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hint의 이미지

셰이더로 선명한 고화질 영상 만드는 방법





 

얼마전. 데브피아에 이런 내용이 있었습니다.

이와 비슷한 구현을 셰이더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shint의 이미지

VPU (렌더링 성능 향상)





 

4K UHD는 IE ActiveX의 Flash에서 FullScreen으로 봐야 합니다.

kwon24의 이미지

혹시 power analysis 기능이 있는 프로세서 에뮬레이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x86 기반 OS를 책보고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책에서는 QEMU라는 프로세서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서 OS를 작동시킵니다.

공부하는 중에 에뮬레이트 하는 프로세서의 전력 소모를 측정해 봐야 할 것 같아서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혹시 QEMU에 power analysis 기능이 있나요?

아니면 power analysis를 지원하는 x86 프로세서 에뮬레이터가 있나요?

arizona0의 이미지

CentOS7에 MySQL 설치 후 실행할 때 발생하는 오류 잡는 방법

CentOS 7에서 MySQL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다음과 같이 yum을 사용하여 mysql을 설치했습니다.

[root@node01 ~]# yum install mysql mysql-server mysql-libs mysql-devel

설치 후 mysql의 version을 확인해봤더니 다음과 같습니다.

[root@node01 ~]# mysql --version
mysql Ver 15.1 Distrib 5.5.41-MariaDB, for Linux (x86_64) using readline 5.1

그리고 mysql을 시작시켜보았습니다.

[root@node01 ~]# service mysqld start
Redirecting to /bin/systemctl start mysqld.service
Failed to issue method call: Unit mysqld.service failed to load: No such file or directory.

shint의 이미지

bcdedit /set IncreaseUserVA 2560 (2GB RAM 을 가진. 윈도우에서의 메모리 확장 지원)


4GB 지원도 있지만.
2GB 지원도 되는거 같습니다. ㅇ_ㅇ;;

마영전 게임에 이런 파일이 있네요.

EnableLAA.bat

@echo off
set local
bcdedit /set IncreaseUserVA 2560
if %ERRORLEVEL% == 0
{
echo ERROR
set result = 0
}
else
{
echo SUCCESS
set result = 1
}
exit

+ /PAE /EXECUTE 옵션

shint의 이미지

Large Address Aware - 32비트에서 4기가 피지컬 메모리를 쓸 수 있게 해 주는 방법


이런게 있다고 합니다. ㅇ_ㅇ;;
실제로 해보니까. 잘 안되는거 같습니다.

//-----------------------------------------------------------------------------------------
//유틸리티
Large Address Aware - 32비트에서 4기가 피지컬 메모리를 쓸 수 있게 해 주는 방법
http://www.techpowerup.com/forums/threads/large-address-aware.112556/

ginawoo의 이미지

IBM VS 금융계 IT

이번에 IBM 기술지원과 S사 금융계 IT부서에 운이 좋게
합격한 여학생입니다.

금융계 IT는 주가 아니지만, 안정적+높은 연봉이라는(?) 느낌이고
IBM은 IT사관학교라고 불릴 정도로 유명했지만...요즘은 상황이 안좋아 고민입니다. 더불어 기술지원이면 서비스쪽이라 을의 위치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까 으레 겁먹은 것도 사실입니다ㅠ

관점의 차이이기는 합니다만, 객관적인 시각을 여쭙고 싶습니다.

studyforever의 이미지

리눅스를 SD카드에 담아 보드에서 실행했는데 SD카드의 공간을 모두 인식하지 못 합니다.

지금 xilinx에서 배포한 xillinux 운영체제를 Digilent사의 ZYBO보드에서 실행해서 임베디드 환경에서 영상처리를 하려고 하는데요.

SD카드는 4기가를 사용하는데 리눅스를 실행하면 2.2기가 정도 밖에 인식하지 못 합니다. 16기가 SD카드로 다시 해봐도 여전히 같은 크기로 인식하네요.

제공된 파일은 bit, dtb, bin, U image 인데 bin은 부트로더,U boot를 위한 파일이고, bit파일은 Zynq칩의 FPGA영역을 위한 파일입니다.

그렇게 되면 U Image, dtb 두 파일중 하나를 수정해서 메모리 영역을 키워야하는데 둘 중에 어떤 파일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정보도 잘 안 나오네요. 혹시 정보를 구할만한 곳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neoamuro의 이미지

mv 할때 프로그레스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카피하는건 scp로 프로그레스를 볼 수 있는데...
mv는 아무리 구글 뒤져도 딱히 좋은 방법이 안나오네요.

혹시 알고 계신분 있으시면 한수 가르쳐 주십시요~

리눅스 초보라 궁금한게 너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purewhites의 이미지

mysql 5.6.24 버전 외부접속 설정 문의

안녕하세요 ubutu에 mysql을 설치했는데 버전 5.6.24 인데
sudo vi /etc/mysql/my.cnf 걸로 기존에는 외부접속 수정했는데
지금은 변경됬는지 수정사항이 없더라고요.
혹시 하시는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ㅜ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