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chobobsang@naver.com의 이미지

centos 설치 후 부팅 안되는 문제입니다.

제목 그래도 입니다.

centos 설치하기 위해 외장형 cd-rom에 centos 구워서 사용중이며, raid 컨트롤러 설치를 위해 외장하드에 raid 컨트롤러 드라이버를 넣고

(raid 컨트롤러 안잡고 그냥 시디롬에서 설치할려고 하면 저장 가능 장치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네요)

raid 컨트롤러 설치 후 centos 설치하고 완료 후 재부팅하면 부팅가능 미디어를 찾지 못했다고 나옵니다 ㅠㅠ

외장하드 물리면 부팅이 가능하구요

설치가 외장하드쪽에 된거 같은데 그래서 파티션을 sda쪽에 잡고 설치해봐도 마찬가지로 외장하드 없인 부팅이 불가능 합니다.(외장하드 포맷해서 내용물도 없습니다.) 혹시 이 문제에 원인은 뭔가요?ㅠㅠ

이제 막 서버 공부하고 있어서 모르는게 많습니다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bluehat의 이미지

우분투 12.04LTS설치후 디바이스 인식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우분투 12.04 lts버전을 설치했습니다. 보드는 아수스 p5q-em 입니다.

설치할때는 인터넷연결해서 업데이트설치도 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설치후 재부팅하면 랜카드와 유에스비 포트가 죽어버립니다.

커널이 로드됨과 동시에 키보드 램프가 꺼지는것 같습니다.

ps2키보드는 작동하길래 일단 물려서 터이널 접근은 가능합니다.

해결방법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bestity의 이미지

[질문]

안녕하십니까.

SunOD 5.9 와 리눅스 를 사용하고 있는데.

리눅스 계정에서 SunOS 로 rsh 나 rcp 를 할때 password 문제로 바로
접속이 되지 않아. 리눅스와 동일한 계정을 솔라리스 쪽에 생성하였으나,
다른 계정 폴더에 접근하여 화일 생성이 안됩니다.

혹시 리눅스 에서 유닉스 또는 유닉스 에서 유닉스 계정 간 공용으로 사용할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상 입니다.

kkokkokim14의 이미지

MAC에서 perl 이용시 prerequisite YAML 0 not found.

맥에서 perl이용해서
http://shikii.net/blog/offline-maps-in-ios-using-openstreetmap-and-route-me/
을 보고 따라하는데요
맵다운로드 부분에서 prerequisite YAML 0 not found.
이런오류가 나타납니다 밑에 댓글에 보면
mac ports사이트에서 설치하면된다는데 설치해도 안되구요 머가 잘못되었는지 모르겟습니다
알려주세요 ㅜㅜ

wkdjjywkd의 이미지

우분투 apt-get 에러 문제입니다 ㅠㅠ

Hit http://us.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ultiverse Packages
Err http://ppa.launchpad.net lucid/main Packages
404 Not Found
Hit http://us.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ultiverse Sources

manemis의 이미지

크런치뱅 리눅스에 대해서 질문 몇가지..

크런치뱅을 써보려고 하는데요, 크런치뱅 리눅스가 두종류 있더라구요.modern피씨랑 older피씨라는데 끄응 이게 뭐람..내 컴은..모던...한가?? 어떤 버전을 사용해야하나요?

제가 사용하려는 기기는 ASUS 1215T 입니다.

모던 버전을 받아서 깔아보려했더니 이번엔

있지도 않은 시디롬을 찾느라 바쁜 설치프로그램...엥..

거기서 다음단계로 넘어가지질 않네여...인터넷에 나온 설치과정이랑 저랑 다른듯..??뭐람...

크런치뱅 사용하시는 분들계신가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Tae_Wook의 이미지

개인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대신 돈주는 뭐 그런거 없나요?

예전에 프랑스 어떤 회사에서 무슨 기기를 개인 집에 설치하고 그 기기가 가정집의 인터넷회선을 이용하는 대가로
돈을 주는 어떤 자료를 봤는대요. 지금은 그 자료가 나오지 않네요.(검색키워드가 기억나지 않아요.)

뭐 아시는거 없나요? [물론 회사는 통신내용을 분산처리함으로써 이익을 얻겠죠.]

pci486의 이미지

클라우드 서버에서 yum update 시 서버가 구동이 안되는 증상 겪어보신분

혹시 계신가요?

아니 질문을 바꿔서..
클라우드 서버에서 yum update 때렷다고 서버가 구동이 안되는 이 경우..
전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센토 6.0 xen 입니다.
혹지 원인을 아시는분이 계시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디비는 다행이 다른곳에 구축해두어서 멀쩡하다만..
지금 소스 다 날리게 생겼습니다. ㅜㅜ

Tae_Wook의 이미지

개인용컴퓨터를 최고사양으로 하면 최대 순간전력이 8kw가 넘나요?

그래픽카드 여러개 꽂는것 같이 개인용컴퓨터를 최고사양으로 하면 최대 순간전력이 8kw가 넘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