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사용하는 리눅스는 CentOS release 6.6 (Final) 입니다. 가상머신에 설치한 후 머 오라클 계정이면 처음 들어갈때 오라클 id를 치고 패스워드를 친다음 su - 로 해서 root 계정으로 접속할려구 하면 접속이 안됩니다. 근데 처음부터 root로 하고 패스워드 치면 root로는 접속이 됩니다..
한마디로 유저 계정에서 최상위 계정으로는 계정 변동이 안되고 처음부터 최상위 계정인 root로는 접속이 됩니다. 이 유저 계정에서 root로 접속를 하고 싶은데 어떤걸 봐야 하고 어떤걸 변경 해줘야 할까요?
DirectShow와 관련된 책을 알아보니 국내서적으로는 'DIRECTSHOW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IT백두대간)'이라는 책 한 권이 유일합니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봤는데 제 지식이 얄팍해서 그런지 좀 이해하기 어렵더군요. 혹시 DirectShow에 대해 능숙하신 분들 중에 책 파실 분 없으신가요? 책 판매하기 곤란하시다면 조건부로 빌려주시면 안 될까요? 빌린 대가는 지불하겠습니다. 외국 서적이라도 사서 보고 싶지만 제 실력으로 이해할 만한 내용일지 알 수가 없어서 엄두를 못 내겠습니다. 유투브로 IMediaEvent를 생성해서 Media Event에 따른 이벤트 스레드를 통해 asf 파일이나 wav 파일을 제어하는 정도는 익혔습니다. 그런데 mp3는 parse, decode의 문제가 존재하는데, 필터를 만들고 연결하는 것이 GraphEdit에서 할 때처럼 원활하게 되질 않습니다. 물론 제 지식이 짧기 때문이기도 하지만요. 필요없는 책(?) 보유하고 계시면 제게 판매하시고 팔 수 없는 책은 좀 이틀에서 삼일 정도만 빌려주실 분 계신가요? 정말 절박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중3되는 학생입니다. 얼마 전까지 수포자였는데 요즈음 수학에 관심이 생겨서 수학을 공부하려고 하는데요. 수학에 대해서 우리나라 수능 커리큘럼에만 국한되어서 사고하던 제가 운이 좋게도 Khan Academy라는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미국 재단에서 개발하는 사이트라고 하는데, 제가 주워들은 걸로는 대학 2학년 정도 수준까지 무료 수학/과학/경제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방학이라 잉여 시간이 많아서 그 시간을 때울 겸 ㅋㅋ) 수학을 공부하는 데, 우리나라 수학처럼 하나하나의 개념을 아주 깊게 파고 들어가서 기초를 차근차근 쌓는 식 (예를 들어 정석 10번보기..?)이랑 서양식 수학처럼 개념과 원리를 중요시하고 문제가 쉬운 방식으로 공부를 해서 빠르게 진도를 나가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 하고 있을 시간에 대학교 수준의 수학까지 그냥 진도를 나가는 방식?) 중에 어느 게 더 좋은 방법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아, 물론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또 따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