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ocp 워커 스레드에서 하나의 소켓에 대한 패킷이 뭉쳐서 워커 스레드들한테 분산대서 들어갈수도 있나요?

iocp 워커 스레드에서 하나의 소켓에 대한 패킷이 여러개로 뭉쳐서 오거나 작게 와서 워커 스레드들한테 분산대서 들어갈수도 있나요?
만약 그렇게 대면 순서를 알수가 없으니 조립을 못하게 되는데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u235의 이미지

한글 윈도는 중문 소스코드를 로그할수 없나요?

중문으로된 소스코드를 수정후 환글화해서 재컴파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중문 프로젝트 파일을 로드할수 없는것 같습니다.

소스링크는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qhdxk.com/zlxz/ckjdq/2015-11-13/144737955955.html

소스수정이 필요한데 이럴땐 어떻게 하나요?

ykw1101의 이미지

자바 초보 질문

제가 어제 자바를 처음 시작했는데 자바 제대로 설치하고 확인했는데 명령 프롬프트로 Hello world! 출력이 안됩니다.. 소스코드와 프롬프트 내용 올려볼테니 왜 이러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shint의 이미지

욕심쟁이 오리 아저씨 OP





욕심쟁이 오리 아저씨 OP 

 

요즘은 마영전이 보인다. ㅇ_ㅇ''

꽥꽥꽥꽥 - 드러 눕죠'''
욕심 부려도... - 욕심 부리죠. ㅡ_ㅡ;;
좋아해요. 사랑해요. - 하트 뿅뿅''
모험에 나라. 신비한 나라... ㅡ_ㅡ;; 그렇죠...
뒤뚱뒤뚱 찾아가죠... ㅡ_ㅡ;;
으르렁. 으르렁... 무서운 괴물이 나오죠...
하얀 마음. 착한 마음. 예쁜 둥지... 벤체너에 나무 둥지가 모여있죠... ㅡ_ㅡ;;
수수께끼 여행가죠... NPC 이상한 놈들... ㅡ_ㅡ;;

--------------------------------------

shint의 이미지

DX12 Multi-Adapter


DX12 Multi-Adapter, 지포스와 라데온 GPU 조합해 성능 향상
http://s3delta.tistory.com/335
 
소프트웨어 | DX12의 Multiadapter 는 NVIDIA와 Intel 내장 그래픽 간의 SLI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929
 
GameTechDev/DX12-Multi-Adapter
https://github.com/GameTechDev/DX12-Multi-Adapter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웹서버 4대의 공유 파일시스템 어떤걸로 해야할까요

웹서버 4대를 운영하려하는데.
공용 파티션을 잡을 예정입니다.

ocfs2, gfs2, nfs 등 공용으로 쓸수 있는 파일시스템이 있는데

어떤것이 안정적일까요

일단 웹서버용도는 웹이 약 40개정도 돌아가기때문에
작은 파일들이 많은 갯수를 차지하고 있고, 하위폴더들도 갯수가 좀있는편입니다.

이 파일시스템 고민으로 오랜시간을 하고있는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shipgo의 이미지

유저 계정으로 처음 접속후 su - 접속, 즉 root 접속이 안됩니다.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는 CentOS release 6.6 (Final) 입니다. 가상머신에 설치한 후 머 오라클 계정이면 처음 들어갈때 오라클 id를 치고 패스워드를 친다음 su - 로 해서 root 계정으로 접속할려구 하면 접속이 안됩니다. 근데 처음부터 root로 하고 패스워드 치면 root로는 접속이 됩니다..

한마디로 유저 계정에서 최상위 계정으로는 계정 변동이 안되고 처음부터 최상위 계정인 root로는 접속이 됩니다. 이 유저 계정에서 root로 접속를 하고 싶은데 어떤걸 봐야 하고 어떤걸 변경 해줘야 할까요?

mydream의 이미지

DirectShow에 대한 책 파실 분 있나요?

DirectShow와 관련된 책을 알아보니 국내서적으로는 'DIRECTSHOW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IT백두대간)'이라는 책 한 권이 유일합니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봤는데 제 지식이 얄팍해서 그런지 좀 이해하기 어렵더군요. 혹시 DirectShow에 대해 능숙하신 분들 중에 책 파실 분 없으신가요? 책 판매하기 곤란하시다면 조건부로 빌려주시면 안 될까요? 빌린 대가는 지불하겠습니다. 외국 서적이라도 사서 보고 싶지만 제 실력으로 이해할 만한 내용일지 알 수가 없어서 엄두를 못 내겠습니다. 유투브로 IMediaEvent를 생성해서 Media Event에 따른 이벤트 스레드를 통해 asf 파일이나 wav 파일을 제어하는 정도는 익혔습니다. 그런데 mp3는 parse, decode의 문제가 존재하는데, 필터를 만들고 연결하는 것이 GraphEdit에서 할 때처럼 원활하게 되질 않습니다. 물론 제 지식이 짧기 때문이기도 하지만요. 필요없는 책(?) 보유하고 계시면 제게 판매하시고 팔 수 없는 책은 좀 이틀에서 삼일 정도만 빌려주실 분 계신가요? 정말 절박합니다.

71284390423712492347129의 이미지

[수학공부] 하나하나 깊게 vs 빠르고 넓게

안녕하세요. 이제 중3되는 학생입니다. 얼마 전까지 수포자였는데 요즈음 수학에 관심이 생겨서 수학을 공부하려고 하는데요. 수학에 대해서 우리나라 수능 커리큘럼에만 국한되어서 사고하던 제가 운이 좋게도 Khan Academy라는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미국 재단에서 개발하는 사이트라고 하는데, 제가 주워들은 걸로는 대학 2학년 정도 수준까지 무료 수학/과학/경제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방학이라 잉여 시간이 많아서 그 시간을 때울 겸 ㅋㅋ) 수학을 공부하는 데, 우리나라 수학처럼 하나하나의 개념을 아주 깊게 파고 들어가서 기초를 차근차근 쌓는 식 (예를 들어 정석 10번보기..?)이랑 서양식 수학처럼 개념과 원리를 중요시하고 문제가 쉬운 방식으로 공부를 해서 빠르게 진도를 나가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 하고 있을 시간에 대학교 수준의 수학까지 그냥 진도를 나가는 방식?) 중에 어느 게 더 좋은 방법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아, 물론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또 따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ㅎㅎ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