fall
▶️홈페이지 링크: https://kosscon.kr/

세벌의 이미지

질문. 영어 번역 Working my stability

https://www.gimp.org/news/2018/11/08/gimp-2-10-8-released/wilber-co-Aryeom_stability.png
만화에 나오는 영어 무어라 번역하면 좋을까요?

Q: What are you doing, man?
A: Working my stability.
달랑 두 줄인데 모르겠네요.

너 뭐하고 있니?
나의 안정성을 일해요.

라고 번역하려니 뭔가 이상하네요 :p

emptynote의 이미지

낚시를 위해 마케팅 기법을 도입한 리브레오피스 org 도메인 자격 없습니다.

리브레오피스에는 "Fresh Branch" 와 "Still Branch" 라는 새로운 용어가 있습니다.

대부분 그렇듯이 기술 마케팅 차원에서 마케팅을 위해서 새로운 용어를 등장시킵니다.

새롭다 라는 이미지를 위해서 말이죠.

하지만 조금 삐딱서리로 보면 사람들 현혹할려고 사용하는것입니다.

도대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도 아니고

비영리를 상징하는 .org 에서 버젓히 영리 기업이나 쓰는 마케팅 기법은 왜 쓰는 걸까요?

다운 로드 화면 들어가 보면 "Fresh Branch" 가 가장 먼저 위치하고 있습니다.

"Fresh Branch" 란 무엇일까요?

"Fresh Branch" 발표 주기는 한달 혹은 두달 정도로 매우 빠릅니다.

그 시간안에 통합 테스트를 한다? 불가능합니다.

오피스 프로그램은 거대한 프로그램입니다. 데비안등등 리눅스 배포판에 견주는 규모입니다.

데비안 배포판 안정버전의 발표 주기는 어떠합니까?

우분투의 안정 버전 발표 주기는 또 어떠합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edia 에 마운트된 하드에 기본 퍼미션을 777에서 644로 바꾸기.

제목에 간략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네요.

현재 하드가 크게 3개로 분할되어었습니다. 하나는 윈도우즈, 하나는 우분투,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데이터로 윈도우즈 우분투 공유해서 사용 중입니다.

그런데 그 데어터에 있는 모든 파일의 퍼미션이 777입니다. 바꾸려고 해도 바뀌지도 않고.

이 문제는 외장 하드를 마운트해서 사용할 때도 발생합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644로 하고 필요한 파일만 755정도로 하고 싶은데 말이지요.

기본 퍼미션을 어떻게 변경할 수 있나요?

세벌의 이미지

LibreOffice 계속 비난하는 분? 그 얘기는 LibreOffice 사이트에 하시죠.

LibreOffice 계속 비난하는 분?
그래서 kLDP에서 어떻게 하라는 거죠?

리브레오피스 얘기는
https://ask.libreoffice.org/ko/questions/
에 얘기하면 좋겠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2008년도 오픈오피스 관련 댓글 복기해 봅시다.

2008년도 오픈오피스 관련 댓글 복기해 봅시다.

10년이 지난 지금 상황이 나아졌을까요.

이제는 인정할때가 되었습니다.

리눅스에서 오피스는 아직도 가야할 길이 험난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
참고 주소 : https://kldp.org/comment/457028#comment-457028

오픈오피스가 좀더 강해져야...
글쓴이: 오호라 / 작성시간: 월, 2008/09/01 - 10:28오전
제가 있는 회사도 얼마전부터 오픈오피스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MS오피스문서는 그대로 두고 새로 변경되거나 새로 작성되는 문서는 오픈오피스를 쓰기 했습니다.

문제는 한글->워드에 걸렸던 문제와 비슷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