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제 경우에 그리 많이 벌지도 못하고.. 그나마 집안도 시원찮고 해서 집에 매달 돈을 보내고 있는데, 얼마 못버는데다가 여기저기 나간다고 여자친구가 안좋아하더군요. 아무래도 결혼은 힘들듯.. orz..
암튼 갑자기 저런 의문이 생겼습니다.
리눅스에서 euc-kr 대신 (그놈)utf8로 작업한 파일을 윈도우즈 공유 파티션에 저장 시 윈도우즈에서 탐색기로 열면 디렉토리, 파일명이 모두 네모문자로 뜹니다.
리눅스 책보면서 따라 하다가 책이랑 약간 다르게 나와 질문 합니다. Link encap:Ethernet HWaddr 00:~~~~~~~~~~ 요건 프로토콜이랑 MAC 주소 라고 하고 inet addr~~~~~~~~ Bcast:~~~~~~~ Mask:~~~~~~~~ 요건머 아이피,브로드케이스, 네트마스크주소
inet6 addr: fe80: :211:5bff:fe7e:c173/64 scope:Link <<<요게 먼지 모르겠네요 80은 포
banner -w 70 KIN
banner -w 60 ':-)'
재밌군요.
좀 다르게 질문해 보았습니다. 현재의 한대의 컴퓨터만 있기에, 정확한 테스트는 해보지 않았습니다만, 아마도 그러지 않을까?
집으로 돌아가려고 자동차 시동을 걸었는데 왼쪽 헤드라이트가 꺼졌습니다.
안녕하세요 ADS(ARM Development Suite)로 컴파일 하고 포팅하여 실행하던 중 전역변수를 참조하지 못하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u8 ssss = 'a';
s32 arch_init(void) { u8 ss = 'a'; printf("ssss %x\n", ssss); printf("ss %x\n", ss); } 시리얼로 출력되는 것을 보니 국부변수는 0x61 이라는 정확히 값이 찍히
컴퓨터 분야에 그렇게 재능이 있는 것이 아니지만 아주 가끔씩 아는 분들의 컴퓨터를 고쳐주곤 합니다. 그런데 백이면 백 이런 문제를 겪더군요. "자꾸만 팝업이 떠서 도저히 사용할 수가 없다" 또는 "너무 느려서 인터넷 창 하나 띄우는 것도 고통이다"
오늘 고쳤던 아는 누님의 컴퓨터는 그 중에서
안녕하세요. 제가만든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려고 합니다. 간단한 3D메시뷰어 인데요, 이걸 만들면서 사용한 라이브러리가 LGPL로 되어 있습니다.(Ogre3D 엔진) 라이브러리 소스 수정은 하지 않았으며 그냥 동적 링크만 시켰습니다.(DLL)
제가 만든 프로그램은 LGPL보다 더 자유로운 MIT라이센스로