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세벌의 이미지

친구가 정신병원에...

몇 년 동안 연락이 없던 친구에게서 전화 왔습니다.
반가운 마음에 얘기를 하다 보니...
가족이 정신병원에 넣었다. 보호자 동의 없이는 그곳에서 빠져 나갈수 없다. 보호자는 동의 안 해준다.
는 내용의 이야기를 하더군요. 무슨 드라마에서나 있는 일인 줄 알았는데...

이런 경우 본인이 그곳을 나가고자 하는 의지가 있더라도 법적으로는 방법이 없는 건가요?

지각생의 이미지

노동부를 움직이기 위한 IT노동실태조사가 진행중입니다

이미 하신 분도 많겠지만, IT노조에서 민주당 장하나 의원실과 함께 온라인 실태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http://it.nodong.net/survey/

2010년에는 "폐잘라낸 개발자" 양모씨 소송을 지원하는 법적자료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고,
올해의 조사는 의원실과 함께 국회 안과 밖에서, 노동부가 특별감독 등 구체적인 행동을 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기 위한 겁니다.

IT노동자의 야근 문제가 지금까지 몇번 이슈화 된 적 있지만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정도로 조직적인 행동이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올 초 양모씨의 1심 결과가 나온 후로 많은 언론에서도 IT 야근 문제를 다루고는 있어요. 언론의 관심이 확실히 달라지긴 했습니다.
그렇다고 가만히 기다리고 있으면 노동부던, 미래창조과학부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죠. 그래서 여러 진보적 의원실과 IT노조가 함께 행동에 나서려고 해요. 이 실태조사는 그 움직임을 위한 근거 자료입니다.

chisquare88의 이미지

openid 사이트인 myid.net이 접속이 안되네요.

며칠전까지 이용했었는데 오늘은 하루종일 접속이 되질 안네요..

moozan의 이미지

Windows XP Home에서는 AHCI를 설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nlite로 통합했지만 실패했습니다. OS설치후 드라이버를 별도로 설치했지만 " PCI 이중 IDE 드라이버 "던가 아무튼 SATA와는 관계없는 것으로 바뀝니다. 그나마 원래있던 SATA관련 드라이버가 사라져버립니다.

그리고 나서 인텔에서 받은 6시리즈 AHCI드라이버 설명서를 봤습니다. 아무리봐도 지원하는 칩셋명단에 H61칩셋이 없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보드는 Asus P8H61-M PRO입니다. H61칩셋입니다.

질문은 Windows XP Home에서는 AHCI를 사용하지 못합니까? Windows XP PRO에서는 가능해서 질문합니다. 그리고 H61칩셋은 원래 AHCI를 지원하지 못합니까? 6시리즈 AHCI드라이버의 설명서에는 H61칩셋이 지원목록에는 없습니다.

고수분들.... 가르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moozan의 이미지

Windows XP Home 드라이버 설치 문제를 질문합니다.

OS는 Windows XP Home (한글) 입니다. 모든 드라이버, OS 업데이트를 마치고 장치관리자를 보면 아직도 물음표상태로 있는 장치가 있어서 질문합니다.

비디오 컨트롤러
High Definition Audio 버스의 오디오 장치
PCI Device
Universal Serial Bus (USB) 컨트롤러

위의 4개가 물음표에 작은 느낌표가 겹쳐있습니다. CPU가 인텔 코어i3-2세대 2100 (샌디브릿지) 입니다.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를 시도하면 시스템이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던가... 설치가 안됩니다. 그래픽은 외장 그래픽을 사용하며 모델은 GT440입니다.

hjsong2234의 이미지

제일 simple한 리눅스

안녕하세요. 이제막 리눅스에 입문하여 이거저거 배우고 있는 신입 개발자 입니다.
이번에 회사에서 맡은 일이 리눅스 드라이버 개발 부분인데요. 개발은 이미 open project로 상당수준 진행 되어 있는 src를 base로 modify 하여 사용 합니다.
근대 막상 Driver를 다 완성하고 배포하다 보니 상대한 업체가 임베디드 베이스 인지라 배포판 리눅스의 커널 옵션과 업체에서 셋팅하여 사용하는 커널컴파일 옵션 부분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더군요. ex) 같은 커널 버전이라도 컴파일 옵션이 다름, 배포판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업체에서 사용하는 busybox간의 차이 등등

상기 이유로 가벼운 리눅스를 구하고 있는데요. x window도 필요 없고 쉘 정도만 되는 리눅스 같은건 없나요? 또는 위에 나열한 문제들을 테스트 해볼만한 배포판 같은건 따로 없는 지요? 개념이 약하다 보니 제대로 적었는지도 모르겠네요.

고수분들의 도움을 기다립니다.

bird0303의 이미지

GNOME.Asia Summit 이 서울에서 열립니다!

안녕하세요 그놈 한국 커뮤니티에서 알려드립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서울에서 GNOME.Asia Summit 이 진행됩니다.
이번 행사는 GNOME 기술에 대해 국내외 유명 개발자들의 세미나 및 튜토리얼이 진행됩니다.
많은 관심 및 참여 부탁 드립니다.

* 행사 내용
- 일 시 : 2013년 5월 24일(금) ~ 25일(토)

- 시 간 : 09:00 ~ 18:00 (점심식사 미제공)

- 장 소 :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비지니스 타워 3, 4F (http://2013.gnome.asia./location/)

- 주 최 : GNOME.Asia

- 웹사이트 : 2013.gnome.asia

- 세션 스케쥴: 2013.gnome.asia./schedule

- 참가비: 무료

rootroot의 이미지

ssl과 ssh를 이용할때 차이점이 뭔가요?

제가 gitolite를 이용해 열심히 git 서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gitolite가 기본 설정이 ssh 공개키로 권한부여?를 하여

사용자 컴퓨터에서 공개키 만들고 서버로 보내고 약간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대안이 없나 해서 뒤져보니 ssl로 권한 부여 하는 방법이 있더군요.

제가 ssh과 ssl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해서 그런데

제 생각에 ssh를 그냥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공개키를 만들고 보내는 과정을 거치게 되서

여러 컴퓨터(어떤 사용자 한명이 PC방이나 학교 컴퓨터에서 git 저장소를 사용)를 사용하는데 부담이 되지만

(사용자 불편 반 / 서버 관리자 불편 반)

ssl로 권한 부여하게 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공개키를 본인이 직접 만들 필요가 없어

걍 아무데서나 이용할수 있어 좋지만

서버 관리자가 ssl 인증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단점이 있는 걸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불편 없음 / 서버 관리자 불편 전부)

qk9090의 이미지

윈도우xp 에서 리눅스 하드 읽고 쓰기 방법 문의 드립니다

윈도우 시스탬에서 리눅스 설치된 하드에 있는 내용을 편집하려고 하는데요

인터넷 검색해보니 Ext2 Volume manager 란 프로그램이 있어서 설치 해봤는데

리눅스 설치된 하드 파일 시스탬이 RAW 나와서 안되는데요

RAW 이건 어떻게 윈도우에서 열어 볼 수가 있나요 ?

감사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