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bs1439의 이미지

IMX6Q 망고 보드에 pure-ftpd 서버로 사용관련 질문입니다.

고수님들의 의견을 묻고자 질문드립니다.

현재 IMX6Q 망고 보드를 FTP 서버로 사용하고자, yocto에서 openEmbedded 레이어의 pure-ftpd를 컴파일하여 파일시스템에 넣었습니다.

그리고 standalone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usr/sbin/pure-ftpd -s -a 42 -E -H &

이렇게 실행시켰습니다. 그랬더니

Unable to start a standalone server: Permission denied

이라는 에러가 발생하네요... 분명 root 계정으로 실행을 했음에도.

관련 자료를 너무 못찾겠어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아시는 분 없으신가요??

chatae3의 이미지

쿼터스 pin 할당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PIN planner에서 하나씩 pin 설정을 하지않고 아래 캡쳐 처럼 pin설정을 코드로 짜고
pin planner에 넣는 방법이 있다 해서 pin 코드는 다만들었는데 pin planner에 어떻게
넣는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방법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stone의 이미지

구축한 웹메일(다람쥐메일)에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웹메일을 설치 연습을 하려고 웹서버, 메일서버, 웹메일 패키지(?)를 설치 하였습니다.
이메일은 메일프로그램으로 메일을 받고 보낼수 있습니다.
웹서버도 접속이 되는데, 웹메일을 접속하면 접속이 안됩니다. 웹서버도 https로 접속하면 접속이 안됩니다.

메일서버, 다람쥐 메일을 다음과 같이 설치 및 설정을 하였습니다.

36311의 이미지

최근에 Emacs를 공부해봤습니다.

Emacs 언젠가 한번 배워봐야지 배워봐야지 하고 미룬게 수십년(;)이 지나서 이러다 한번도 안써보고 죽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에 억지로 써봤습니다.

* 제가 맥을 쓰기 때문에 처음엔 맥용으로 포팅된 Aquamacs로 시작했는데 맥 단축키가 바인딩 되어 있어서 새로운 것을 익히는데 방해가 되더군요. 물론 맥과의 연동성은 좋습니다.

좀 불편하더래도 터미널에서 새로 빌드하고, 텍스트 편집을 무조건 Emacs에서 하려고 노력하면서 몇주 지나니까 어느정도 Emacs에 익숙해진 느낌이 듭니다.

* 쓰면서 드는 생각은 Emacs는 확실히 이전시대의 유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모든것이 갖춰져있지 않던 시절에 모든 것을 할수 있는 환경을 만든 것이죠.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OS 같은 플랫폼이 있고 그 위에서 각각 전문적인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커뮤니케이션 하는게 이상적인 상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Emacs OS 같은게 있으면 좋을까요? 많이 공부를 안해서 아직 잘 모르겠네요.

Samuro의 이미지

학부 졸논/졸작을 해야하는데 주제를 못정하겠네요.

컴공4학년인데 겁대가리없이 학부졸논을 리눅스스케줄러 관련 내용을 하겠다고 제안서냈다가 지금 뼈저리게 후회하고, 바꾸려고 하고있습니다.

원래 cpu나 프로세싱쪽에 관심이많고, GPU로 기존에 많이들 하는 작업을 병렬화해서 빠르게 처리해주는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서 실험해보는걸로 할까 싶기도 한데

딱히 떠오르는게 없어서 고민중이네요.

이제 시간도 얼마 없는데.. 그럴듯한 주제가 없을까요?

블로그같은거 보면 능력자분들 신박한거 많이들 만드시던데, 나는 창의력이 부족한가..

Rubypops의 이미지

컴퓨터 사용중 스피커 버프음.

HP 워크스테이션 사용 도중에 화면이 녹색 깨짐에

본체에서 뿌우우우~! 하는 소리가 들려서 끄고

다시 복구 했습니다만. 이거 그래픽 카드 과열 문제인가요..

rlduq1993의 이미지

아파치 웹서버 질문드립니다. 로컬호스트에서만 웹에 접근이 가능하고 다른 호스트에서는 안되는 문제입니다.

arm 7 보드에 리눅스 페도라를 설치해서 간단한 웹 공부를 해보려는 중 문제가 생겨서 질문합니다.

페도라 24를 설치 후 httpd, mariaDB, php를 설치 후 systemctl enable http mariadb를 통해서 자동으로 시작하게 해두었습니다.
systemstatus로 확인해본 결과 둘다 정상 작동 중입니다.

공유기를 통해서 사설 IP를 고정 할당 받은 상태이며 동일 네트워크는 물론 (공인 IP를 사용하는) 외부 네트워크의 호스트에서도 ssh와 ftp를 사용이 가능합니다.
DMZ를 통해서 모든 포트를 열어둔 상태입니다.

그런데 해당 로컬 호스트에서는 IP와 localhost:80, 127.0.0.1으로 웹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지만 동 네트워크의 호스트와 외부 네트워크의 호스트에서 IP로 접근하려고 하면 안되고 있습니다.

k1d0bus3의 이미지

원격으로 멀티부팅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서버에다 우분투와 윈도우 두가지 운영체제를 설치해뒀습니다.

로컬에서 멀티부팅 할때는 부팅시 부트로더에서 선택부팅했는데, 이걸 원격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kgy1996의 이미지

64bit DLL 인젝션

리버싱 핵심원리 예제 그대로 따라하고있는데 잘 안되네요
작가님이 올려놓은 소스 그래도 빌드하고 실행했는데 아래와같은 오류뜹니다.

C:\work>InjDll_lst.exe 4920 -i dummy.dll
MyCreateRemoteThread() : NtCreateThreadEx() failed!!! [0]
InjectDll() : MyCreateRemoteThread() failed!!!
notepad.exe(4920) -->> FAILURE!!! [0]

근데 억울한건 작가가 2010년도에 올려놓은 바이너리파일은 실행이 잘되요....
http://www.reversecore.com/76

같은증상 해결하신분 계신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