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j03y14의 이미지

C언어로 파일 입출력을 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clude <stdlib.h>
 
int main() {
 
	FILE* fp;
	fopen_s(&fp, "C:\\Users\\jae\\Desktop\\dataset", "rt");
 
	char * word = (char*)malloc(sizeof(char));
	while (!feof(fp))
	{
		fscanf_s(fp, "%s", word, sizeof(word));
		fprintf(stdout, "%s ", word);
	}
 
	return 0;
}

위와 같이 코드를 짰는데요 Expression: public_stream != nullptr 이런 오류가 자꾸 뜹니다.
중단점을 설정해서 디버깅 해보니 while문에 들어갈 때 문제가 생기는 듯 한데 무엇이 잘못되었나요?
risid의 이미지

net_ratelimit: 102 callbacks suppressed 로그와 arp failure 로그

방화벽으로 사용중인 장비에서 아래의 내용으로 시스템 메시지를 계속 뿌려주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net_ratelimit은 동일한 로그가 임계치 이상 들어오면 제한하는 기능으로 되어있더군요.

아마 May 16 10:14:35 (none) user.err kernel: outdev_skb_destructor: it should be called only in case of skb purging on arp failure이 로그가
동시에 여러개 발생해서 생기는 로그로 보입니다.

근데 user.err kernel: outdev_skb_destructor: it should be called only in case of skb purging on arp failure 의 의미가 무엇인지 아무리 찾아봐도 정보가 없습니다.

skb 라는걸 찾아보니 프로토콜 구분을 빨리 하기 위한 소켓 분류 모듈(?) 같은 거 같던데요.

일반적인 로그는 아닌 것 같고 특정한 경우에 발생하는 로그로 보입니다.

혹시 짐작가시는 부분이 있다면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rndud926의 이미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국내 수요가 어느정도 인가요?

제가 알기로는 하드웨어와 커널의 이해가 필수적이기에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희소가치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없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겠죠.

전 아직 학생인지라 현제 임베디드 개발자 수요가 어떤식으로 갈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현업에 계신 개발자 분들께 여쭤보려합니다.

임베디드 개발자 전망은 밝은 편인가요?

세벌의 이미지

김프 eps 열기 실패...

김프 eps 열기 실패...
http://gimp.kr/xe/freeboard/1767
에러 메시지만으로는 까닭을 알기 어렵네요. 어떻게 해결해 나가면 되나요?

willisone의 이미지

Mac OS X에서 IP주소 확인하는 소스 코드를 사용중인데 WiFi일 때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Mac OS X에서 IP주소 확인하는 소스 코드를 사용중인데 IP확인하는 함수는 KLDP에서 코드를 가져와서 살짝만 수정했고, 나머지 서브넷 주소 확인하는 프로그램도 인터넷에서 가져와서 수정하였습니다. 그런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인터넷이 WiFi로 연결이 되었을 경우에만 IP주소를 잡아내고 thunderBolt 이더넷으로 연결을 할 경우에는 Network Device: en0 en0: no IPv4 address assigned Error 라고 메세지가 출력이 되네요. IP주소 얻어오는 함수 부분에서 strcpy 부분에서 썬더볼트 이더넷이 en5로 연결이 되길래 en5로 고쳐봤는데도 똑같은 메세지가 출력이 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wmjj의 이미지

우분투 사용중인데 자꾸 느려집니다...

제일 위에 랜덤 알파벳으로 된것이 CPU를 22프로 먹고 있는데 kill 해도 자꾸 생깁니다.
바이러스 걸린건가요? ㅠㅠ

alfzl1의 이미지

자바 멀티캐스팅 TTL 질문

자바로 멀티캐스팅 소스를 짜고 있는데요.

네트워킹은 잘 몰라서 고생하고 있습니다..ㅜㅜ

제가 만들고자 하는 것이 50명이상의 사람이 동시에 한명의 화면을 받는?그런 프로그램인데요.

왜 TTL값이 2인 것이 위험한가요?

그냥 같은 네트워크상 에서 실행하려면 그냥 TTL값을 1로 해버리면 되나요?

sincs912의 이미지

자바 배열 선언과 생성을 분리한다는 의미를 알고싶습니다.

01 String[] names ;
02 names = new String[3];
03 names[0] = new String("1");
04 names[1] = new String("12");
05 names[2] = new String("123");

라는 코드를 제가 임시로 짜봤는데요

01에서 의미하는건 String[] names; 즉 스트링형 배열을 생성할건데
그 배열의 이름은 names를 사용할것이다. 선언을하는 것이고

02에서는 names은 new 연산자로 메모리에 할당해서 String형으로 3크기의 배열을 생성 하는것이고

03-05 names라는 배열의 각 번지에 1,12,123을 저장하는거라고 알고있는데

제가 이해하고있는게 맞는지

그리고 01에서 배열을 선언하고 02에서 생성한다는건 알겠는데
어디가 생성자이고 02 names = new String[3];에서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도와주시면
정말 공부에 도움이 될거같습니다.

clapmin의 이미지

Google translate API를 이용한 번역 방법

제가 리눅스에서 c언어를 이용해서 번역기를 만들려고 하는데

온라인상에 java, php, c#등을 사용한 코드는 많은데 c로 짜여진 코드는 없더라구요.

전혀 감이 안잡혀서 그러는데 혹시 누군가가 제게 도움을 주실분 계신가요 ㅠ

jonyon의 이미지

번역한 글들 여기에 올려도 괜찮을까요?

오랜만에 kldp들어와서 제 발자취를 돌아보니 그동안의 무지에 대해 부끄러운 느낌만 듭니다 ㅎㅎ..
이제와서 돌아보니 한발짝만 더 나아가면 보이는걸 왜 시도하지 않아서 깨닫질 못했는지...
(노파심에 하는 말이지만 그 익명사용자분께는 전혀 부끄럽지 않습니다)

가끔 구글을 돌아다니거나 레딧을 잠깐 들어가보면 재밌는 글들이 있거든요.
그래서 아주 가끔이긴 하지만 번역도 가끔 해봅니다.
올해 초에 시작해서 지금까지 세개 번역했네요.

처음에는 번역을 하다보니 영어공부도 되는것 같고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되는것 같아서 자기만족에 마냥 재밌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번역을 혼자서 해보고 혼자서 남겨놔봤자 그리 큰 발전이 있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여기에는 저보다 잘하시는분이 훨씬 많을테니 영어도 한수 배우고 내용에 대한 의견도 들어보고 싶어서 올리고 싶어졌습니다.

http://jonyon.tistory.com/25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