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bushi의 이미지

Fedora 24 혹은 25 사용하시면서 java(openjdk) 로 개발중인데 어제오늘 사이에 업데이트 하신분들.

android 빌드할 일이 있어서 openjdk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데스크탑 메모리 증설 기념해서 패키지 업데이트까지하고 리부팅한 다음에 괴상해져서 이리저리 알아봤는데,
https://bugzilla.redhat.com/show_bug.cgi?id=1415137

shint의 이미지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 은 무엇인가요?

Forums: 

HTML은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야.

그게 뭔 소리야?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라고. 몰라?

ㅡ_ㅡ... 그게 뭐냐고!!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8097&cid=40942&categoryId=32838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명사 컴퓨터
사용자에게 내용의 비순차적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텍스트. 문서 내의 특정한 단어가 다른 단어나 데이터베이스와 링크되어 있어 사용자가 관련 문서를 넘나들며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전자 사전·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문장 작성 시스템 등에 응용됨.

high385의 이미지

ubuntu xrdp(xfce4) 창사이즈 조절 단축키 존재하나요?

원래 ubuntu에서는 윈도우 super키 + ctrl +상/하/좌/우로 창 사이즈 조절이 되는데

원격환경에서는 안되는데 방법이 있나요?

high385의 이미지

ubuntu 14.04에서 xfce4 환경에서 window7 간에 copy and paste 공유가 안 되네요

ubuntu 14.04에서 xfce4 환경에서 window7 간에 copy and paste 공유가 안 되네요

=>
ubuntu 14.04에서 terminal 내용 복사 후 window 7에서 사용하려고 했더니 copy and paste가 안 되네요

윈도우 7과 ubuntu간 복사 붙여넣기 공유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hcscp의 이미지

redhat에서 메모리 증설 시 memory page 증가 관련

redhat 에서 메모리 증설 후 dmesg 사용하여 증설 전/후 비교 시

bootmem setup node, bootmap start XXX pages 가 증가 하는걸 확인하였고

setting up node, node' totalpages 도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redhat을 회사에서 사용해서 공부한지 얼마 안되었는데

시스템 점검 연습 중에 위 사항을 알게 되었습니다.

메모리 증설을 하였으니 당연한 부분일까요??

검색을 해보아도 헷갈려서 의견을 구합니다.

psw9255439의 이미지

윈도우와 리눅스를 멀티 부팅할 때 부트로더

윈도우와 리눅스를 멀티부팅을 할 때 부트로더의 위치와 관련해서 질문합니다.

윈도우와 리눅스를 같은 저장 장치에 파티션을 나눠서 설치하는 상황입니다.

부트로더는 MBR에 저장된다고 들었는데요 윈도우를 먼저 설치하고 리눅스를 설치한다면 먼저 윈도우의 부트로더가 MBR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GRUB이 윈도우의 부트로더와 함께 MBR에 공존하게 되는 것인가요? 만약 MBR에 윈도우의 부트로더와 GRUB가 함께 존재한다면 왜 GRUB로 부팅되는 건가요?

리눅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GRUB를 어디에 설치할 지를 물어보는데 만약 /dev/sda 를 선택하면 /dev/sda 장치의 MBR에 GRUB가 설치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dev/sda3 와 같이 파티션을 지정하여 GRUB를 설치하게 되면 MBR이 아닌 위치에 GRUB가 설치되는 것인데 BIOS에서 MBR을 읽는 과정에서 윈도우의 부트로더를 불러오게 되고 윈도우는 리눅스 파티션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리눅스로 부팅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만약 /dev/sda3와 같은 파티션에 GRUB를 설치하게 되면 어떻게 리눅스로 부팅할 수 있나요?

플밍플밍의 이미지

리눅스 tar 압축해제

그누보드를 다운받아서 쓰려고 해제했는데요
tar xvaf ~~~.tar.gz
를 써서 해제했는데
해제한파일들이 ~~~디렉토리에 저장이안되있고 그냥 해제되어있더라고요
어떻게 그누보드를 쓸수있나요?
http://ip주소/~~~ 를 사용해서 그누보드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도움부탁드려요

ydhoney의 이미지

요즘 무슨 일 하세요?

"무슨 회사" 말구요.

"무슨 일" 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최근 Hadoop, BigData Visual Analytics 계열 솔루션(SAS ,Tableau, QGIS etc...) 운영과 기타 레드햇계열 시스템 운영 정도를 하는 중입니다.

다른 분들은 요즘 뭐 좀 살만하신지 궁금하네요.

question의 이미지

포인터 배열

#include

void main(){
char data[2][2];
char (*p)[2] = data;

printf("data : %x\n", data);
printf("*p : %x\n", *p);
}
data : 배열 시작 주소 값
*p : 배열 시작 주소 값
결과 : data == *p

#include

void main(){
short int data[2][2];
int *p = data;

printf("data : %x\n", data);
printf("*p : %x\n", *p);
}
data : 배열 시작 주소 값
*p : ?
결과 : data ≠ *p

왜 이런 건가요?

dkshskldp의 이미지

vim 학습을 더 이상 못하겠습니다

이번에 새프로젝트로 unity3d를 채택하고 어떻게 vim을 알게 됐고
vs code에 vim 플러그인 조합을 추천하길래 그 길로 7일째 학습 중입니다.
일단 vimtutor는 학습했고 기초적인 조작법은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 작업 하는 방식과 몇 부분이 짜증 나는 점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서 저는 unity3d에서 작업을 하고 다시 에디터로 전환해서 코드를 짜고
다시 unity3d 에디터로 돌아와서 결과물을 하는 과정을 자주 합니다.
이와 더불어서 유사코드가 적힌 다른 에디터나 실시간 메신저로 개발 방향에 대해
채팅을 자주 하며 웹 브라우저에서도 알고리즘에 대한 검색이나 개발 프로젝트 때문에 Trello를 확인해야 하고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