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xoduddk123의 이미지

initramfs에 들어가는 kernel module들은 커널 설정에 따라서 바뀌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리눅스의 부팅과정에 관심을 가지던중 initramfs에 대해서 알게되었습니다.

이 initramfs라는놈이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기위해서 존재하는 놈이라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 initramfs를 까보니 파일시스템처럼 /lib/modules 디렉터리에 커널모듈이 들어가있는것을 보았습니다.

이 initramfs를 만들때에 커널의 설정파일인 .config 파일을 가지고 mkimage로 만들던데요

그렇다면 이 커널설정파일인 .config이 달라짐에 따라서 initramfs에 들어가게되는 커널 모듈들도 달라지는건가요?

initramfs를 만들때 .config을 가지고 만들어지던데요

그러면 커널 설정이 달라짐에따라서 initramfs도 매번 업데이트를 해줘야되는것인가요? .config를 가지고만들기때문에 커널모듈도 영향이 있기 때문에?

아니면 .config와 상관없이 initramfs는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기만 하기때문에 .config가 달라져도 재컴파일을 안해도 되는것인가요 ??

khi8660의 이미지

책 구합니다...

Exceptional C++
c++ template meta programming
만들면서 배우는 OS 커널의 구조와 원리
만들면서 배우는 인터프리터
만들면서 배우는 리스프 프로그래밍

적당한 중고가격에 파실분 있으시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공일공 6206 팔일구공

shint의 이미지

일 잘 하는 애들만 아는 일하는 방법

일 잘하는 애들만 아는 일하는 방법

일에 기본
- 할머니도 할 수 있다.

shint의 이미지

집에서 햇볕보며 하루 1시간만 프로그램해도 됩니다.

//------------------------------------------------------------------
집에서 햇볕보며 하루 1시간만 프로그램해도 됩니다.
책 한권 사서. 보면서. 예제 찾아서 따라하면 됩니다.
왜 이렇게 아둥바둥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ㅇ_ㅇ??

//------------------------------------------------------------------
아무나 도스. 윈도우. 컴퓨터. 휴대폰. TV를 만들어도 됩니다.

//------------------------------------------------------------------
관리. 보안. 대학. 법. 방송이랑 놀면. 얘네들 욕심 채워주다 바보 됩니다.
맨날 24시간. 야근. 공부. 일. 게임. 계약. 조건. 합의. 자격. 규격. 제한. 과로. 과식. 복종 해야 합니다.

프로그램 안하는 애들은. 법과 자격 제한 권리나 만들고. 따지고 관리하고. 가지고 노는데만 노력합니다.

klara의 이미지

싱글 보드 컴퓨터(라즈베리파이, 큐비보드, Udoo 등)로 웹서버 운영해보신 분 계신가요?

작은 컴퓨터라고 하면 라즈베리파이밖에 몰랐는데, 찾아보니 '싱글 보드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제품이 있더군요.
가성비로 따지면 역시 라즈베리파이가 최강이지만, 라즈베리파이 CPU/RAM이 썩 넉넉친 않아서 웹서버로는 별로 쓸만해 보이지가 않더라구요.
솔직히 라즈베리파이는 입출력 포트도 USB2.0밖에 없고 이더넷도 100Mbps라 기가비트 네트워크용 NAS로도 별로 적합하지 않고 GPU가 쓸만해서 일반인이 쓰기에는 소형 미디어 센터정도로 쓸만한거 같아요.

dltkddyd의 이미지

원격지에서 페도라 한영전환 설정을 변경한 뒤부터 한영전환이 안됩니다.


gedit에서 한글을 쓰면 종종 자동으로 창이 닫히는 경우가 있어서 좋은 에디터 물색하던 도중에 bluefish라는 에디터도 있다고 하기에 그 에디터를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역시 그런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지역 및 언어설정'에서 '한국어'를 추가한 다음부터 한영전환이 안될 뿐만 아니라 영어 자체가 화면에 먹히지 않습니다. 오직 한글만 먹힙니다. 원격에서 설치하고 설정 변경했습니다. 오늘 반나절 동안 그런 문제가 발생해서 다시 사무실 컴퓨터로 돌아와 한영변경해봤더니 한영변경 잘 됩니다. 뿐만 아니라 한글, 영어 모두 화면에 제대로 표시됩니다. 그래도 한글 칠 때 gedit나 bluefish가 자동으로 닫히는 문제는 여전합니다. 그래서 아무 이상이 없다고 생각하고 원격지로 돌아와 서버에 다시 접속해 한영 변환해봤는데 한영변환이 안되고 한글키도 여전히 먹히지 않는 문제가 여전합니다. 원격지에서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데요, 이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원격지에서 한영전환할 수 있는 상태로 다시 되돌릴 수 있을까요?

세벌의 이미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얘기가 왜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fedora 한글 얘기하다가 말입니다.

* https://kldp.org/node/143992 글타래서 글 쓰다가 제가 실수한 듯. 새글타래가 만들어졌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Fedora 사용하시는 리눅서님들 Fedora 에서 한글은 어떠하나요?

Fedora 에서는 다국어 입력기로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우분투 13.10부터 다국어 입력기를 바꾸는 단축키 정책상 키를 조합해야 합니다.

따라서 한/영 단축키와 같은 단일 키를 등록 시킬려면 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점은 참 못 마땅합니다.

사용자 취향을 왜 지들 멋대로 정하는지 모르겠네요.

Fedora 에서 한글은 어떠 한지 궁굼합니다.

twince의 이미지

요즘 우분투가 굉장히 핫하네요

왜인지 다들 우분투를 찾고 있는게... Redhat 계열을 좀 더 선호하는 저로써는 Debian 계열의 성장이 아주 달갑지만은 않긴한데... 대세가 그렇다면 따르는 수밖에...(?) ㅋㅋㅋ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