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emjase의 이미지

USB3.0 스틱에 복사시 엄청 느린데..

Mint Linux 17.3 사용중입니다.

50개의 파일을 (용량은 2.5G) USB3.0 스틱에 복사하는데 처음엔 70M/s(바이트)속도로 복사하더니 속도가 점점 떨어지면서 10M/s까지
떨어지네요. 복사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USB2.0 스틱에 같은 파일 복사해보니 비슷하게 70M/s정도에서 시작하다가 5M/s까지 떨어집니다. -_-;

lsusb -t 로 확인해보면 usb3.0을 제대로 인식하는거 같은데.. 원래 복사가 이렇게 느린게 정상인가요?
USB2.0보다야 빠르긴하지만 뭐 거기서 거깁니다.

USB사양표를 보니까 3.0이면 최대 625MByte/초, 평균 90MByte/초가 나와야 정상인데요.

뭐가 문제일까요?
혹시몰라 커널을 기본에서 4.4로 가장 최신으로 올려봤는데 똑같습니다.

cspark80의 이미지

레드헷 리눅스 루트폴더에서 소유권 전체 변경후 부팅 불가 현상 질문

레드헷 리눅스를 사용중입니다.

root 폴더에서 chown -R roor:root .* 명령을 잘못 내려

소유권이 모두 root로 변경이 되면서 부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HAL DAEMON 같은 자체 소유권을 가진 파일도 바뀌어 버려서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원복 하거나 해결 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single 모드로 부팅은 되는상태이고 다른 서버와 소육권을 비교해 가면서 바꿔 보고는 있으나

해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리눅스 GUI 화면까지는 부팅되게 복구?는 하였으나 마우스 키보드가 동작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특이사항으로 부팅중 HAL DAEMON, ABRT DAEMON FAIL이 발생합니다.

소유권 말고는 건들인게 없는데

해결 방법이 없을 까요??

sincerely0의 이미지

AIX에서 more로 파일을 열어볼씨 한글깨짐현상

vi와 tail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을 보면 한글이 정상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log 파일을 봐야하는데 파일이 너무 커서 vi로는 열리지 않습니다.

more 명령어로 파일 읽을시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u235의 이미지

btrfs 볼륨은 오직 루트만이 접근할수 있나요?

디스크리스 pxe 서버용도로 btrfs를 설치했습니다.
btrfs는 스냅샷과 순간복원 처리에 필수도구인데요
처음에는 볼륨 자체를 btrfs로 만들어야 작동하는걸 몰라 다소 착오가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 특별한 볼륨은 오직 루트여야만 접근되는 기이한 현상이 있네요.

물론 777권한을 주어도 같으며 심지어 삼바에 올리면 외부접근은 원천 차단돼 버립니다.부

forska의 이미지

ms-sql 2012 express 설치 중 계속 오류가 납니다 ㅜㅜ

안녕하세요!
sql을 공부하려고 ms-sql 2012 express 버전을 설치하고 있습니당.
설치하는 도중에
"이 windows installer 패키지에 문제가 있습니다. 이 설치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dll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라고 계속 에러가뜨네요ㅜㅜ(운영체제는 윈도우7 ultimate입니당.)
몇일째 방법을 못찾고 있어용 ㅜㅜ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당 ㅜ_ㅜ

kombo67의 이미지

비전공자 IT인의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비전공자 IT인입니다

현재 OA 업무와 유닉스 보조를 맡고 있습니다.
가진 자격증이라고는 리눅스마스터 뿐이며 , 고졸입니다

경력을 1년 채운 현 시점에서 퇴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고민을 하는 중입니다

CCNA , 기사 ( 학점 따서 ) 자격증
학사 취득을 위한 학은제 등 을 생각 하고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이직이 제일 좋겠지만
확실히 OP 로 들어왔고 그 수준이라서
어딜 경력이라 말하고 들어가기가 어렵겠더라구요

그냥 자게인 만큼 여러분들이 '저' 라면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시겠습니까 ?

또는 이런 미천한 저에게 무료 강의 사이트가 있다면 추천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관심분야는 언어, 서버 쪽입니다

39first의 이미지

DHCP 릴레이

DHCP relay agent를 쓸 일이 생겨서 먼저 vmware에서 테스트 해 보고 있는데 잘 안되네요..
데비안 8.1 사용중이고 dhcp 서버로는 isc-dhcp-server, 릴레이 에이전트로는 isc-dhcp-relay를 사용중입니다.

[클라이언트](dhcp,eth0)====(20.0.0.1/16,eth1)[릴레이 에이전트](10.0.0.2/16,eth0)====(10.0.0.1/16,eth0)[DHCP 서버]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크린샷은 각각 isc-dhcp-server,isc-dhcp-relay의 설정입니다.
꼭 이 구성이 아니더라도 해 보신 분들은 어떻게 해서 성공하셨는지 답변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ram123의 이미지

cortex-a9에서는 rtos 안쓰고 중첩 인터럽트

불가능 한가요?

free rtos에서는
중첩 인터럽트가 실행
가능하다고 나오긴하는데요.

펌웨어 단계에서 rtos로
넘어가지 않고 해결하고
싶은데, 해결책이 있을까요?

injun000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snort IDS/IPS 구현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정보보안을 전공하는 학부 4학년생 입니다.

이번 전공연구 프로젝트로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snort IDS/IPS 구현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예시를 든것으로 아직 LVS라던지 세부 구성은 미정입니다.

이 프로젝트가 실용성이 있을만큼 성공한다면 약 40-~50만원 정도로(6노드) 저렴하게 보안장비를 구축할수 있지 않겠나 하는 망상을 해보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드리고자 하는것은 종합적으로 말하면 '과연 이것이 가능한가?' 입니다.

기본적인 파이 클러스터링 관련 자료는 구글에 정말 많이 나오는편입니다만 그 클러스터에 snort, bro, Suricata 등의 오픈소스 IDS를 올린 사례를 찾기가 너무 힘이 듭니다.

저는 기본적인 리눅스 제어와 시스템 프로그래밍, MPI의 개념이나 클러스터링의 개념, IPS.IDS의 개념 정도를 알고 있는 상태이며 오픈소스 IDS의 구성을 계속해서 보고 있으나

제가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하다못해 비슷하게나마 진행한 사람이 없어 시작 전 자료 수집단계부터 많이 힘이 듭니다.

hohheup의 이미지

ssh 서버 설정 및 클라이언트 연결방법 또는 ssh로 연결해서 쓸수 있는 무료 linux 계정을 얻을 수 있는 사이트를 알려주세요^

제 android에서 emacs로 org-mode를 쓰고 싶으나, native로 돌아가는 emacs를 찾을 수 없고 나중에 나온다 하더라도 속도가 좀 느릴것 같고,

https://www.emacswiki.org/emacs-test/EmacsOnAndroid
를 참조하니 현재 쓸 수 있는 방법중 android에서 ssh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쾌적할 듯 합니다.

그래서 제 debian에 sshd를 설치하여 android에서 ssh로 연결하려고
https://wiki.debian.org/SSH 를 참조하여 제 debian에 sshd를 설치했으나

로그인 테스트하는 부분인
ssh $remote_user@$remote_host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