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k7755의 이미지

컴공 2학년 입니다.... 진로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ㅜ

저는 컴공 3학기이고 지금 어셈블리랑 자료구조를 배우고 있는데요.

1. 최근 보안 쪽이 좋아지고 있다는 얘기를 들어서 정보보안기사 자격증 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나중에 진로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간다고 해도 보안관련 지식은 유용할까요?

2. 대학교 재학중에 소프트웨어 실무를 쌓을 방법은 없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hdcjg1991의 이미지

진로 상담하고 싶습니다.

먼저 저는 전역을 앞둔 ROTC 중위입니다.
전역을 앞두면서 제가 어느 분야로 나가야할지 고민이 많이 되네요. 대학생 시절엔 전공에 아주 크게 관심이 있진 않았고 그냥 어떻게든 임관만은 하자라는 생각으로 전공을 버텨나갔어요. 그러다 통신병과로 임무를 수행하다보니 대학시절 배웠던 이론들이 실제 상황에 맞춰 이해되는 상황이 종종 생겼고, 그로 인해 다시금 전공에 흥미가 생겼어요. 흥미가 생기니 진로를 위해 조사하면서 전공관련 글 보면 저도 모르게 가슴 한구석이 두근두근하네요. 이러다보니 장교출신의 강점인 인사행정분야로 가면 취업이 잘 될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전공의 길로 나아가고 싶네요.
일단 저는 전자공학과를 졸업했어요. 다른 공학과도 마찬가지로 전자공학과도 정말 많은 분야로 갈라지죠. 그래서 정확한 진로를 정하기가 어렵네요. 그래서 정말 흥미있고 열정이 불타올랐던 강의들을 중심으로 조사를 계속 하고 있지만 혼자서 인터넷검색하는걸로는 무리가 있네요.

Gkfroa의 이미지

길이 보이질 않습니다.. 길을 찾을수 있게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지방국립대 라곤하지만 소위말하는 지잡대나 별반 다름 없는 곳에서 컴공전공으로 입학했습니다
2학년 1학기, 3학기를 마치고 개인사정으로인해 휴학을 냈습니다 휴학전까지 c cpp 자료구조 이정도만
그냥저냥 배웠는데 힘들지만 재밌게 배웠습니다 하지만 다른사람들에 비해 특출난것도 없고 그다지
잘 하지도못합니다 난 열심히 했다하지만 성적도 따라주진 않았습니다 그당시에 개인사정도있고 이렇다보니
휴학을 내고 일년반을 놀았습니다 이 길이 내 길이 맞나 고민도하고 있고 아직도 하고있습니다 그런 생각을
하는 도중에 앞에 길이 전부 없어져버린거같습니다 그러던 사이에 제겐 길이 없어도 이루고싶은 도착점이 생겼습니다
해외에 개발자로 취업을 하고싶습니다 그리고 마침 국방의 의무를 짊어져야 할 나이에 운이좋게도 2년이라는 시간이
제게 주어졌습니다 그래서 죽을노력을 하고싶습니다 가진게 없으니 죽도록 노력하고싶습니다.
그런데 당췌 무엇을 어디부터 무엇부터 시작해야할지 감이 전혀 잡히질 않습니다

nedved5의 이미지

Apache 도메인으로만 접속 되게끔 할려고 합니다 (IP 접속은 차단)

안녕하세요.

제가 사용하는 환경은 Apache-Weblogic으로 구성되었고, vhosts로 도메인을 약 200개 정도 사용중입니다.

IP를 통한 접속은 차단, 도메인을 통한 접속은 허용할려고 하는데, Apache에서 관련된 기능이 있을까요?

예를 들면 IP는 1.1.1.1, 도메인은 a.test.com 등을 사용한다고 가정 했을 때,

1.1.1.1/aa/bb.jsp로 접근하는 유저는 차단하고 (에러페이지를 띄운다던지), a.test.com/aa/bb.jsp로 접근하는 유저는 허용하려는 의도입니다.

지식 공유 부탁 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HDNua의 이미지

[VMware] "Installing VMware tools. Please wait..." stuck

안녕하세요.
VMware player 12를 받고 학교에서 지정한 Ubuntu Linux 버전(Ubuntu 12.04.4 LTS, 64bit)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VMware Tool을 설치한 다음부터 첨부한 화면처럼, 도구 설치중에 멈춰버립니다.
(가운데 점들은 계속 깜빡이면서 컴퓨터가 뻗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기는 합니다.)

Google에 검색해보았는데 바로 뜨는 것을 보니, 비단 저만 겪는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은 Alt + LeftArrow를 이용해 뒤로 간 다음, 쉘에서 직접 다음 명령을 치는 식으로 xwindow를 실행합니다.

$ exec startx

하지만 아무래도 번거롭고 불편합니다. 그냥 Multibooting할 때처럼 알아서 착착 되면 좋을 텐데.
이런 이슈를 마주하고, 해결하신 분들이 계신가요? 조언 부탁합니다.

cat90129의 이미지

윈도우 사용자입니다. 리눅스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노트북으로 윈도우를 사용하는데

일하는 곳에선 리눅스안에있는 이클립스를 이용해 코딩을 하고

여러개의 터미널로 확인을 합니다. (소켓프로그래밍)

근데 제 노트북으로 일하지 않을 때 연습을 하고 싶은데

VMware를 이용해 우분투를 깔고 사용해보니 너무 느려서 불가능 할거 같습니다.

그래서 윈도우에서 쓸수있는 리눅스 코딩을 웹에서 할수있는 사이트를 찾아보니 마땅한게 없더라구요(제가 못찾아서 그런지)

혹시 방법이없을까요

vim notepad++? 등등 프로그램이있는데 막상 코딩한 것을 확인할 터미널이 없어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방법이 있다면 조금만 자세히 알려주세요!!

qeads2의 이미지

네트워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NSF,SSO)

네트워크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SSO, NSF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는데..

active sup, standby sup으로 사용면서 active가 다운되면 standby sup

Switchover시에 control plane과 data palne이 분리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검색해봤는데, SSO가 layer2 까지밖에 유지하지 못한다는게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ㅠㅠ.

시스코 문서도 읽어봤는데.. 그러면

NSF라는게 SSO와 같은 이중화 "기술의 일종" 인가요?

정리하면

1. control plane과 data plane이 분리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 NSF가 가지고 오는 라우팅 정보는 어디로부터 오는 것인가요..?

39first의 이미지

외부에서 요청한 HTTP URL에 따라서 각각 다른 웹서버가 응답하도록 하려고 합니다.

제목 그대로 외부에서 요청한 HTTP URL에 따라서 각각 다른 웹서버가 응답하도록 하려고 합니다.

네트워크는

[내부]
[web1.example.com]---___[게이트웨이 라우터]-----(외부)
[web2.example.com]---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웹서버들은 각각 내부 주소가 다르고, 외부로 서비스할 수 있게 라우터에 마스커레이딩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게이트웨이 라우터에는 Squid로 web1의 프록시 서비스를 해주고 있는데,
내부에서 웹서버에 접근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문제는 외부에서도 url에 따라서 각각 다른 웹페이지를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험 있으신분들 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

uiucpass의 이미지

지금 제가 다니는 과가 너무 잘맞는데 전과고민 중입니다.

제가 지방국립대(부산) 컴퓨터공학과에 다니고있는데 군대있던 도중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가 합쳐졌습니다. 그래서 복학하고

알게되었는데

전공기초과목과 전공필수 몇과목이 같더군요. 그래서 저는 전공기초 거의 모두 들어놓은상태고 그래서 전과신청서만 내면 전과가 가

능해졌습니다. 솔직히 전화기 전화기 하고, 취업이 잘된다 그런말을 들어서 제일 흔들리는 것이지 (하드웨어를 배우고 소프트웨어까

지 잘 다루고싶은 욕심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지금 컴퓨터공학과 공부가 너무 재밌고, 이산수학도 너무 재미있습니다. 그래도 현실을 바라봤을 때 나중에 컴공나오면

소위 부품처럼 쓰다버려진다. 박봉에 야근

이다 이런말이 너무많아서 고민입니다. 저는 단순 취업이 목표가 아니라, 나중에 유학도가서 외국으로 가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살고, 스타트업도 하고싶습니다. 대학원도 생각중에 있습니다.

semjase의 이미지

USB3.0 스틱에 복사시 엄청 느린데..

Mint Linux 17.3 사용중입니다.

50개의 파일을 (용량은 2.5G) USB3.0 스틱에 복사하는데 처음엔 70M/s(바이트)속도로 복사하더니 속도가 점점 떨어지면서 10M/s까지
떨어지네요. 복사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USB2.0 스틱에 같은 파일 복사해보니 비슷하게 70M/s정도에서 시작하다가 5M/s까지 떨어집니다. -_-;

lsusb -t 로 확인해보면 usb3.0을 제대로 인식하는거 같은데.. 원래 복사가 이렇게 느린게 정상인가요?
USB2.0보다야 빠르긴하지만 뭐 거기서 거깁니다.

USB사양표를 보니까 3.0이면 최대 625MByte/초, 평균 90MByte/초가 나와야 정상인데요.

뭐가 문제일까요?
혹시몰라 커널을 기본에서 4.4로 가장 최신으로 올려봤는데 똑같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