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astzlra955의 이미지

회사에서 사용할 S/W 의 license 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사용하려고 무료 software들을 검색하다 보니, open source 프로그램들이 많던데요.

opne source 라이센스 내용을 봐도 ( 제가 잘 못봐서 그런 것인지 )일반적으로
source 배포 및 배상 책임에 대한 내용이고, 회사에서 사용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없더군요.
( 제가 작업할때 사용할 용도이고, 제품에 포함되거나 한 것은 아닙니다. )
- 소스를 사용한다는 것이 아니라, open source Program 배포하는 것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즉, 회사의 PC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GPL나 apach, BSD 등의 license 입니다.

이런 open source 프로그램들을 회사에서 작업할때 사용해도 될까요?

jw8704의 이미지

전자회로 시뮬레이터좀 주천해주십시오 pspice 외의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무선 마이크 회로를 만들어보려고합니다.

근데 이걸 빵판에다가 해보면서 하려면 시간이 너무걸려서

시뮬레이터랑 실제 마이크랑 연결하고 중간에 이상적인 무선공간 가정하고 안테나 수신회로 구성해서 수신측에서 신호 측정해보고

하고싶은데 또 송신측에서 모듈레이션된 신호 측정해보고 싶고한데 이렇게 지원해주는 시뮬레이터가 있을까요?

misohouse의 이미지

인터럽트를 하드웨어/소프트웨어로 나누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와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나누는 이유가 단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원천이 달라서 인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나요?

그리고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보다 먼저 처리해주는 이유가 뭔가요?

인터럽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듯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Necromancer의 이미지

직접 컴파일한 커널로 EFI 부팅 해보신분?

젠투 쓰고 있습니다.
커널은 gentoo-sources가 아닌 kernel.org의 바닐라커널 빌드해서 쓰는데, 인터넷에 나온 문서대로 해보니 안되네요.

make bzImage
make modules
make modules_install

로 커널과 모듈 빌드한 다음 bzImage로 나온 커널파일을 ESP파티션에 vmlinuz.efi로 바꿔서 집어넣고 아래와 같이 efibootmgr로 등록하면 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커널빌드시 옵션에 EFISTUB 등 몇가지가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전부 활성화했습니다)

efibootmgr --create --disk (디스크장치명) --part (ESP파티션번호) --label (부팅메뉴이름) --loader (ESP내의커널경로)

이것대로 해보았는데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refind를 설치해서 하면 무난하게 됩니다만,

직접 컴파일한 커널로 EFI 부팅 성공해보신분 있으면 어떤 단계로 해야 하는지 방법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Linux System 시간은 네트워크로 시간동기화를 하지 않을 시 점점 차이가 나는것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Linux Os에서 System 시간 즉 쉘 명령어에서

# date

명령어로 보는 시간이 보드가 켜져있음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VirtualBox의 Ubuntu나, 노트북에 깔린 Ubuntu에서도 오래 켜져있으면 1초.,,,2초,,,3초,, 이렇게 비례적으로 처음에 셋팅해논 시간과 점점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위해서 ntp나 rdate로 네트워크 시간이랑 동기화 시켜주는 방법이 있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Runtime중에 System 시간이 느려지는 것이 모든 운영체제에서 CPU의 Clock를 가지고 각 각의 clock마다 계산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통적인 현상인 것인가요?

Runtime 중에 네트워크 동기화를 하지 않으면 System시간이 점 점 차이가 나는것이 올바른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bsjun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ㅎㅎ 처음 가입한 학생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공은 화학인 대학생인데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많았어서
시뮬레이션 화학을 하면서 화학계산에 필요한 개발을 하고있습니다
주로 파이썬, flask 로 웹개발 중입니다.

zsw2의 이미지

이걸 물어봐도 될지 모르겠는데요. 물리적인 맥주소를 변경시킬 수도 있나요?

컴퓨터에서 은행거래 할때, 지정한 피시에서 거래할 수 있게 지정피씨 제도에 가입했는데요.

알기로는 제 랜카드의 맥주소를 등록해놓고 그 컴에서만 은행거래 가능하게 하는 그런 장치로 알고 있습니다.

한달 후, 다시 은행거래하려 들어가니 지정피씨가 아니라고 나오네요.

은행에 문의해보니, 맥주소를 등록하는게 맞으며 자신들은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다는겁니다. 공유기의 맥주소를 등록한건지, 아님 컴의 랜카드의 맥주소를 등록한건지도요.

공유기 사용하냐고 해서 한다고 하니, 공유기 문제일 수도 있겠다며 확답은 못하고요.

달라진거라곤 해당 컴퓨터 포맷하고 재설치한 것 외에는 달라진게 없습니다.

요즘 해당 공유기에 물린 컴퓨터가 다들 좀 이상해서 포맷한건데요. 지나치게 느려지고 가끔 바이러스 검출되고요.

공유기 해킹으로 맥주소 변경이 가능한가요? http://noon.tistory.com/525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