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세벌의 이미지

2016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에 오류?

2016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구글에서 국가정보화 연차보고서 치면 바로 나옵니다.

415 쪽에 다양한 운영체제와 브라우저를 지원 이런 말이 나오는데, 정말 그런가요?

ActiveX 대체기술이 exe 파일을 설치하는 거라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어서...

gurumong의 이미지

답글이 달리면 감사의 댓글을 다는것이 좋을까요?

답글이 달리면 감사의 댓글을 다는것이 좋을까요?

늘 질문을 올리고 나면 주옥 같은 심지어는 질문의 글 보다 더 장문의 답변이 받은적이 많아서 늘 감사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간혹 답글에 감사의 댓글을 달아야 하는지 망설여질때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미 충분히 답변이 완료된 글이 감사의 인사 때문에 다시 상단에 불필요하게 노출되는것이 꺼림직해서 그런것인데요

예전(지금도 많이 쓰이는지는 알수 없지만) 뉴스그룹 시절에는 다른 이유로 감사의 글을 남기지 않는것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고 또 권장된다고 들은듯한데

KLDP에서는 어떠해야하는게 맞는것인지 여쭙고싶습니다

gurumong의 이미지

[Android] dip 치수의 장점에 뭐가 더 있는것일까요?

dip(dp)가 밀도 독립적이라는 의미이고 개발시에 이 단위를 사용하도록 권장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 이유가 dip를 사용할때 디스플레이의 실제 픽셀 밀도와 무관하게 같은 dip에서는 밀도가 다른 여러 디스플레이에서 동일한 크기로 보인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던데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사실 mm(밀리미터) 같은 단위도 기준 단위 치수가 다를 뿐이지
밀도독립적인것은 역시 마찬가지이고 또 일상과 좀 더 친밀한 단위이므로 크기를 짐작하기에는 더 쉬운것 같거든요

반면 dip는 160픽셀/인치를 기준으로 삼고있어서
실제 보이는 크기를 짐작하기 위해서는 dip 값을 160으로 나누어 봐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생기잖아요
(가령, 320dip = 2인치 = 2 * 2.54 cm)

일상에서 쓰이고 이미 안드로이드에서도 지원하는 mm(밀리미터) 단위 대신에
구지 dip를 권장하는데에는 어떤 다른 장점이 있어서일까요?

wonjnlee의 이미지

cf에서 추출한 파일들로 동일한 프로그램 복제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제목에서 보셨다싶이 cf에서 구동하는 프로그램의 보안에 대한 궁금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cf 내부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여기에 프로그램을 넣었습니다.
리눅스를 넣을때에는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하여 cf에 리눅스 전체를 설치하는 형식으로 했습니다.

그런데 cf 리더기를 이용하면 cf 내부에 있는 파일들이 read only라고 해도 복사가 가능하더라구요.
혹시 이렇게 되는 경우 프로그램의 완벽한 복제가 가능한가요?
이미지 파일을 만들 때 구성하는 모든 설정들은 동일하게 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만..

조언 부탁드립니다.

shint의 이미지

컴퓨터에게 너무 많은 일'을 시키고 있었네요.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듭니다.

글씨 쓰기는 다양한 감정을 알려준다는 생각이 듭니다.

걷기도 그렇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 load average가 너무 높습니다.

vtop과 htop 툴을 활용하여 CPU 실제 사용률을 확인하면 50~70% 선에서 안정적으로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딱 원하는 수치의 성능을 보이고 정상적으로 시스템 분석도 수행하고 있으나...
load average값을 보면 너무 터무니 없이 수치가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1분, 5분, 15분 평균이... 1300, 1200, 900 대로 나타납니다.
CPU 코어수는 24코어이며 제온서버입니다.

흔히들 사용하는 방식대로 계산하면 24코어이므로 24.0 이 100%의 기준이 되어야 할텐데 1200 ~ 1300까지 치고올라가고 있네요... 문제는 실제 CPU 사용량은 70%가 넘지도 않는데 말입니다.

iotop 툴을 확인하여 디스크 I/O도 확인해 봤으나 5~10MB/s 정도로 양호하게 입출력하고 있고... 디스크 용량도 충분한 상태입니다.

메모리 사용량도 넉넉합니다. (256GB 중 30GB정도 쓰네요..)

실제 다른 작업을 하는데 버벅한것도 없습니다. (이걸로 봐서 실제 CPU사용량이 50~70%로 찍히는게 맞긴한가봅니다)

gnsdl106의 이미지

virtualbox에 설치한 Centos에서 쉘스크립트 파일의 cd명령어를 사용하였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특정 폴더들을 한꺼번에 묶는 쉘 스크립트를 만들어야 되서

제 pc의 virtualbox에 Centos6.8를 설치 한 후

쉘 스크립트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해보았는데

cd 명령어를 사용하면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라는 오류가 출력이 되네요;;

혹시나 해서 회사서버내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정상적으로 cd명령어가 잘적용됩니다;

또 특이한 점은 회사 서버내의 쉘 스크립트 파일을 가져와서

실행하면 잘됩니다 그 파일내에도 cd명령어가 있습니다

검색을 통해 root폴더의 .bashrc파일에

alias test='cd ../../'

이렇게 넣어준 후

쉘스크립트 파일에 .test 이렇게 코드를 넣어 준후

실행하면 알수없는 명령어라는 에러가 출력이 되네요;;

어떻게 해야 virtualbox에 설치된 Centos에서도 쉘스크립트 파일안에 작성되어있는 cd명령어가 적용될수 있을까요?

백연구원의 이미지

yum install openssh-server 에 compile 옵션

yum으로 설치한 sshd에 configure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repo 사이트에 버전별로 명시되어 있다라던지...

하고 싶은건 OpenSSH를 받아서 yum으로 설치된 버전과 동일하게 컴파일하는게 목표입니다.

park3250의 이미지

csh LD_LIBRARY_PATH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csh 유저에서 설치가 아닌 복사해온 라이브러리를 링크하려고 하는데요
/temp/lib 위치에 라이브러리가 존재하고

.cshrc 파일에

setenv LD_LIBRARY_PATH /temp/lib

추가하였는데 소스 컴파일시 /usr/bin/ld: cannot find -lavformat

계속 못찾는다고 나오네요...

/etc/ld.so.conf 파일에도 /temp/lib 추가 후
ldconfig -v 적용하였습니다

방법 및 설명을 좀 부탁드릴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