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dygkset의 이미지

arm 우분투에서 이런 기능 사용이 가능할까요?

집에서 X86 보드와 arm 보드를 조합해서 NAS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X86-smb,afp,webdav,ftp 같은 파일 서버 기능과 vm 호스트같이 절전모드에 집어 넣어 두었다가 네트워크 엑세스가 있을때만 깨어나면 되는 기능을 몰아주고..

ARM 보드에는 dns,PXE,torrent 서버 같은 항상 켜두어야 하지만 성능이 필요 없는 몰아 주었습니다.

평상시에는 x86 보드가 s3 sleep 상태로 대기하다가 네트워크 엑세스가 있으면 깨어나도록 설정을 해 두었고요.
ARM 보드는 상시 대기하도록 설정했습니다.

다만 x86 보드가 절전 모드에 들어가 있을때 netbios나 bonjour 같이 브로드캐스트로 서비스를 알리는 기능이 작동안하는게

아쉬운 점이였엇는데 bonjour 쪽은 avahi 데몬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qkrruddnjs12의 이미지

책을 읽는 요령 좀 알려주세요

저는 프로그래밍 서적을 읽으면서
직접 컴퓨터로 따라해보는 방식으로 공부를 합니다.
그런데 책을 읽는 방식이 너무나 불편해서
혹시 저처럼 책을 보면서 컴퓨터로 실습을 하시는 분이 있다면
책과 키보드 배치를 어떻게 하는지 묻고 싶습니다.

책을 옆에 두면 고개를 너무 멀리 왔다 갔다 해야 하고
책을 모니터 앞에 두면 키보드를 입력하는게 불편합니다.
책 거치대에 놓으면 페이지를 넘길 때 마다 귀찮고
두꺼운 책은 올릴 수 없습니다.

편하게 책을 보면서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woojja의 이미지

FPV 에 사용하는 소형 카메라를 이용해서 블랙박스를 만드는 간단한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아래 링크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FPV 에서 사용하는 소형 카메라를 봤습니다.

http://www.banggood.com/600TVL-8_0MP-14-2_8mm-CMOS-FPV-170-Degree-Wide-Anlge-Lens-Camera-PALNTSC-p-984345.html

저 카메라 몇개를 붙여서 전후좌우 감시하는 블랙박스를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는데요.

어떻게하면 만들수 있을까요?

가장 쉬운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프로그램만 만들줄 알지
전기, 전자 쪽은 아무것도 몰라서 ^^;
아두이노를 사용하면 좀 쉬울까요?

그렇다면 저 카메라의 전선은 기판과 어떻게 연결되는거래요?

막연한 질문이란 건 아는데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겨서 올려봅니다.

npr05324의 이미지

메일서버 구성시 질문드립니다.

현재 서버에서 이메일을 발송시, G메일 에서는 스팸처리가 되네요. 네이버등 다른곳은 정상적으로 발신/수신이 가능합니다.

메일서버 (mcpe.luxstudio.kr) 하고 메인 도메인(luxstudio.kr)은 서로 다른 호스트를 가르키고 있습니다.
이때, 원인이 리버스 DNS가 안맞아서 그렇다고 그러는데, 혹시 이럴때 어떻게 조치해야 스팸처리가 해제되는지 방법이 있을까요??

akayong의 이미지

hdd password 삭제 하는 방법?

ssd를 하나 새로 구입 해서
장착을 하고, cmos 암호를 설정한다는걸
실수로 HDD 암호를 세팅 해 버렸습니다.

근데 그 암호가 입력되면서 오타가 있던것인지

아무리 입력해도.. Invalid Password란 말만 나오네요..

혹시 hdd 암호 삭제 하는 방법 아시는 분 있나요?

새로 구입해서 아직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ssd 하나 날려 먹게 생겼네요 -_-;;

혹시 HDD password 삭제하는 방법 아시는 분은
공유 부탁 드립니다 ㅠㅠ

starkying의 이미지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안녕하세요.
대학생이고 컴공을 복수전공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 방학때 박컴학원이라는 곳에서 자료구조를 배울 계획이었습니다.
그 학원에서 발간하는 교재 시리즈가 있는데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부분을 교재로 먼저 독학하고, 뒤에 이어지는 자료구조 부분을 학원에서 수강하는 계획인데요.

고민인게 제가 복수전공을 하고있고 학교에도 당연히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수업은 있지만(아직 안들은 상태)
알고리즘, 자료구조가 워낙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박컴학원이 좋다는 평이 많아서 들어보고 싶은거거든요.
근데 학원수업을 듣게 된다면 알고리즘을 듣는게 좋을지 자료구조를 듣는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학원 교육과정 상으로는 알고리즘 - 자료구조 순서이고
학교 커리큘럼은 자료구조 - 알고리즘 순서에요.
박컴이 얼마나 괜찮은 학원인지 잘 모르기도 하고 아직 입문자이다보니 결정이 어렵네요.

Thehouse1234의 이미지

?

.

세벌의 이미지

웹에서 두는 바둑

http://www.cosumi.net/ko/ 이런 게 있었네요. 구글 크롬에서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알려진 타이젬 등등의 바둑 사이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전용인 듯...

misohouse의 이미지

(해결) 윈도우 cmd 창에서 절대경로로 프로그램 실행 후 리다이렉션으로 결과를 .txt 파일에 저장하려고 하면 .txt 파일이 생성이 안됩니다.

제가 실행할 프로그램 이름이 a.exe 라고 가정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C:\User\Lee\Desktop\AAA\BBB\a.exe 에 있을 때, cmd 창에서 "C:\User\Lee\Desktop\AAA\BBB\a.exe"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a.exe의 결과가 cmd 창에 잘 보여집니다.

문제는 "C:\User\Lee\Desktop\AAA\BBB\a.exe" > asdf.txt 를 하면 asdf.txt가 생성되고 화면에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야 하는데 화면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건 맞는데 asdf.txt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원래 목표는 "C:\User\Lee\Desktop\AAA\BBB\a.exe" > asdf.txt & type asdf.txt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서 cmd 출력창 및 asdf.txt에 결과를 출력하게 만드려고했는데 asdf.txt가 생성되지가 않는 문제가 발생해서 난감합니다.

익명사용자1의 이미지

The Linux Command Line (책) - Redirecting Standard Error : 이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To redirect standard error we must refer to its file descriptor. A program can produce output on any of several numbered file streams. While we have referred to the first three of these file streams as standard input, output and error, the shell references them internally as file descriptors 0, 1 and 2, respectively. The shell provides a notation for redirecting files using the file descriptor number. Since standard error is the same as file descriptor number 2, we can redirect standard error with this notation: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