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Twibap의 이미지

rxvt 배경 설정문제

MinGW에서 rxvt를 설치하고있습니다.

설치 완료 후에 MinGW의 속성에서 "~.bat --rxvt"를 추가하니 배경이 노란색(또는 살구색)으로 바뀌었습니다.

.Xdefaults 파일을 생성해서 background 옵션을 Black으로 해도 검정색으로 바뀌지 않네요

배경이 노란색인 창에서 rxvt를 실행했을 경우에만 검정색 배경을 가진 rxvt 창이뜹니다.

새 rxvt 창이 아닌 rxvt 옵션이 붙은(?) MinGW 창에서 검은색 배경을 설정할 수는 없나요?

ps. rxvt가 뭔지도 모르면서 주말 내내 끙끙대는건 저만아는 비밀
Mingw와 rxvt의 차이는 뭔가요?? Mingw 설정 가이드 따라가는중인데 뭔지도 모르고 설치하자니 갑갑하네요
비전공자다보니 rxvt위키를 봐도 잘 모르겠습니다

cococo의 이미지

sendmail 의 발신자 서버를 localhost 로 설정하지 않는 방법 질문.

제목 그대로입니다.

사실은 서버를 호스팅해서 사용중인데, 일부 계정이 메일 전송이 안되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호스팅 업체에 이야기 해 봤더니 업체 쪽에서 원인 찾아보고

"다음daum 쪽에 메일 전송이 안 되었었는데, 원인이 메일 서버 설정이었어요.
보내는 쪽의 메일 서버를 localhost에서 domain name을 명시적으로 설정해 줬습니다."

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근데, 위의 "보내는 쪽의 메일 서버를 localhost에서 domain name을 명시적으로 설정" 은 어찌 하는 건가요? 그냥 제가 궁금해서요.

인터넷 뒤져보니까 대충 sendmail.cf 를 고치면 된다고 하는데, 어느 줄이 맞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yellowstone의 이미지

리눅스 링크 생성 관련 질문입니다.

리눅스 입문자 입니다. ^^;; 리눅스 공부하다가 이해가 가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다음 명령어 보시면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가 링크할 대상의 경로가 다르더라구요.

하드링크 생성
[me@linuxbox playground]$ ln fun fun-hard
[me@linuxbox playground]$ ln fun dir1/fun-hard
[me@linuxbox playground]$ ln fun dir1/fun-hard

심볼링 링크 생성
[me@linuxbox playground]$ ln fun fun-sym
[me@linuxbox playground]$ ln ../fun dir1/fun-sym
[me@linuxbox playground]$ ln ../fun dir2/fun-sym

왜 하드링크는 fun으로 하고, 심볼릭 링크는 ../fun으로 지정하나요?

soc의 이미지

이것은 무슨 상황? 나의 천운이라고 판단됨.

난 시게이트 하드 하나 더 오면 감사합니다. 하고 그냥 받아먹을 생각인데. 뭐라 해야 하나 이런 상황이 되리라곤 예상하지 못했음. 시스템이 원체 커다랗고 복잡하다 보니, 말단의 직원 하나가 무엇 하나 잘못했더라도 그것까지 완전히 못 동기화되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수가 있다. 이런 상황으로 파악됨. 난 그냥 입닦고 넘어갈낀데. 설사 내가 입닦고 넘어간다 해도 완전히 동기화되지 않은 시스템이다 보니 그 직원도 아무 일 없이 넘어갈 공산이 크다고 봄.

삼성이 하드사업부를 매각하지 않았더라면 나의 천운도 없었겠지만... 후후후

어쨌거나 행운여부는 일주일 안으로 판가름나던지 이 글 보는 사람들에 의해 판가름나던지 할 것.

이 상황이 어떤 상황인가?

어허야의 이미지

여성가족부가 제안한 빅데이터 사업!

IT에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어느정도 뻥카가 섞이기 마련이고, 시맨틱 웹, CRM(고객 관계 관리)등이 세상을 뒤바꿀것처럼 나왔지만, 용두사미로 끝나가고 있는 즈음에 '빅 데이터'라는 거대한 화두가 나와서 너도 나도 뭔가 해야 하는것같이 느껴지는 와중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8152202275&code=920100 참고)

세벌의 이미지

usb 장치 구분?

http://www.ubuntu-kr.org/viewtopic.php?f=25&t=24900 읽어보다가 저도 궁금해져서 kldp에 남김. kldp에 고수분들이 많으실테니...

김정균의 이미지

스팸신이 오셨다 가셨군요.

쉬는날을 틈타서 스팸신이 카자흐스탄에서 오셨더군요.

이번 스팸신은 무려 1000개나 올리고 가셨습니다. 그나마... drupal 대량 삭제 스크립트를 만들어 놓았으니 다행이지.. 하나씩 일일이 지우려고 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군요. --;

세벌의 이미지

역사박물관에...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다음과 같은 초창기 컴퓨터 프로그램(원본 디스켓)을 찾습니다.

1. 아래한글 1.0
2. Word Star
3. MS-Dos
4. 훈민정음

기증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3년 9월 13일 전시개편시 기증전시실 제2실에 전시시 필요한 자료입니다.
가지고 계신분은 꼭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 김지연(02-724-0161)

kjh27814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소스를 패키징 후 패키지 설치를 했는데 changelog만 남습니다.

안녕하세요.

패키징을 끝내 성공했는데 결과가 이상해서 질문 올립니다.

현재 qt로 작성한 소스를 패키징해서 그걸 설치했는데 changelog.gz라는 파일만 남아

어리둥절해서요.. 제가 rules파일을 잘못 설정했는지 (솔직히 작성하는 방법도 모르겠습니다 ㅜㅜ 다른 사이트에 있는거 제 컴퓨터에 맞게 조금씩 바꿔서 써놨거든요..)

y3n313의 이미지

LaTex 논문 작성에 유용한 Linux와 Mac OS 어플리케이션 추천 부탁드립니다.

LaTex 사용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초보이며, 이제까지는 Windows에 MikTex와 WinEdt을 통해 작업해왔습니다.
주 사용 목적은 논문 작성입니다.

이전 이곳 포럼에서 Linux와 Mac에서 LaTex 작업이 용이하다는 글을 본 것 같아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논문 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컴파일러, 에디터 및 뷰어를 함께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